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17 15:36:30
Name Leeka
File #1 4WUgdx90FG4I2ScSkc6AIA.png (246.8 KB), Download : 45
File #2 img.jpg (28.8 KB), Download : 10
출처 딤토
Subject [유머] 1~2년전에 보금자리론으로 집 산 사람들 근황





-> 우대 없이 30년 고정 2.25%
쿠폰 우대 넣으면 30년 고정 2.23%

신혼부부나 기타 우대 받으면 30년 고정 1.4~1.8% 가능.


현재 자유 입출금 가능한 통장도 연 2%를 주는 시대고
예적금은 더 많이 주는 상태라서
30년동안 이자를 받고 돈을 빌린 상태.... 로 볼 수 있는 수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아아아암
22/06/17 15:42
수정 아이콘
이사를 못가는게 단점일듯... 이젠 존버뿐이야
22/06/17 15:44
수정 아이콘
확실이 이때 이율이 낮긴했지만, 그만큼 집값이 오른상태였죠.
19년도쯤이 아마 3.x%대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이때 집산사람이 비교적 최신기준으로 승자에 가깝다고 봅니다
AaronJudge99
22/06/17 15:46
수정 아이콘
오…..
진짜 생경하긴 하네요 크크크 좀있으면 1.4시대에서 2배될거같은데
케이아치
22/06/17 15:52
수정 아이콘
크크 전 2.08 입니다
아스날
22/06/17 15:52
수정 아이콘
근데 이때는 집값이 고점이라...
피식인
22/06/17 15:59
수정 아이콘
2021년 한해 동안 미친듯이 올랐고 2021년 말에 집값 고점 찍었죠. 보금자리론 가능한 주택이 6억까지인데 2020년 말에 수도권에 6억 미만 주택 보금자리론으로 산 사람들이면 현재는 못해도 몇 억씩은 올랐습니다. 지금 21년 말 고점 대비 좀 떨어졌다 해도 저 때 가격으로 떨어지려면 현재 가격에서 앞으로도 몇 억 더 빠져야 하죠. 저 때 집 산 사람들은 아직 한참 이득 구간임..
22/06/17 16:01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20년에 보금자리론 되던 수도권 집들.. 대부분 더 올랐습니다 - -;
아스날
22/06/17 16:49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대구인데 20년 중순부터 많이 올랐다가 지금은 엄청 떨어져서..
수도권은 다른가보군요
피식인
22/06/17 17:03
수정 아이콘
아.. 대구라면 느끼시는 게 맞으실 수도 있겠네요. 수도권은 아직 21년 초 가격까지는 안 떨어졌습니다.
22/06/17 17:08
수정 아이콘
대구는 그때가 고점이 맞긴 합니다. 수도권은 최고점이 21년에 와서...
22/06/17 16:12
수정 아이콘
20년말 21년 초 금리라서 최소 손해는 안봤습니다...
서쪽으로가자
22/06/17 15:55
수정 아이콘
자유 입출금이 가능한데 2%요?
저건 어디에 어떤 상품이길래...

찾아보니 토스 뱅크군요
로하스
22/06/17 16:04
수정 아이콘
요즘 금리가 올라서 자유 입출금 2% 이상이 늘어나네요.
류지나
22/06/17 15:58
수정 아이콘
제가 작년에 디딤돌 대출로 고정금리 1.95% 로 집을 샀는데... 신의 한 수 맞나요?
로하스
22/06/17 16:04
수정 아이콘
1.95%라니 진심 부럽네요 흑흑
겨울삼각형
22/06/17 16:04
수정 아이콘
마지막 승리자들
22/06/17 16:12
수정 아이콘
2.23 고정금리 보금자리론 체증식 여기 있습니다.
지켜보고있다
22/06/17 18:23
수정 아이콘
어 저세요?
22/06/17 21:46
수정 아이콘
체증식 만든사람 상줘야됩니다. 크크크
메리츠퀀텀점프
22/06/19 23:21
수정 아이콘
저세요?
썬업주세요
22/06/17 16:12
수정 아이콘
경기가 심상치 않아서 년단위로 재평가 들어갈지도요..
톨기스
22/06/17 16:14
수정 아이콘
저 올해 1월 입주했는데… 1.85%…
상하이드래곤즈
22/06/17 17:18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크
작년 11/30 입주. 30년 1.85입니다
10년째학부생
22/06/17 16:56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로 집샀는데... 직장때문에 갚고 전세주고 전세대출 받아서 눈물샘 터지네요
라자냐
22/06/17 17: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소독용 에탄올
22/06/17 17:27
수정 아이콘
영끌러 걱정을 신문들이 열심히 해주고 있어서.....
몽키매직
22/06/17 17:31
수정 아이콘
영끌대출이 얼마 나오는지 대출 상담 받아봐야, 아니 최소한 LTV, DSR 한도만 계산해봐도 영끌러 걱정이 바보짓이라는 걸 알죠.
간단한 계산도 안하는 인간들이 하는 자산 동향 예측은 고려할 필요도 없습니다.
어쩌다가 맞아도 인디언식 기우제일 뿐이죠.
답이머얌
22/06/19 10:52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1금융권이고, 2금융권 대출까지 추가로 끼고 사는 사람은 없나요?
영끌이 1금융권의 안정적인 대출뿐이라면 그렇게 걱정할 필요가 없을것 같긴 한데요.

