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5/23 12:34:18
Name 삭제됨
출처 애객
Link #2 https://aagag.com/issue/?idx=1095934
Subject [유머] 부모재산과 연봉이 전부가 아님.jpg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23 12:37
수정 아이콘
연봉 5천이나 6천이나 사는거 1도 안바뀌던데..
소믈리에
22/05/23 12:41
수정 아이콘
5,6천되면 인생이 바뀐다라기 보다는

회사에 묶여 인생허비하지 말고(혹은 본인이 금수저라도 부모님에게 휘둘려 살지말고)

본인이 주도하는 삶을 살라는거죠

그렇다고 그래 내가 하고싶은 일을 하겠어!!!

하고 연봉 2000짜리 가면 너무 현실에 안맞을 수 있으니

글쓴이가 대략 잡은 선이 5,6천인듯요

굳이 금액을 따지고 들 필요가 없는듯

저는 저거보다 좀 낮아도 된다고 생각해요
22/05/23 12:47
수정 아이콘
회사에 묶인다는건 공감가네요
공기업왔는데 더 좋은곳 갈 자신은 없고
연봉 깎긴 싫고 그래도 한달씩 여행다니고 싶긴 한데
이웃집개발자
22/05/23 12:38
수정 아이콘
아니 시끄럽고 벼락부자 할래요
22/05/23 12:40
수정 아이콘
저도!!!!!!!!!!
22/05/23 12:40
수정 아이콘
22222222222
다시마두장
22/05/23 12:54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생각 하면서 스크롤 내렸네요 크크크
22/05/23 13:15
수정 아이콘
부자로 불행해보고 싶다..
시린비
22/05/23 12:40
수정 아이콘
뭐래 돈이나 줘 인간관계 파탄 안내고 비틱졸부짓 안할테니까
22/05/23 12:5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신이 돈을 안 주시는 겁니다..?
마음에평화를
22/05/23 12:40
수정 아이콘
제가 프린세스 메이커2를 열심히 해본 결과

돈 많으면 능력 높이기도 쉬움
카마인
22/05/23 17:49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을 보고 오늘부터 서쪽으로 칼 들고 떠나보겠습니다.
22/05/23 12:40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는 수긍이 가는 내용이네요.
연봉 천만원 정도 올리는거 보다야 내가 재미있어 하고 흥미를 느끼는 일 하는게 더 좋은듯
22/05/23 12:45
수정 아이콘
벼락부자가 되면 재밌고 흥미만 느끼는 일만 할 수 있죠 ㅠ
22/05/23 12:52
수정 아이콘
당연히 벼락부자가 되는게 가장 좋겠지만 현실성이 없고 ㅠ
연봉 7천 업무 퀄리티 낮음 vs 연봉 6천 업무 퀄리티 높음 이면 후자가 좋을 수 있다는게 본문 글이니까요.
Janzisuka
22/05/23 13:4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긴 한데
그 한번 올린 1천이 내년에 2천 3천이 되는 발걸음이라..
전 돈의 노예여서..이직할때 프로젝트랑 연봉 두개만 보고..복지 이런거 하나 안보고 결정했었는데..ㅠㅠ
샤르미에티미
22/05/23 12:40
수정 아이콘
결론은 돈이 최고라는 이야기네요.
22/05/23 12:41
수정 아이콘
다 필요없고 벼락부자해서 놀래요
는 농담이고

