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17 12:28:36
Name Aqours
File #1 11.JPG (294.1 KB), Download : 15
File #2 22.JPG (241.9 KB), Download : 7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기타] 한국인들 상당수가 잘못 알고 있는 한국 역사







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질없는닉네임
22/06/17 12:30
수정 아이콘
보급선이 늘어진 대국의 군대가 소국을 침공해서 도하를 했다가 패퇴한다...얼마 전에 본 것 같은데
에이치블루
22/06/17 14:02
수정 아이콘
어엌 크크크크
AaronJudge99
22/06/17 15:1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2/06/17 16:23
수정 아이콘
어엌크크크크크크크
황제의마린
22/06/17 12:31
수정 아이콘
?? 아니 그럼 이걸 어떻게 이겼는데 나도 수공인줄 알았는데;
Lainworks
22/06/17 12:34
수정 아이콘
저 시절에 군대 진군로 상에 강 건널 수 있는 지점은 극히 한정적일거고 하니 도하할 때 혹은 보급부대랑 전투부대 강으로 쪼개질 타이밍에 기습 제대로 먹이면 데미지가 엄청날것 같긴 합니다.

고대니까 더더욱 식량운반, 식수 수급이 가능한 진군로가 엄청나게 적기 때문에 응 우회 이런게 안된다고 하더라고요
-안군-
22/06/17 12:36
수정 아이콘
도하중인 군대는 앞뒤로 잘라먹기가 엄청 좋죠. 적어도 강에 들어가 있는 부대들은 기동불가 상태니까요.
회색사과
22/06/17 12:38
수정 아이콘
그 시절에 그 군사가 잠길 만큼의 댐을 만들고 - 타이밍 맞춰서 폭파시킬 수 있는 공병스킬은 없는 걸로…
Lord Be Goja
22/06/17 12:3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순신 장군도 쇠사슬질로 200:13 이겼다는 이야기 나오고 그랬죠
무슨 학원만화도 아니고 혼자 1:200으로 깨부수고 있으니까 도망간 부하들이 합류해서 다같이 줘팼다고 하면 누가 믿어요
22/06/17 12:42
수정 아이콘
레알 크크 소설이었으면 개연성 없다고 욕먹었음
고기반찬
22/06/17 14: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반도의 이누야샤 김억추 장군님이 철쇄아로 바람의 상처 쓴게 아니었다니...
닉네임을바꾸다
22/06/17 14:07
수정 아이콘
이순신장군님이 번숨쓴겁...
닉네임을바꾸다
22/06/17 13:18
수정 아이콘
도하 직후엔 사기가 0이라서...(대충 크킹...)
Lord Be Goja
22/06/17 12:31
수정 아이콘
고대의 수공은 뻘을 길어지게 만들어서 도하시 약해지는 구간을 늘리거나, 강을 낀 도시를 조금 잠기게 만들어서 역병전파와 식량보관을 까다롭게 만드는정도의 효과가 있었다더군요
피식인
22/06/17 12:32
수정 아이콘
대충 저런 내용으로 알고 있기는 했습니다. 살수가 정확히 어디인지는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겨울삼각형
22/06/17 12: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흔히 하는 오해

상상속의 수공 : 반지의제왕 1편의 영상처럼 급류가 와장창
(영화처럼의 급류는 현대 토목기술로도 어려움)

실제 수공 : 그 일대를 침수시켜 땅바닥을 늪으로 만듬, 음식(쌀은 습기에 쥐약)도 썩고 발도 축축해지고 잠도 잘 못자고 풍토병도 돔, 주로 적 성을 침수시키는 방법(최소 몇주~개월 단위의 시간이 걸리는 전법)
-> 예시 관우의 번성포위, 수공을 쓴건아니지만 강이 범람해서 번성이 침수됨, 문제는 관우의 형주군진영도 침수되서 식량난 발생..
조말론
22/06/17 13:41
수정 아이콘
수공에 더해 우금8군의 집단 투항으로 식충이들 대거 포로행
AaronJudge99
22/06/17 15:18
수정 아이콘
오……
及時雨
22/06/17 12:36
수정 아이콘
누가 지어낸걸까요?
12년째도피중
22/06/17 12:44
수정 아이콘
보통 후대에 첨가된 민담입니다. 중국의 고사 등이 섞인 경우가 많습니다.
EpicSide
22/06/17 12:46
수정 아이콘
이런건 보통 후대의 수많은 '카더라'가 들러붙은 결과라.... 딱히 누가 지어낸건지 특정하기가 힘든....
키스도사
22/06/17 13:08
수정 아이콘
지나가던 스님이 돌을 쌓아 둑을 만들고, 수나라군이 챠들어오자 무너트려 물리쳤다는 민간설화가 있는데 이 설화가 발전된 버전이 조선 상고사에 실리면서 현재 우리가 오해하는 수공설이 퍼졌다고 합니다.


