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5/27 10:12:25
Name Leeka
File #1 1de6a575f554fb.png (145.6 KB), Download : 19
File #2 1de6692f8d3da4.png (122.6 KB), Download : 8
출처 유튜브
Subject [유머] 사이클링 운동 시, 스마트워치/밴드들의 심박수 정확도 비교







첫번째 이미지는 실내 / 두번째는 야외 사이클링 측정

1.00 에 가까울수록 정확함 (그래프가 오른쪽이고, 높을수록 정확)


상세 내용은 유튜브 참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27 10:14
수정 아이콘
애플의 위엄인가용..
22/05/27 10:14
수정 아이콘
애플말고는 쓰레기라는 뜻?
League of Legend
22/05/27 10:14
수정 아이콘
하나 살까..
너도그렇게생각하지?
22/05/27 10:15
수정 아이콘
갤럭시 워치4 가지고 있는데 저대로면 실내에서 워치4는 쓰레기란 건가요ㅠ
jjohny=쿠마
22/05/27 10:48
수정 아이콘
반대로 보입니다. 그래프 가로 스케일이 좀 어색하게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은데...

1에 가까울수록 정확하다는 것이고, 갤럭시 워치4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내: 0.90-0.91 사이
실외: 0.75 정도

- 실내는 대부분 0.9-1.0 사이니까, [실내에서는 어떤 기기든 웬만하면 큰 오차 없이 나온다]는 것이고,
- 실외에서는 0.75로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기는 하지만, 다른 기기들이 훨씬 더 많이 떨어지니까 [실외에서 갤럭시 워치 4의 상대적 정확도는 나쁘지 않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애플 기기들을 따라가지는 못하는 것 같지만...
단비아빠
22/05/27 11: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0.75면 상대적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 정도가 아니죠.. 25%가 틀린다는 뜻인데...
내 맥박이 현재 100인데 75로 찍히는게 정상입니까? 이건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의 오차입니다.
갤럭시 워치 4를 비롯해서 0.75 근방에 있는건 실외에서는 다 도저히 못쓸 수준이라고 봐야하죠.
그리고 실내에서도 척 봐도 꼴찌 아닙니까? 물론 10% 오차 정도면 간신히 어떻게 참고 쓸 정도는
될 것 같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갤럭시 와치 4 쉴드도 좀 적당히 치셔야죠...
차라리 시험이 이상하다고 주장하면 모를까.. 저 시험결과를 가지고 갤럭시 와치 4가 쓸만하다고 하시면 억지죠.
22/05/27 11:45
수정 아이콘
뭐 이리 흥분을 하시는지.. 새로고침을 할 때마다 2줄씩 글이 추가되어 있네요 크크
jjohny=쿠마
22/05/27 12:19
수정 아이콘
엥... 딱히 갤럭시 워치 4 사용자도 아니고 굳이 쉴드치려는 생각은 없는데요.

- [실내에서 워치4는 쓰레기란 건가요ㅠ]라고 하셨길래 실내에서는 어차피 기기별 큰 차이는 없는 것 같고 오히려 실외에서 기기별 편차가 크니까 그쪽이 더 의미가 있는 것 같은데, 실외에서의 상대적 비교우위는 갤럭시 워치 4가 딱히 떨어지지는 않는 것 같다는 얘기입니다. (그렇지만 어차피 최상급인 애플에는 못미치는 것 같다는 얘기도 덧붙였고요)

