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01 00:14:18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407.1 KB), Download : 14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100년 동안 나오기 힘든 대한민국 5대 짱.jpg


100년 동안 나오기 힘든 대한민국 5대 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22/06/01 00:17
수정 아이콘
이제는 박찬호, 박세리가 내려올 때가 되긴 했죠...
Easyname
22/06/01 00:19
수정 아이콘
100년이면 김연아 빼고는 다 가능성 높은듯
야구팬 류팬이어도 류가 제일 가능성 높고
사실 선수평가로 추신수>류현진 박찬호라서
22/06/01 00: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오히려 제2의 김연아가 다시 등장할 가능성이 제일 높은 것 같은데... 동양계 여자선수가 피겨 짱 먹었던 예가 전례가 없었던 것이 아니라서...반면에 동양계 MLB 방어율 1위나 EPL 득점왕, 빌보드 1위, 아카데미 작품상 등등은 전례가 없었죠. 그리고 원체 피겨선수가 풀이 작아서 아웃라이어가 통계적으로 나오기 쉽고.
Capernaum
22/06/01 00:28
수정 아이콘
지성 팍이랑 박찬욱 감독님 안계신 부분이 아쉽긴 하지만

공감하고 WAP 이랑 싸우는 BTS 너무 웃기네요...
22/06/01 00:32
수정 아이콘
이제는 우상혁도 넣어야..
블래스트 도저
22/06/01 00:37
수정 아이콘
이런류 볼때마다 피겨스케이팅 종목이 참 고평가 받는다는 느낌이
모나크모나크
22/06/01 09:05
수정 아이콘
한 시대의 패왕이 불모지 우리나라에서 나왔으니까 이해해주셔도;;
사다하루
22/06/01 09:42
수정 아이콘
불모지에서 차원이 다른 수준으로 잘하는 선수가 나오다 보니...
띵호와
22/06/01 00:40
수정 아이콘
저어는 류현진 빼고 빠커형을 넣을 것 같아요!
22/06/01 01:12
수정 아이콘
e스포츠쪽은 저희나라가 축구로치면 브라질인데 빠커형은 안되죠.. 크크크
파와미
22/06/01 06:10
수정 아이콘
저기 나오는 빠커형이 법규형 아닌가요?
류현진 대신이라고 하셔서..
22/06/01 14:03
수정 아이콘
아 저는 빠커가 페이커말하는줄 크크크크크
동굴범
22/06/01 00:46
수정 아이콘
전부 다 10년 정도면 다시 나올 수 있을 정도는 되는 것 같네요.
22/06/01 01:23
수정 아이콘
황선우도 여기에 들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니시무라 호노카
22/06/01 01:3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bts가 역대급인듯
다른 종목은 다 자기가 잘하면 얻을 수 있는 성취인반면
방탄은 동양인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는거라
22/06/01 01:40
수정 아이콘
방탄 기록은 다시 못나오죠 집계방식도 바꾸고 진짜 이리저리 시기나 운도 잘 따라줬다 생각
55만루홈런
22/06/01 01:50
수정 아이콘
저출산 시대라 더 힘들거라 보긴 합니다 만약 저출산 해결만 된다면

피겨야 이미 동양인들이 잘하는 종목이라 충분히 가능
투수도 마찬가지 이미 박찬호도 있었고 동양인들 잘함...
봉준호 경우 아카데미 최초라... 이건 좀 힘들것 같긴 하지만 요즘 아카데미도 PC로 어쩌고 저쩌고 해서..
bts... 이건 좀 어렵긴 한데 계속 아이돌 나오면 bts급은 나올 수 있는데 문제가 집계방식을 바꾼...
손흥민 그래도 과거 차범근이 있어서 100년에 한번은 나올것 같긴 함 크크
의문의남자
22/06/01 02:20
수정 아이콘
저거동시에 나오는거보다 출산률 1.8회복이 더 힘들어보이네요
BibGourmand
22/06/01 12:59
수정 아이콘
그건 한만두하고 비벼도 비벼질걸요...
성큼걸이
22/06/01 02:04
수정 아이콘
희소성 면에서 손 득점왕이 원탑이겠고
김연아는 비인기종목인데 솔직히 과대평가되는 면이 크다 보네요.
나랑드
22/06/01 02:09
수정 아이콘
심권호 넣어야하지 않을지요...
유료도로당
22/06/01 02:47
수정 아이콘
100년이 얼마나 말도안되게 긴 기간인지.. 100년 전에는 일제시대였습니다. 3.1운동 근방이겠네요. 크크