“흔히 살수 대첩 하면 귀주 대첩과 함께 수공(水攻)을 떠올린다. 그러나 《삼국사기》, 《수서》, 《자치통감》, 《동사강목》, 《해동역사》 등 한국과 중국의 사서에서는 둑을 무너뜨려 수공을 했다는 내용이 전혀 없다. 오직 근대 기록(신채호, 조선상고사)에만 등장하는데 이는 [민간의 전설이었던 칠불전설(七佛傳說)이 변형되어 수록]된 것이다. 실제 수공을 활용한 전투는 흥화진 전투뿐이다.”
https://ko.m.wikipedia.org/wiki/살수_대첩

“을지문덕은 미리 사람을 보내서 모래 주머니로 살수의 상류를 막고 정병 수만 명을 뽑아서 천천히 한가롭게 수의 군사를 뒤쫓게 하였다. 살수에 이르니 배가 하나도 없어서 우문술 등이 물의 깊고 얕은 데를 알지 못하여 머뭇거리는데 돌연 일곱 사람의 고구려 중이 다리를 걷고 물에 들어서면서 “오금에도 차지 않는 물이오. ” 하고 건너가니 수의 군사가 크게 기뻐하며 다투어 물에 들어섰다. 채 중류에 미치지 못했을 때 상류의 모래주머니로 막은 물을 터놓아 물이 사납게 내리닥치는데 문덕의 군사가 뒤쫓아와서 맹렬히 공격하니, 수의 군사는 거의가 칼과 화살에 맞아 죽고 물에 빠져 죽고(후략)”
https://ko.m.wikisource.org/wiki/조선상고사/제10편
12년째도피중
22/06/17 12:43
수정 아이콘
살수대첩에 대해 언급할 때 적어도 20여년 전 정도부터 투입된 역사교육 인력들은 저런 식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례가 있었다면 결격.
보통... 예전 분들이죠. 그 분들도 바뀌셨을겁니다. 나이 좀 있으신 타과목 선생님들이 역사얘기할 때 꼭 저런 이야기 잘 섞임. 이순신 쇠사슬이나 사명당 마법천자문 같은 거. 민담이 섞인 케이스 들입니다.
22/06/17 12:45
수정 아이콘
그냥 보급 역량 안되서 털린 거라고 봐야죠
고구려도 지연전 펼치면서 이것저것 시도하는 중에 도하 중인 부대 습격도 했을 거고 그게 와전된 거라고 봅니다
소믈리에
22/06/17 12:45
수정 아이콘
살 : 죽인다
수 : 물

이름부터가 물로 죽였구나? 이런 느낌 크크크
22/06/17 12:46
수정 아이콘
이게 제일 큰거 같아요 크크크크
뒹굴뒹굴
22/06/17 12:53
수정 아이콘
그래서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서 한자 배워야 한다는 얘기를 싫어 합니다.
결국 단어를 잘못 이해할 뿐이거든요.
간손미
22/06/17 18:06
수정 아이콘
정 반대의 말이십니다;; 薩水 한자를 보면 물로 죽인다고 생각을 할 수 없거든요.
뒹굴뒹굴
22/06/17 18:07
수정 아이콘
이번건은 반대군요 ㅠㅠ
22/06/17 12:54
수정 아이콘
근데 살은 몰라도 수가 물인 건 맞을텐데...
시무룩
22/06/17 12:58
수정 아이콘
이 댓글 보고 궁금해져서 한자를 찾아보니 보살 할때 살자라고 하네요
오히려 죽일 살이랑 정반대의...
22/06/17 14:50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생각했네요 크크
22/06/17 12:4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어릴 때 그러한 의문이 들었지만 위인전에 그렇게 나오니 맞나보다 생각했습니다 크크
22/06/17 12:47
수정 아이콘
전과만 놓고보면 진짜 수공을 썼다고 해도 믿을정도로 대단한 전투긴 해서 그렇게 구전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비오는월요일
22/06/17 12:50
수정 아이콘
결과가 판타지니까 과정도 판타지로 생각할 수 밖에...
Judith Hopps
22/06/17 12:50
수정 아이콘
솔직히 급류 와장창이 개멋있잖아요~
그걸로 합시다.
지니팅커벨여행
22/06/17 12:51
수정 아이콘
살수에서 공격해서 이겼단다
=> 살수공격 승리함
=> 아몰랑 수공임
헤나투
22/06/17 12:52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 알았네요 크크
당시의 교육수준이나 정보의 불균형을 생각하면 저런 민간신앙이 충분히 생길만한거 같아요
제가 스1을 방송으로 처음본 경기가 왕중앙전 국기봉 기욤전인데, 스타를 개뿔도 모르는 상태다 보니까 친구한테 국기봉이 멀티 한번에 5개씩 먹고 저글링 히드라 수백마리 보냈는데 기욤이 다 막고 이기더라고 설명했거든요 크크
겨울삼각형
22/06/17 12:55
수정 아이콘
강감찬장군의 귀주대첩도 수공 루머가 붙어 있죠(..)
닉네임을바꾸다
22/06/17 13:19
수정 아이콘
귀주대첩의 빌드업 전투인 삼교천에서인가가 쓰긴했을겁...
그10번
22/06/17 13:16
수정 아이콘
대충 기억하는대로 전개과정을 정리해보면 아마 아래와 같은 전개일겁니다.