- 그리고 제가 실험데이터를 들여다본 것도 아니고 이상하다고 주장할 생각은 없는데요,

- 제가 이해하기로는 저 가로축의 correlation 값(최대값 1.0 기준)이 말씀하신 것처럼 [내 맥박이 현재 100인데 75로 찍히는] 그런 식으로 계산되는 개념은 아닐 것 같습니다.
블랙엔젤
22/05/27 12:55
수정 아이콘
왜케 화 나 있음요?
SG워너비
22/05/27 14:30
수정 아이콘
뭐이리 공격적이십니까 쿠마님이 굳이 쉴드를 왜칩니까 진영논리 진짜
다시마두장
22/05/27 16:15
수정 아이콘
이걸 뭐 쉴드라고까지 그러시는 지 모르겠네요.
유리한
22/05/27 10:15
수정 아이콘
미밴드6 쓰는디 생각보다 오차가 많군요 덜덜
너도그렇게생각하지?
22/05/27 10:20
수정 아이콘
다시봐도 갤럭시 워치4는 넘 충격인데요ㅠ
22/05/27 10:21
수정 아이콘
애플 사라!
갤럭시 핏2는 저기에 끼지도 못하는군요. 뭐 시계 알림만 필요해서 산거라...
스카이
22/05/27 10:24
수정 아이콘
심박수 재는게 기술력이 많이 필요한가보네요. 아니면 정확하게 재려면 비싼 부품이 필요하거나요.

폴라 보다 높은 신뢰성의 애플워치가 신기한데, 무엇을 기준으로 1인가요?영어가 제대로 해석이 안 돼서 ㅠ
우스타
22/05/27 11:12
수정 아이콘
폴라H10 두 개를 차서 하나는 레퍼런스로, 다른 하나는 차트에 보여줬다는 소리네요.
ECG/전극 방식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7:06
스카이
22/05/27 13:5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같은 기기 두개를 차고 차이가 얼마나 나는가 봤다는 거죠?그런 식이면 성능이 안 좋게 나온 걸로 보인다고 크게 신경 쓸 자료는 아닌 것 같네요.
우스타
22/05/27 14:22
수정 아이콘
차트상에서 X축은 Polar H10과의 심박수 측정값 상관관계입니다.
Polar H10 v. Apple Watch 6, Polar H10 v. Apple Watch 7, Polar H10 v. Apple Watch SE, Polar H10 v. Galaxy Watch 4 등등등...
Polar H10인 이유는 이것이 흉부 전극을 통한(심전도, 즉 ECG 측정법) 측정법을 사용하기 때문이고, 이것은 실시간 심박수 측정에 있어 가장 정확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흉부를 까서 육안으로 심장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이상.
이에 반해 대부분의 스마트워치는 (= 이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스마트워치는) 손목 부분 광센서를 통한 혈류 인식으로 심박수를 측정하며, 정확도가 외부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센서 자체의 성능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정확도가 더 떨어질 수도 있고요.

그러면 차트에 Polar H10이 또 있는 이유는 뭐냐? 일부 테스트에서 Apple Watch 제품군이 Polar H10보다 상관관계가 높은 이유는 뭐냐?
여기서 제 원래 답이 나옵니다. Polar H10(1) v. Polar H10(2)을 해봤다는 겁니다. Polar H10도 기기마다 오차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여기서 (1)이 레퍼런스고, (2)와 상관관계 분석을 해서 차트에 올린 겁니다.
[적어도 일부 테스트에서는] 광센서를 쓰는 Apple Watch 제품군이 ECG 방식을 쓰는 Polar H10과 필적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애플워치나 갤럭시워치에서 ECG 있다는데?
네 일부 제품에 있습니다. 그런데 그건 통상시(=운동할 시) 심박수 모니터링에 쓰이지 않고, 보통 별도의 앱에서 별도의 절차(ex. 바로 앉은 자세에서 크라운/버튼부 등 특정 부분에 손목시계를 찬 쪽의 반대편 손의 검지를 댄다)를 거쳐서 진행됩니다.
스카이
22/05/27 15:11
수정 아이콘
아하 이해한 것 같습니다.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2/05/27 10:24
수정 아이콘
가민이고뭐고 애플이 짱짱이네
물론 사용시간이나 환경 같은 것도 더 따져봐야겠지만
미모진
22/05/27 10:24
수정 아이콘
차는 위치에 따라서도 수치가 달라지지 않나요? 같은 위치에 차고 같은 조건에서 측정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그리고 심박수도 같은 날 계속 운동하면서 교체해 가면서 측정하는 건 의미없다고 봅니다. 먼저 했을 때와 나중에 했을 때도 수치가 다른데요. 심박수가 사람이 일정하지가 않잖아요. 처음 할때는 낮다가 나중에 가면 높아지고 그런데 그걸 다 감안해서 똑 같은 조건에서 측정한 거면 인정.
돈테크만
22/05/27 10:2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심박수 측정인데 실내/실외가 차이날 이유가 있나요?
22/05/27 10:29
수정 아이콘
심박수가 빛을 이용해서 측정하는 방식이라 태양광이 방해가 되긴 할겁니다
너도그렇게생각하지?
22/05/27 10:2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삼성인데 테스트의 오류가 있지않을까요....
22/05/27 10:29
수정 아이콘
성능 = 애플
윤석열
22/05/27 10:32
수정 아이콘
갤럭시가 가민 애플은 몰라도 화웨이보다 성능이 안좋다니.. 쉽사리 믿어지진 않네요
alphaline
22/05/27 10:34
수정 아이콘
손목 착용으로 저 정도 퍼포먼스를 내는 애플이 정말 대단하긴 하네요
손목 착용 심박 측정은 전극을 사용하지 않는 간접 방식이라 진동과 충격에 정말 취약합니다
가장 정확한건 역시 가슴에 차는 스트랩 형식이고
자덕이라면 각종 센서 정보를 통합해서 볼 수 있는 가민 엣지 같은 사이클링 컴퓨터 하나씩은 다 핸들바에 달고 다니기 때문에
사이클링 한정 손목형 심박 측정 기기 성능 비교는 사실 의미가 없습니다 쓰는 사람을 못 봤거든요