일부분은 저랑 비슷한 생각이 있네요
Just do it
22/05/23 12:46
수정 아이콘
내가 뭐하고 있는거지란 생각 안드는 직장이 얼마나 될련지 크킄
다레니안
22/05/23 12: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게임이 숙제처럼 느껴지면 재미가 없어져서 안하게 되듯, 일도 마찬가지더라구요.
다만 게임은 접고 다른 게임 찾으면 그만이라지만 일은 그럴 수가 없으니...ㅠㅠ
사상최악
22/05/23 12:49
수정 아이콘
그냥 겪어보지않은 사람의 추측이죠.
EpicSide
22/05/23 12:49
수정 아이콘
그래서 내 돈은 어디갓지...?
22/05/23 12:55
수정 아이콘
사실 첫 번째가 핵심 같은데 이런 데 올라오면 두 번째에만 집중해서 불타죠
버거킹맘터
22/05/23 12:55
수정 아이콘
일단 경험해 볼께요 건물부터 줘봐요
이경규
22/05/23 12:55
수정 아이콘
유머글에 유머댓글이라지만 댓글 분위기 보면 한국이 왜 망했는지, 천민자본주의인게 바로 보이는
안수 파티
22/05/23 13:03
수정 아이콘
석박사 진학하면 루틴대로 하는 일 or 마지못해 하는 일을 안할 거라고 생각하곤 하죠.
아이군
22/05/23 13:03
수정 아이콘
돈이 행복의 지표화 된 이유도, 생각해보면 그 돈을 버는 노력과 맥락이 있어서죠. 하는 거 없고 능력도 없는 데 그냥 건물주가 될 수는 없죠.
시간부자
22/05/23 13:03
수정 아이콘
첫번째는 제가 느끼기에 진짜 맞는 이야기인게
제가 사업장을 일년반정도 하면서 돈은 많이 벌었는데 '내가 여기서 지금 뭐하고 있는거지'라는 생각이 하루종일 들어서 때려치고 소득을 반으로 줄여서 의미있는 일을 찾아 왔습니다. 바꾼지 2년째인데 훨씬 행복해요.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일하면서 보내는데 거기에 내가 느끼는 의미와 재미가 단 1도 없다면 인생이 불행할거 같네요.
iPhoneXX
22/05/23 13:07
수정 아이콘
모 병원장 아들이랑 술 먹은적 있는데 "인생이 낙이 없다"라고 하긴 하더군요 크크
22/05/23 13:23
수정 아이콘
낙을 다 즐겼으니 한번 즐겨보고싶긴해요
raindraw
22/05/23 13:08
수정 아이콘
첫번째는 좋은 이야기 같네요.
정보량 과다의 시대라 사람들이 전부 위만 바라보고 모두 나는 빈곤 혹은 극빈이라고 주장하는 시대 같습니다.
라파엘
22/05/23 13:11
수정 아이콘
삼성의 한 연구소에서 연봉 9200받고 일하다가
32살에 퇴사한게 벌써 9년전이네요.