1. 수나라가 100만대군으로 침공
2. 요동성 공략에 실패, 몇개월동안 시간을 보내며 보급문제 발생
3. 최후의 수단으로 별동대 30만이 평양으로 직행, 내호아의 수군이랑 평양에서 만나서 평양성 공략 계획함.
4. 무리하게 식량을 짊어지고 가던 별동대는 식량을 버리며 진군.
5. 간신히 평양성에 도착했지만 이미 무리한 진군으로 다들 지침, 평양성에서 만나기로 했던 내호아는 고건무(영류왕)에게 박살나서 수군의 지원도 못받음.
6. 수나라군 후퇴시작, 고구려군 추격시작
7. 살수에서 수나라군이 도하하는 중에 고구려군이 총공격, 대승리. 30만명중 2천여명이 살아남음.
태연­
22/06/17 13:22
수정 아이콘
진정한 흠뻑쇼
22/06/17 13:23
수정 아이콘
관우 우금 수공은 진짜에요?
소믈리에
22/06/17 13:25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에 의하면 그냥 강이 범람한걸로...
Lord Be Goja
22/06/17 13:27
수정 아이콘
강이 범람할걸 관우는 대비했고 우금은 못해서..
MissNothing
22/06/17 13:25
수정 아이콘
고구려 기록에 대승이라 되있고, 수쪽의 기록도 대패라 되있으니, 뭔가가 있었던건 맞는데, 중간이 없어서 소설이된걸로 압니다 크크
DogSound-_-*
22/06/17 13:28
수정 아이콘
토크멘터리 전쟁사에서 임용한박사님 생각으로는
걍을 도하 중 일때 급습해서 쓸어버린거 아닌가 하던데요
레드빠돌이
22/06/17 13:35
수정 아이콘
조운 이야기 처럼 실제 역사가 더 말도 안되는 이야기인줄...
하프늄
22/06/17 13:39
수정 아이콘
물가에서 싸운거지 물을 활용해서 이긴건 아니라는거군요
조말론
22/06/17 13:43
수정 아이콘
을지문덕 본인도 기록이 잘 없는데 이게 정치 문제든 뭐든 저런 대승은 승자의 기록에서 찾고 적게 기록됐을 패자의 기록으로 교차검증이 일반적일텐데 둘다 적어서 이렇게 됐나..
고기반찬
22/06/17 13:53
수정 아이콘
여요전쟁 때 흥화진 전투가 모티브가 되서 섞였을거라고 봅니다
22/06/17 14:07
수정 아이콘
수나라 원정규모보면 수공으로 이긴다는게 더 현실성있을거 같은데
닉네임을바꾸다
22/06/17 14:08
수정 아이콘
보급이 안되는 부대라 사기나 조직력이 붕괴되서...읍읍
고기반찬
22/06/17 14:10
수정 아이콘
원래 백만 대군은 패배 플래그...
아이군
22/06/17 15:01
수정 아이콘
백만대군 어떻게 보급하냐? -> 못했음
그런거 하면 나라 망한다! -> 망했음
애플리본
22/06/17 14:21
수정 아이콘
수나라에 살수대첩이니 수공으로 이긴걸로 합시다
모리건 앤슬랜드
22/06/17 14:30
수정 아이콘
예종도 내성발톱같은 족질때문에 발이 썩어서 죽었는데
신발같지도 않은 신발 신어가면서 전쟁터 나가는 병사들 입장에서 늪지대행군은 지옥이죠.
22/06/17 14:44
수정 아이콘
귀주대첩에도 수공얘기 붙어있는데 당연히 사실이 아니고요.
귀주때도 도하할때 공격해서 대승거둔건데 더 극적인건 도하시기를 노려 공격하기로 짠 게 아니라 기병부대가 길을 잃어 전장에 늦게 도착했는데 도착하고보니 도하중이라 그대로 공격해서 대승하게 된 거.
고기반찬
22/06/17 15:12
수정 아이콘
귀주대첩은 도하 중 싸운 전투가 아니라 양군이 도하 이후 싸운 전투입니다