더 나아가면 심박을 이용한 트레이닝 자체가 사이클링에선 이미 큰 의미가 없어진지 5년 이상 지났죠
파워미터로 측정한 출력 기반 파워 트레이닝이 메인이고 심박은 가끔 보조 지표로나 활용합니다
신의주찹쌀두뇌
22/05/27 12:23
수정 아이콘
오잉? 그래요? 유산소 영역 내에서 운동하려면 심박이 중요한게 아닌가요? 요즘 런닝하느라 심박수 재가면서 달리는데 사이클링에서는 의미 없다는게 신기하네요
alphaline
22/05/27 12:51
수정 아이콘
자세히 설명하면 길어지는데 젖산 역치로 정해지는 유산소 영역이라는 개념 자체가
개인이 내는 출력(W)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다만 예전엔 운동 중의 실시간 출력을 잴 방법이 없으니 간접 지표인 심박을 활용했던 것 뿐이고요
심박은 파워 출력에 따라 개인이 받는 스트레스를 간접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시간상 후행적이고 환경 요소(온습도, 몸 상태 등)에 따라 변화가 커서 부정확합니다
사이클링은 자전거 부착 파워미터의 등장으로 심박 개념 트레이닝은 거의 멸종했고
러닝의 경우 운동 특성상 정확한 파워 측정이 힘들지만 최근엔 런팟 등 러닝에서도 파워 기반 트레이닝 개념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신의주찹쌀두뇌
22/05/27 13:14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심박수 측정이 심장 자체를 트레이닝하는 개념으로 생각했는데 좀 다르군요
물맛이좋아요
22/05/27 15:57
수정 아이콘
자전거 기준으로는

속도 - 심박 - 파워미터 순으로 좀 더 정확도가 높은 측정 기준이 됩니다.

초보분이랑 탈 때 대충 앞에서 끌어보면 초반에 잠깐 라이딩하면서

아 저 친구는 파워 180 까지는 따라오니 150 정도로 쭉 끌어주면 되겠군

이런식으로 판단하고 앞에서 끌어줍니다.
신의주찹쌀두뇌
22/05/27 16:19
수정 아이콘
속도계같은건줄 알았더니 페달형이군요.. 이런게 다 있다니
물맛이좋아요
22/05/27 18:08
수정 아이콘
페달형, 크랭크형, 크랭크암형, 허브형 그 외 여러가지

되게 많이 있습니다. 저는 크랭크형 파워미터를 쓰고있구요.

전투력 측정기(?)입니다.