딱 저 느낌이었어요
답답하고 지루하고 영혼이 썩어가는 느낌…

지금은 참 행복합니다.
일이 재밌는게 인생의 행복지수에 정말 큰 영향을 미치더군요.
산다는건
22/05/23 14:01
수정 아이콘
지금은 뭐하시나요?
라파엘
22/05/23 14:30
수정 아이콘
전문직이고 따로 사업도 합니다
22/05/24 11:14
수정 아이콘
9년전 9200이면 직장인으로는 어마어마한 액수네요
라파엘
22/05/24 12:37
수정 아이콘
당시에 삼성그룹에서 연봉이 꽤 높은 편인 회사에서
좋은 고과가 몇년 누적되어서 연봉이 상당히 올라있는 상태에서 퇴사를 했었죠.
카디르나
22/05/23 13:12
수정 아이콘
원래 월수입 800만원까지는 행복과 수입이 비례한다는 연구결과가 많죠. 그런데, 800만원 이상부터는 돈이 아무리 많아도 행복과 연결되기 힘들 수 있지만 월수입 800만원 이하까지는 비례한다는 이야기...
썬업주세요
22/05/23 13:22
수정 아이콘
제가 본 임금 한계효용 자료는 거의 년 2억가까이 됐던거같은데요.. 크크
Dark Swarm
22/05/23 17:13
수정 아이콘
지금 검색해보니 미국에서 2009~10년에 조사한 자료가 연봉 85백만원 정도라는 건 있네요.
마갈량
22/05/23 17:21
수정 아이콘
미국은 생활비용이 한국보다 높지않아요?
Dark Swarm
22/05/23 18:22
수정 아이콘
좀 지나기도 하고 나라도 틀리니 저 결과 그대로 적용은 못 하겠죠. 국내 자료가 있나도 찾아봤는데 딱히 근거가 있는 글을 못 봤네요.
윤석열
22/05/23 13: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공감합니다. 부모님이 백억대 자산가 이시고 저도 그 밑에서 10년가까이 일하고 있는데 제가 하고 싶은 일도 아니다 보니
업무를 성공해도 일에 성취감이 전혀 없고
업무도 죽지못해 하는 수준이다보니.. 주변에서는 배부른 생각이다 하겠지만 내인생을 사는 기분은 전혀안들고
제 인생의 주도권이 부모님에게 있는 기분이라(실제로 그런게 아니고 기분 뿐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위태하지 않아도
정서적으로 위태한 느낌이 늘 있었습니다. 모래위에 성을 쌓아놓은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그냥 바람불면 날아갈 업적이라고 해야할까요..
그래서 독립을 준비중인데 독립을 진작 했어야 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실제로 내 입에 들어오는것도 중요하지만 내 정신에 들어오는게 더 중요한거 아니였나 싶네요..
산다는건
22/05/23 14:02
수정 아이콘
어떤 일을 하시는건지 궁금하네요. 부모가 백억대 자산가라면 뭔가 별개의 법인과 사업을 시킬법한데.
아스날
22/05/23 13:22
수정 아이콘
비현실적인 이야기같네요..
월급쟁이 대부분 내가 여기서 뭐하고있지 이런 생각하는데 그렇다고 대안이 딱히 있냐 이런 사람은 극소수라고 생각합니다.
소믈리에
22/05/23 13:29
수정 아이콘
근데 글쓴이 말이 맞다고 치고 연봉 5,6천 안되면 해당 안된다고 봤을때

급여소득자 80프로는 저 말에 해당안되는 사람들입니다 크크크

댓글에서 월 800까지 행복과 소득이 비례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 기준으로 월800컷치면 95프로는 해당 안되는 사람들이구요 크크크

2020년 통계청 자료 기준입니다
성큼걸이
22/05/23 13:24
수정 아이콘
글쎄요 job이 지속적으로 재미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는 회의적이네요
처음에는 재미있거나 보람찬 일이었고, 다른 사람이 부러워하는 일일지라도
연차가 쌓일수록 루틴잡의 비중이 늘어나고 크리에이티브하게 주도하는 영역은 점점 줄어듭니다. 그러면서 매너리즘에 빠지죠
결국 일은 돈벌려고 참고 하는 거라는걸 부정하기 어렵다 생각해요
나이스후니
22/05/23 13:26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공감은 하지만, 마음속 한켠에는 배부른 소리라고 생각되네요. 대부분은 연봉 천에 흔들릴수밖에 없는 사람들인데요
윤석열
22/05/23 13:2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대한민국 청년들이 괴로운 이유가 학벌주의사회에 있다고 봅니다.
뭐 공부가 빡세고 그런것들이 아니라 학생들이 전공선택에 전혀 집중하질 않아서요.