12월에 소배압 등이 개경에 이르자, 적들이 무너졌다. 이에 군사들을 풀어 사로잡고 노략한 다음 돌아왔다. 군사들이 다타이하(茶陀二河)를 건널 즈음에 추격하는 고려의 군사들이 쫓아왔다. 여러 장수들이 모두 고려의 군사들로 하여금 두 강물을 건너게 한 다음 공격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야율팔가 혼자서만 안 된다고 하면서 말하기를, “적들이 만약 두 강물을 건너게 되면 반드시 결사적으로 싸울 것인 바, 이는 위태로운 방법이다. 그러니 두 강물 사이에서 치는 것만 못하다.” 하였다. 그러자 소배압이 그 의견에 따라 두 강물 사이에서 싸웠다.
AaronJudge99
22/06/17 15:21
수정 아이콘
후퇴하다 도하 중 쓸린건가요?
전근대 시기에는 직접적으로 맞붙는 전투에서는 많이 안죽고 승패가 결정된 다음 패잔병들이 도주하는 과정에서 전사자가 많이 발생했다던데
22/06/17 15:58
수정 아이콘
그냥 보고하기 귀찮아서 그런거로 합시다 크크
22/06/17 15: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에게는 평화의 땜이 있죠…

한 200년쯤 지나면 북한의 공격을 막은땜이 될수도…

그와는 별개로.. 저 전쟁은 참으로 대단했을것 같습니다.
터치터치
22/06/17 17:21
수정 아이콘
너무 압도적으로 이겨서
35만명 중 2700명만 살아갔으니
물로 쓸어버리지 않고서야 라고 생각했을 듯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6541 [기타] 바둑 무협지 - 이창호 [6] 퀀텀리프16638 22/11/08 16638
465561 [기타] 고구려 역사 최대 미스테리 중 하나 [3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434 22/10/26 12434
464286 [기타] 동물계에서 유일하게 인간만이 제대로 할 수 있는 것 [18] 우주전쟁10410 22/10/09 10410
464175 [기타] 통신업계 카르텔, 역사는 반복된다 [29] 봄바람은살랑살랑12823 22/10/07 12823
464104 [기타] 문과와 이과의 주식투자.TXT [27] 비타에듀10706 22/10/06 10706
463260 [기타] 덕수궁에서 일본 순사, 천황 옷 대여 [48] 지구돌기11992 22/09/25 11992
463191 [기타] 요즘 은근히 5G안터지는곳 [14] Lord Be Goja9774 22/09/24 9774
462409 [기타] SUV 같지만 SUV 는 아닌 FUV 페라리 푸로산게 [18] 덴드로븀9879 22/09/14 9879
462176 [기타] 21세기 전격전.GIF [20] 그10번14004 22/09/11 14004
462098 [기타] 찰스3세 즉위 기념 각 유럽 국가들이 '찰스'를 어떻게 부르는가 [11] 로사10943 22/09/09 10943
462090 [기타] 아이들이 하기 적합한 역사게임 [30] 닉넴길이제한8자11934 22/09/09 11934
462066 [기타] [국뽕주의] 탑기어의 현대자동차 극찬 [28] 숨고르기13952 22/09/09 13952
461715 [기타] 역사상 가장 강한 태풍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태풍 "힌남노" [58] 아롱이다롱이22693 22/09/04 22693
461687 [기타] 가상화폐로 '5조' 번 처자 [24] 니시무라 호노카12075 22/09/04 12075
459918 [기타] 강남 홍수의 역사 [24] -안군-10327 22/08/10 10327
459552 [기타] 지구 반대편이지만 의외로 한국의 고향 시골 감성을 느끼게 하는 나라 [5] Capernaum8991 22/08/05 8991
459039 [기타] 만수르 사촌 초대로 사우디에 간 근근웹 유저 [11] 퍼블레인12291 22/07/29 12291
458929 [기타] 기억과 망각의 기로에 선 패전의 기록 [12] 제3지대9537 22/07/27 9537
458909 [기타] 폴란드 근현대사 애니메이션 [7] 그10번5165 22/07/27 5165
458447 [기타] KF-21 비행 동영상(동영상 교체 및 추가) [9] 가라한5126 22/07/19 5126
457563 [기타] 최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비트코인 10개 원해 [24] Lord Be Goja8539 22/07/06 8539
456719 [기타] 의외로 1주후에 역사속으로 사라진다는 서비스 [35] Lord Be Goja9274 22/06/23 9274
456322 [기타] 한국인들 상당수가 잘못 알고 있는 한국 역사 [63] Aqours10415 22/06/17 104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