한 번 정리해서 글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갑의횡포
22/05/27 10:40
수정 아이콘
감성의 애플이 아니라 정말 성능의 애플, 너무 좋아
22/05/27 10:42
수정 아이콘
애플페이만 들어오면 넘어갈 이유가, 그렇잖아도 많은데 하나 더 추가되네요.
우스타
22/05/27 10:49
수정 아이콘
통화녹음만 기기 자체에서 가능하면 넘어갈 사람은 많을 것 같아요

저만 해도 통녹이 애플-->갤럭시 넘어간 이유 1순위라.
Just do it
22/05/27 10:42
수정 아이콘
심박수를 딱히 안봐서...
봐서 뭐하나 싶기도 하고
22/05/27 10:43
수정 아이콘
생체gos
22/05/27 10:51
수정 아이콘
애플이 비싸고 불편하고 어쩌니 해도 모든 기기에서 저 수준의 퍼포먼스를 뽑아주니 안쓸수가 없어요
22/05/27 10:55
수정 아이콘
워치는 걸음수 보려고 사는 거 아니었나요!
달달합니다
22/05/27 11:12
수정 아이콘
갤럭시폰에 애플워치도 괜찮나요?
iPhoneXX
22/05/27 13:03
수정 아이콘
아니요. 그냥 기능 반도 못씁니다.
22/05/27 11:19
수정 아이콘
저는 워치4 사용자인데 저 테스트는 신뢰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손목 심박 측정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는 기기가 얼마나 밀착되어 있느냐 입니다. 사실 측정 원리 자체는 아주 단순하기 때문에 무슨 기기 퍼포먼스에 따른 큰 차이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특히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 스트랩의 종류 및 착용자의 사이즈와의 궁합이 중요해 집니다. 그런데 모든 기기들이 같은 스트랩을 사용하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죠. 아니, 똑같은 스트랩을 어찌 쓴다고 해도 기기의 사이즈 또한 달라서 같을 수가 없죠. 저는 갤럭시 워치4의 심박 기능을 하이킹, 자전거로 매일 측정하면서 쓰고 있는데 손목에 밀착이 제대로 되는한 중간에 측정이 안되거나 튀거나 하는 일도 없고 작은 운동 강도의 변화도 충실히 반영하는 등 성능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22/05/27 11:25
수정 아이콘
운동하려고 워치샀는데 심박수는 흥미 위주로 보고 수영도 흥미 위주로 보고..

젤 유용한건 무거운 폰을 (락커 같은 곳에) 멀리 둔 채로
시계의 타이머기능을 쓸 수 있다는거 하나로 대만족중입니다.

두번째 유용한건 태양페이스. 등산시 일몰까지 남은 시간이 직관적으로 보여서 좋네요. (+ 날씨 + 기온 + 대기질 같이 보기)

이거 2개가 넘 편해서 워치가 나에게 제공할 수 있는 특별한 편리함이 뭘까 더 고민해보다가..

애플TV를 사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중입니다 크크
에어팟도 있어서 음악듣기에도 워치가있으면 더 편할거 같지만 평소에 '돌아다니면서' 음악을 듣는 편이 아닌지라..

시계외적으로 이거 2개가 저에게 젤 유용한거 같습니다.
글쓴이
22/05/27 11:30
수정 아이콘
애플워치 쓰다가 저기 나오는 가민 베뉴2로 쓰고있는데 의외네요
애플워치는 한시간 쇠질했다고 소모 칼로리가 7-800칼로리인거 보고 너무 과추정 된다는 느낌이었는데
차마고도
22/05/27 11:31
수정 아이콘
의외네요. 제가 몇년전에 직접 여러개 차고 해봤을 때는 가민이 제일 나았었는데 애플 기술이 많이 올라왔나봐요.
Janzisuka
22/05/27 11:35
수정 아이콘
그래도 0.9정도면 큰 차이는 아니니깐 역시 감성의 삼성!
RED eTap AXS
22/05/27 11:54
수정 아이콘
다른 애들이야 운동 측정이 주가 아니지만
가민님의 상태가....
페로몬아돌
22/05/27 11:59
수정 아이콘
가민 안사 크크크 애플 산다
배고픈유학생
22/05/27 12:43
수정 아이콘
갤워치 애플워치 가격이 2배차이나는데요
유료도로당
22/05/27 12:56
수정 아이콘
실험설계를 어떻게했는지도 불분명한 유튜버 자료에 너무 힘쓰실필요 없습니다.. 크크 개인적으로는 갤럭시워치3 쓰고있고 애플워치 빌려서 써본적있는데 값이 똑같이 나왔었습니다.
iPhoneXX
22/05/27 13:02
수정 아이콘
사이클도 저모양이면 타 운동도 비슷하겠네요. 어짜피 심박 측정이야 크게 다르지 않을테니...난 애플워치가 오차가 있는줄 알고 가민 샀는데..ㅜㅜ
물맛이좋아요
22/05/27 13:12
수정 아이콘
제가 사용하는 미오슬라이스가 없네요...
22/05/27 13:30
수정 아이콘
성능의 애플 후덜덜...골프칠때도 여타 스마트워치 앱보다 애플워치가 거리측정기에 가까운 거리측정치를 보여줍니다.
22/05/27 14:20
수정 아이콘
가민 10만원 정도 세일하는거 살까했는데 그냥 애플워치 사야겠네…
마스터충달
22/05/27 16:55
수정 아이콘
사실 이 데이터의 진정한 패자는 삼성이 아니라 가민.... 얘네 진심 1등 못해서 빡칠 것 같은데...