청소년기부터 많은 경험을 토대로 본인의 적성을 찾아서 전공을 선택하고 전문교육기관에서 그 전공을 갈고 닦은 후 그 전공을 살려 자신의 직업을 찾아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청소년기에는 국영수 위주로 돌리고 성적위주로 대학과 과를 결정한후 과와 관련없이 대기업이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를 하죠.
즉 10살부터 30살까지 본인에게 행복을 주는 행동을 하는 케이스가 극소수라는 소리고 이것이 물질적 부와 더불어 정신적 빈곤을 가져다 주고
미래의 인생까지도 좀 먹는 결과를 내는거죠.
도들도들
22/05/23 19:2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자기한테 조금이라도 더 맞는 일을 해야 맘이 편하고 행복할 가능성이 높은데, 남들이 조금이라도 더 좋다는 길만 찾아가려니까 행복하기가 어렵죠. 패자는 물론 승자도요.
22/05/23 13:33
수정 아이콘
능력이 받쳐주지 않는 벼락부자..??
부자인게 곧 능력인데 크크
비둘기야 먹쟛
22/05/23 13:34
수정 아이콘
연봉 5-6억, 사실 10억이 돼도 안바뀐다. 결국 재무상태표에 내 자본이 얼마나 잡혀있느냐다.
12년째도피중
22/05/23 13:39
수정 아이콘
다 맞는 말 같습니다.
그러니까 아버지, 어디 숨겨둔 건물 없으슈? 내 인생 참견은 할만큼 하신 것 같은데.
이혜리
22/05/23 13:49
수정 아이콘
연봉 1억 넘어도 환갑 한참 넘은 아빠한테 금수저 되고 싶으니까 노오력 하십시오 하는 후레자식이 나다 임마.
NT_rANDom
22/05/23 13:50
수정 아이콘
유량(FLOW)이 중요한게 아니라 저량(STOCK)이 중요합니다.
월급없어도 재산 많으면 벤츠탈수있고
월급 천만원도 주택담보대출갚다보면 아반떼 탈수있습니다.
일면식
22/05/23 14:02
수정 아이콘
돈이 된다고 능력이 따라오는건 아닌데
능력이 되면 돈이 따라오는건 맞죠.

능력자는 어디대려놔도 결국 잘 벌고,
무능력자는 진짜 말도 안되게 재산 다 해처먹는거 금방입니다.
22/05/23 14:19
수정 아이콘
무능력자는 어떻게 재산을 해처먹을까요?
아무리 무능력자라도 벼락부자면 그냥 가만히만 있어도 평생 먹고 살거 같은데
22/05/23 14:31
수정 아이콘
무능력자인데 돈이 많으면 일안하고 백수로 살겠죠 시간이 많다보니 이것저것 뻘짓하기도 쉽고 그러다보면 돈 까먹는거 같아서 조급한 마음에 돈 굴려볼까 하다가 사기먹기도 쉽고 사기먹으면은 그 돈 메꿀려고 또다른 사기를 당하기도 쉽고 그렇겠죠
22/05/23 14:46
수정 아이콘
주변 보면 가만히 있지 못하고 까먹는사람이 많습니다
22/05/23 15:31
수정 아이콘
본인도 가만있지 못하고 주변 가족 지인들도 가만있지 못하게 하죠. 늘어난 재산만큼 사람은 쓰게 되어있어으니까요
-안군-
22/05/23 14:06