심지어 김연아(2010년) 빼고 나머지 4개는 불과 [3년] 안에 모두 벌어진 일이네요. 류현진도 ERA 타이틀딴게 2019년이니..
곰성병기
22/06/01 03:14
수정 아이콘
100년안이면 다 나올거같은데요
수리검
22/06/01 06:26
수정 아이콘
김연아는 인기가 많은거지
스포츠인으로서의 업적을 논하는 거라면
비슷하거나 더 나은선수 최소 수십명은 있습니다

나머지도 100년이면 나오고도 남을듯

야구야 이미 메이저에서 그 급으로
활약한 선수만 이미 둘은 더 있고 ..
회색의 간달프
22/06/01 06:46
수정 아이콘
해당 분야에서의 포지션 생각하면
저 중에서 김연아가 탑급이긴 한 것 같습니다.
나름 피겨계에서 goat 취급이니..
수리검
22/06/01 07:25
수정 아이콘
김연아가 goat요?

올림픽 3연패 세선 10연패 현대 여자 피겨의 창시자라고 말해도 과하지 않은 소냐 헤니는 둘째치고
- 너무 고대 유물이니까 =_=; -

올림픽 2연패/세선 4회우승 의 카타리나 비트와
올림픽 1회 세선 2회의 김연아가 솔직히 비교가 된다고 보십니까?
심지어 카타리나 비트는 그 냉전시대에 동구권 선수면서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린 선수입니다
업적/인지도/인기 전부 비교가 안되는데요

김연아는 이미지에 비해 본인 활동기에조차 압도적이지 못했습니다
올림픽 두번과 세계선수권 여섯번에서 우승은 고작 3회입니다
뭐 판정의 아쉬움 같은거 감안해도 GOAT 소리 들을려면
최소한 동시대에서는 대적할 수준이 없을 정도로 압살해야 자격이 있는 거죠
당장 저 위의 카타리나 비트의 경우 올림픽 2연패 하는 전성기 기간동안
세선 5회 유럽선수권 5회 출전해서 세선 준우승 한번빼고 전부 우승했습니다

올림픽 2회출전 1회우승
세계선수권 6회출전 2회우승 앞의 두번은 전성기가 아니였다 고 치더라도
메이져 총 3회 우승에 반타작은 볼륨으로도 확률로도 시대의 완벽한 지배자라 말하기에 좀 부족합니다
하물며 GOAT ..
수리검
22/06/01 07:33
수정 아이콘
그리고 분야 자체의 위상이 넘사벽인데
해당 분야의 포지션으로 저중에 김연아가 탑이다 라는것도 이치에 맞지 않죠