추가로, 부동산 폭등을 막기 위해선 규제보단 기준금리 상승이 훨씬 약발이 좋은데, 당시 한은은 물가 상승률이 상승(예를 들어 0.2-> 0.7 -> 1.3-> 1.8 이런 식)하고 있음에도 2%에 못미친다고 해서 계속 금리 동결했는데 그 이유 중 가장 큰게 가계부채 부실화 염려였거든요.

가계부채가 부동산 빚만 아니라 생활자금도 있었지만 급격히 증가한데는 부동산 부채가 컸고, 한은조차 기준금리 상승에 고려할 정도였으면 영끌이 문제있는 계층이 상당수 있었던 것 아닌가요?
몽키매직
22/06/19 12:14
수정 아이콘
어차피 ltv dsr 은 2금융권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계산이 달라질 건 없습니다. 신용도 대비 신용대출이 더 나오는 거지, 법적인 상한선을 넘길 수 없어요. 그리고 실제로 대출상담 몇 번 받아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계산상의 최대한도는 이론이고 대출심사 후에 나오는 실제 숫자는 더 적습니다. 실제로는 dsr 한도까지 받는 경우는 드물고 30% 전후로 받게 됩니다. dsr 은 원금상환까지 고려된 상한이기 때문에 30% 이내에 원금과 이자가 따로 있는 것이라서 금리가 3배 오른다고 90% 가 되는게 아니라 60-70% 정도로 올라갑니다. 그리고 ltv, dsr 중 낮은 쪽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15억 이상 집은 상환능력 무관하게 주담대 불가능) 실제로 평균적인 상환능력대비 대출 비율은 더 낮습니다.
록타이트
22/06/17 17:13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생애첫집+이것저것 다 합하면 1.25까지 가능하더군요.
22/06/17 17:23
수정 아이콘
아 6개월 차로 고정금리를 못타네요 흑흑
Arya Stark
22/06/17 19:48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은 전부 고정금리였죠?
2년전에 받았는데 고정금리였나 변동금리였나 기억이 안나네요.
피식인
22/06/17 20:52
수정 아이콘
고정금리입니다.
민초조아
22/06/17 20:24
수정 아이콘
제 친구가 1.6 받았더라고요. 30년고정...
저랑 대출액은 얼마차이 안나는데 원리금이 4분의 1....
블랙엔젤
22/06/17 23:40
수정 아이콘
작년 12월 신청해서 1.6 으로 대출 받은 우리 부부
칭찬해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6503 [LOL] 극한의 이득충의 최후 [14] iwyh6718 22/06/20 6718
456502 [LOL] 너구리의 최애 선수 [29] 이브이8278 22/06/20 8278
456501 [게임] 아무튼 선 반영입니다 [14] Lord Be Goja7334 22/06/20 7334
456500 [유머] 우크라이나에서 잡힌 러시아인.jpg [35] TWICE쯔위11356 22/06/20 11356
456499 [기타] 요즘 전성기가 찾아와 인생 재미있게 살고 계실 분....... [10] 된장까스9932 22/06/20 9932
456498 [유머] 의외로 요즘 사람들은 모르는 것 [19] 헉꿈7366 22/06/20 7366
456497 [유머] 흔한 일본의 교통사고.jpg [10] TWICE쯔위9024 22/06/20 9024
456496 [기타] 일반인에게도 판매한다는 실전 외계 탐사 로봇 [8] Lord Be Goja5749 22/06/20 5749
456495 [스타1] 홍진호가 풀었떤 공군에이스 똥군기 썰.TXT [45] insane16453 22/06/20 16453
456494 [유머] 할머니 모기향 이렇게 쓰면 되는거죠? [11] TWICE쯔위6791 22/06/20 6791
456493 [유머] [주식] 점점 현실로 다가오는 그숫자 [31] 삭제됨10327 22/06/20 10327
456492 [방송] 요즘 젊으니들이 결혼하기 힘든 이유 [25] Lord Be Goja10634 22/06/20 10634
456491 [기타] 의외로 가장 늦게 정복 된 섬.... [20] 포졸작곡가7469 22/06/20 7469
456490 [스타1] 프로토스 리버로 카이팅하는 LCK출신 원딜러.MP4 [4] insane5740 22/06/20 5740
456489 [기타] 역시 형이야 [21] 어서오고10651 22/06/20 10651
456488 [유머] 베트남 이발소 여직원이 말하는 최악의 손님 유형.JPG [32] AKbizs14079 22/06/20 14079
456486 [유머] 없는 게 없는 무도 근황 [11] 비공개8704 22/06/20 8704
456485 [기타] 의외의 퐁퐁의 기능 [26] 쎌라비9880 22/06/20 9880
456484 [게임] 선수 아내의 남편 우승 소감 [12]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961 22/06/20 11961
456483 [기타] 지금 생각해보면 창단했을 이유가 제일 없었던 구단.jpg [22] 산딸기먹자13891 22/06/20 13891
456482 [유머] ???:조세호 잘돼라.mp4 [5] TWICE쯔위9951 22/06/20 9951
456481 [LOL] 새로 개편된 롤리나잇 근황 [26] 이브이9184 22/06/19 9184
456480 [게임] [KOF98] 케인인님 숨도 못쉬고 뚜드려 맞는영상 [13] Croove7754 22/06/19 77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