삼성은 결과보고 안 빡칠 듯요 크크크
물맛이좋아요
22/05/27 18:09
수정 아이콘
기승전가민... 이었는데 빡쳐야하는게 맞죠..크크
공실이
22/05/28 00:23
수정 아이콘
애플 정말 대단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7310 [유머] 택시기사가 이러면 현금 낸다 vs 카드 낸다 [44] 김치찌개7593 22/07/02 7593
457290 [유머] 소주1병 원샷하는 유튜버 근황 [62] Starlord10992 22/07/01 10992
457277 [유머] 어린 세대 사용 브랜드와 갤럭시에 대한 인식.jpg [180] 삭제됨11145 22/07/01 11145
456976 [유머] 학생 성적이 참 좋군요 [40] 이호철9921 22/06/27 9921
456649 [유머] 37세의 혼인 + 주택 소유 통계 [38] Leeka11624 22/06/22 11624
456648 [유머] 원 달러 1300원 고지전 [51] 맥스훼인8964 22/06/22 8964
456610 [유머] 자본주의보다 더 자본주의적인 사회주의 국가 [25] 맥스훼인9457 22/06/21 9457
456576 [유머] 와이프가 이혼하자는 데요.txt [107] 삭제됨12469 22/06/21 12469
456547 [유머] 한국 공무원 근황.jpg [42] 김치찌개13705 22/06/20 13705
456518 [유머] 올해 11%밖에 안 빠지고 선방한 주식 [10] 맥스훼인9667 22/06/20 9667
456493 [유머] [주식] 점점 현실로 다가오는 그숫자 [31] 삭제됨8894 22/06/20 8894
455981 [유머] 이번 로또 당첨자들 희소식 [14] 앗!힝!엨!훅!7631 22/06/11 7631
455875 [유머] GTA 5 판매량 근황 [39] Leeka6182 22/06/10 6182
455834 [유머] 스타워즈 액션 근황 [85] roqur7761 22/06/09 7761
455721 [유머] 공인중개사가 보는 요즘 2030의 제테크 개념 수준.jpg [103] 김치찌개12146 22/06/08 12146
455676 [유머] 내년 업데이트 예정인 애플 카플레이 [25] Leeka6648 22/06/07 6648
455310 [유머] 루나 2.0 근황.jpg [22] 삭제됨7850 22/06/01 7850
455253 [유머] 비키세요 26살 연봉 9000 지나갑니다.JPG [111] 핑크솔져15135 22/05/31 15135
455014 [유머] 사이클링 운동 시, 스마트워치/밴드들의 심박수 정확도 비교 [58] Leeka10762 22/05/27 10762
454997 [유머] 대한민국 자격증 올타임 레전드.jpg [17] 김치찌개6970 22/05/27 6970
454964 [유머] 그래픽카드 가격 근황 [47] roqur8378 22/05/26 8378
454895 [유머] 김대리, 너무 엑셀 팡션? 사용하지 마세요 [35] 푸크린9625 22/05/25 9625
454894 [유머] 탈북자가 말하는 한국 평양냉면.jpg [71] 삭제됨9245 22/05/25 92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