당장 저 다섯중 전세계 사람 대상으로 인지도/인기 조사하면 누가 1등일까요?
김연아가 꼴지 내지는 잘해야 4위라고 확신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2/06/01 06:41
수정 아이콘
김연아는 위대한게 맞지만 피겨라는 종목이 생각보다 좀 많이 과대평가된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레슬링 심권호가 더 나오기 어려울듯
요기요
22/06/01 07:26
수정 아이콘
쏜같은 축구 선수는 내 생애 볼 수 없겠지.. 다시는
22/06/01 07:38
수정 아이콘
현진이가 싸이영을 탔어야됐는데...
가입17년차
22/06/01 08:36
수정 아이콘
김연아보단 장미란 넣고싶네요..
상하이드래곤즈
22/06/01 08:46
수정 아이콘
난이도로 치면 한만두 미만잡 아닌가요?
다른 의미의 짱이지만 크
페페로니피자
22/06/01 08:56
수정 아이콘
김연아는 2009 ISU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짤 하나로도 최고
모나크모나크
22/06/01 09:13
수정 아이콘
보니까 박찬욱도 최근에 또 상 탔떤데 봉준호하고 박찬욱은 위상 차이가 큰건가요??
사다하루
22/06/01 09:55
수정 아이콘
김연아가 저중에 가장 나오기 힘든것도 아닐테고,
GOAT라고 보기에는 모자랄수도 있고,
미란누님이 저자리에 들어가는 것도 전혀 어색하지 않지만,
김연아가 올림픽 2연패 못해서 그 시대에 압도적이지 못했다는 건 너무 후려쳐지는 것 같네요.
우승할 때 2등과의 점수차와 그 시절 피겨 관계자들이 김연아를 대하는 부분들만봐도 실력적으로는 압도적이었는데요.
두번째 올림픽은 금메달 받았어야 한다고 보고요.
긴 하루의 끝에서
22/06/01 10:45
수정 아이콘
김연아, 박태환, 더 나아가 손연재가 국내에서 엄청나게 화제가 되며 관심을 모았던 건 외모나 성격 등의 요소도 한몫을 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해당 분야들이 국내 기준으로는 완벽한 불모지로 인식되어 본디 꿈도 희망도 없는 곳이었기에 이들의 활약이 생소하고 신기하며 더욱 대단하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종목의 대중적 위상에 차이가 있을 뿐 비유를 하자면 한국인 선수가 nba를 폭격하거나 nba에서 손꼽히는 선수로 활약한 것과도 다를 바 없는 모습이었죠. 그 중에서도 김연아는 워낙 독보적인 모습을 선보이며 그 위상을 자랑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이들과도 또 차별적으로 인식이 되는 것이고요. 각 분야에서 선구자 격인 분들이 이미 존재하였다고는 하나 기존은 세계적인 수준과는 너무나도 차이가 컸다는 점에서 엄밀히 말하면 우물 안 개구리에 불과하였던 시절이라 실질적으로는 이들이 곧 선구자나 다름없이 인식이 되고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120 [서브컬쳐] 새로 나온 슬램덩크 밸런스 게임 [51] 닭강정10299 22/09/10 10299
461648 [스포츠] 미남 축구선수에 관심이 생긴 에타녀.jpg [19] Starlord12330 22/09/03 12330
460762 [게임] FM) 축구협회 뒷통수때려도 되나요.JPG [15] 비타에듀7307 22/08/22 7307
460543 [LOL] 황금올리브 실버 스크레입스 [89] 수퍼카10284 22/08/19 10284
460226 [기타] 실시간으로 터져나가는 익스트림무비.jpg [45] 오곡물티슈12676 22/08/15 12676
460134 [LOL] 플옵 1라운드 담원 vs KT 배당 [47] 카트만두에서만두7305 22/08/13 7305
460038 [유머] 어른들은 왜 채널을 "돌린다"고 할까요? [80] 길갈10932 22/08/12 10932
459343 [LOL] 아놀드 허 "LCK도 자체파워랭킹 만들면 안됨?' [93] EpicSide8670 22/08/03 8670
458633 [게임] 피파23,여성리그 구현 [20] Lord Be Goja6874 22/07/22 6874
457350 [기타] 슬램덩크 극장판 개봉 12월 3일 확정 [30] RENTON6080 22/07/02 6080
457349 [스포츠] 슬램덩크 등장인물 순수실력 투톱 [24] 인민 프로듀서7906 22/07/02 7906
456160 [스포츠] [NBA] 뉴욕 닉스 우승 [15] 아줌마너무좋아6225 22/06/15 6225
456089 [게임] ???:남자들은 게임하는 것만 보여줘도 돈 잘버네요 [59] 오곡물티슈11152 22/06/13 11152
455909 [유머] 요즘 유튜버가 고개 숙여서 사과하는 방법 [45] 종이고지서14635 22/06/10 14635
455556 [유머] [NBA]파이널 기념 작년 여름에 논란됐었던 엠팍 nba vs글 [50] Rain#16241 22/06/05 6241
455535 [스포츠] 남초 커뮤에서 잊을만하면 올라오는 논쟁거리 [64] 인민 프로듀서13973 22/06/04 13973
455289 [유머] 100년 동안 나오기 힘든 대한민국 5대 짱.jpg [36] 김치찌개8022 22/06/01 8022
455219 [스포츠] ??? : 네이마르 때문에 평생 처음 롤러코스터 타본 썰 푼다 [22] 손금불산입10365 22/05/30 10365
455030 [유머] 요즘 유게 근황 [62] 눈물고기10564 22/05/27 10564
454967 [LOL] 롤드컵에서 플인시작하면 힘든 이유 [38] Leeka6894 22/05/26 6894
454896 [서브컬쳐] (스포주의) 프로야구생존기 근황 [187] roqur7801 22/05/25 7801
454777 [유머] 진짜로 한알 준다면...jpg [90] 김치찌개9939 22/05/23 9939
454750 [스포츠] 손흥민 "살라가 골 넣었다고? 아..." [21] 빼사스11660 22/05/23 116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