수정 아이콘
정보: 본 글은 소득순위 상위 10% 이내에 들어가지 못했다면 아무짝에도 도움이 안되는 내용이다.
그 닉네임
22/05/23 14:08
수정 아이콘
근데 확실히 졸부거나 돈은 많이 벌지만 떳떳하지 못한일(예:토사장)하는 사람들은 인간관계나 명예에 심할 정도로 집착하더라구요. 자존감도 가진 돈에 비해 높아보이지도 않구요.
4Atropos
22/05/23 14:25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개체차가 있으니 절대적으로 다 맞는 말은 아닐지라도 틀린말은 없어보이네요..
돈이 행복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행복의 필요조건은 되니까요.
렉서스
22/05/23 14: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서 운동선수 연예인 정치인 등 예체능 빼고, 보람있게 일하려면 창업자 아니면 전문직입니다.
성공한 기업가는 적지만, 역대 세계의 여러 기업가 영웅들이 미친듯이 몰두해 성공한 이야기는 많이 쌓여 있고, 그들의 타고난 성향이 많이 작용하는 것이지만 '사업을 일으킨다'라는 건 그만큼 짜릿한 쾌감이 있는 일이라서 미친듯이 일할 동력이 되지요.
그 외엔 그나마 변호사 의사 전문직입니다. 특히 개업한 전문직.
자기가 사장이고 그래서 직장에서 지시 받지 않고, 말 그대로 전문적 분야라 고객에게 권위를 갖죠. 고객이 부자건 교수건 연예인이건 기업 오너이건 병나면 의사, 법 분쟁 나면 변호사 말 듣습니다.
제 생각엔 성공한 개업변호사가 최고입니다. 개업의와 달리 진료실에 갇혀 있을 필요도 없고, 의사들과 달리 사기를 안 당하고, 시간 사용도 자유롭고, 업무 특성상 경쟁심과 승부욕, 승리의 쾌감을 느낄 수 있고, '고맙습니다' 말 들을 수 있고 등등.
IT 개발자 등 이과는 제가 모르겠네요.
22/05/23 14:34
수정 아이콘
"성공한" "개업" 변호사가 최고인건 동의하는데 이게 되는 것 자체가 힘들죠. 변호사는 의사보다 더한 Winner take it all 시장인데다가 망했을 때 하한이 없거든요. 취직 자체(물론 페이를 일반 월급쟁이 수준으로 낮추면 되긴하는데 그럼 변호사를 굳이 하는 의미가 없음)가 안 될 수가 있어서. 반면 의사는 하한(최악의 경우 요양병원 당직의라도 할 수 있으며 요당이라도 대기업 이상 월급이 보장됨)이 보장되는 점이 최고 강점입니다. 상한은 변호사보다 낮지만. 그래서 제 자식이 공부를 잘 해서 둘 중 하나를 고르려 한다면 저는 무조건 의사 추천합니다.
소믈리에
22/05/23 16:15
수정 아이콘
Better call saul!!!
사업드래군
22/05/23 19:29
수정 아이콘
성공한 개업 의사면 페이 여럿 써서 자동진료 돌려놓고 본인은 아예 진료 안 보시는 분들도 널려 있습니다. 크크.
김유라
22/05/23 14:27
수정 아이콘
그때 그때 다른거 같아요.

저는 지금 집사놓고 그 빚 갚아나가는 재미로 살고 있거든요. 빚 다 갚으면 그때부터 행복의 기준이 달라지지 않을까 싶네요.
22/05/23 14:29
수정 아이콘
중간은 다 맞는 말인데 그래서 결국 결론이 공부하란소리면 별로 다를 바 없는 얘기인거 같기도하고
Old Moon
22/05/23 14: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그 돈 필요없으면 나줘요.
22/05/23 14:55
수정 아이콘
여러모로 동의가 되네요. 돈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내가 좋아하는 일을 주도적으로 일하는 게 중요하죠.
22/05/23 15:18
수정 아이콘
동의는 하지만 현실의 벽으로 인해 여러모로 실행하기 힘들죠
돈벼락
22/05/23 15:54
수정 아이콘
일단 줘요
22/05/23 16:18
수정 아이콘
딱한가지 본문서 말이 안되는건

코인졸부가 능력도 없이 돈만 많다라...
코인으로 졸부 되는게 능력인데요??
made.of.more
22/05/23 17:43
수정 아이콘
반지하 창살잡고 우느니 벤츠 운전대 잡고 울겠습니다.
22/05/23 17:45
수정 아이콘
고액연봉을 받아본적은 없지만 저 위 본문의 '회사에서 시키는 일이 백프로고 내 판단으로 하거나 일이 재밌어서 하는 게 전혀 없으면'이 핵심인것 같고 공감되네요. 시키는 일만 할때랑 제가 주도적으로 결정해서 하는 업무랑은 전혀 다르고 그런 일을 하고나서 보람되더라구요.
집에가고싶다
22/05/23 18:31
수정 아이콘
연봉과 워라벨에 밀려서 잘 언급이 안되서 그렇지, 직업에서의 성취감이라는건 실제로 엄청 중요하죠...
때때로는 워라벨을 포기하면서까지 스스로를 갈아넣게 되는 원천인데..
할러퀸
22/05/23 18:34
수정 아이콘
교사인데 만족합니다. 저경력이라 월급은 박봉이지만 보람있어요.
22/05/23 19:07
수정 아이콘
보람도 없고 회사에서 하는일에 비해 인정도 못받고 박봉에 나이는 먹엇고 크크.. 진퇴양난이네요..
22/05/23 19:1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재산이 많다면 첫글처럼 내가 여기서 뭐하는거지? 에 대해 아 그냥 됐고 내 하고싶은거나 해야겠다 하고 쿨하게 퇴직할수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하지만 빚도있고 재산도 없다면 그렇게 생각하더라도 영혼없이 회사의 기계부속으로 남는걸 받아들이는거 말곤 변수가 없어요..
두번째는 자기만족이 중요한 영역인데 저런 자존감없는 부자들이 꼭 코인졸부는 아니지만 저런 유형의 돈많은 분들이 제법있는걸로 보아서 틀린말은 아닌거같긴 하네요. 자존감이 낮다보니 항상 불신과 혐오를 패시브로 가지고있어 매사에 방어적이라 스스로 피곤해지는 스타일이고 자신자체에 대해 만족을 못하고 명품, 비싼 동네거주나 차량 등 돈자랑 혹은 자기보다 돈이 없어보이는 남 혹은 집단을 무시하는 태도로 본인을 어필하는 부류들 흔히 볼수있죠.
가만히 손을 잡으
22/05/23 22:31
수정 아이콘
그런 빡빡한 직장생활에서 소소한 자기 행복을 찾아야지요. 대부분 그렇게 삽니다.
주도적인 자기 인생사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7310 [유머] 택시기사가 이러면 현금 낸다 vs 카드 낸다 [44] 김치찌개7593 22/07/02 7593
457290 [유머] 소주1병 원샷하는 유튜버 근황 [62] Starlord10992 22/07/01 10992
457277 [유머] 어린 세대 사용 브랜드와 갤럭시에 대한 인식.jpg [180] 삭제됨11144 22/07/01 11144
456976 [유머] 학생 성적이 참 좋군요 [40] 이호철9920 22/06/27 9920
456649 [유머] 37세의 혼인 + 주택 소유 통계 [38] Leeka11623 22/06/22 11623
456648 [유머] 원 달러 1300원 고지전 [51] 맥스훼인8964 22/06/22 8964
456610 [유머] 자본주의보다 더 자본주의적인 사회주의 국가 [25] 맥스훼인9456 22/06/21 9456
456576 [유머] 와이프가 이혼하자는 데요.txt [107] 삭제됨12468 22/06/21 12468
456547 [유머] 한국 공무원 근황.jpg [42] 김치찌개13705 22/06/20 13705
456518 [유머] 올해 11%밖에 안 빠지고 선방한 주식 [10] 맥스훼인9666 22/06/20 9666
456493 [유머] [주식] 점점 현실로 다가오는 그숫자 [31] 삭제됨8893 22/06/20 8893
455981 [유머] 이번 로또 당첨자들 희소식 [14] 앗!힝!엨!훅!7630 22/06/11 7630
455875 [유머] GTA 5 판매량 근황 [39] Leeka6182 22/06/10 6182
455834 [유머] 스타워즈 액션 근황 [85] roqur7760 22/06/09 7760
455721 [유머] 공인중개사가 보는 요즘 2030의 제테크 개념 수준.jpg [103] 김치찌개12146 22/06/08 12146
455676 [유머] 내년 업데이트 예정인 애플 카플레이 [25] Leeka6648 22/06/07 6648
455310 [유머] 루나 2.0 근황.jpg [22] 삭제됨7849 22/06/01 7849
455253 [유머] 비키세요 26살 연봉 9000 지나갑니다.JPG [111] 핑크솔져15135 22/05/31 15135
455014 [유머] 사이클링 운동 시, 스마트워치/밴드들의 심박수 정확도 비교 [58] Leeka10761 22/05/27 10761
454997 [유머] 대한민국 자격증 올타임 레전드.jpg [17] 김치찌개6969 22/05/27 6969
454964 [유머] 그래픽카드 가격 근황 [47] roqur8377 22/05/26 8377
454895 [유머] 김대리, 너무 엑셀 팡션? 사용하지 마세요 [35] 푸크린9624 22/05/25 9624
454894 [유머] 탈북자가 말하는 한국 평양냉면.jpg [71] 삭제됨9244 22/05/25 92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