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4/23 20:11:25
Name 니시무라 호노카
File #1 externalFile.jpg (60.1 KB), Download : 10
출처 https://cafe.naver.com/jaegebal
Subject [기타] 포브스 선정 내집마련 어려운 나라(도시)


PIR은 주택 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배수로 나타낸다.

즉, PIR이 10배라면 10년치 소득을 모두 모아야 주택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18년만 존버하면 서울에 내집마련 꿈이 아님... (단 1원도 안써야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4/23 20:12
수정 아이콘
ㅠㅠ
22/04/23 20:13
수정 아이콘
북경이나 상하이도 장난 아니라고 알고 있는데, 한국의 서울에 비빌 짬밥은 아닌모양이네요.
22/04/23 20:14
수정 아이콘
하지만 제논의 역설이 출동한다면 어떨까?
내가 돈을 모으는 동안 집값이 오르고, 상승분을 다시 더 모으는 동안 또 집값이 오른다면?
마스터충달
22/04/23 20:42
수정 아이콘
이게 마따....
22/04/23 21:53
수정 아이콘
제논의 역설은 다가가긴 하잖아요... 이건 멀어져요...ㅜㅜ
조말론
22/04/23 20:14
수정 아이콘
홍콩은 어떤 마경이지
인증됨
22/04/23 20:18
수정 아이콘
과연 같은 연도통계일지
22/04/23 20:20
수정 아이콘
맞벌이 부부로 한 사람이 버는 것은 집 사는 데에 몰빵 다른 사람은 생활비 일체 이런 개념으로다가 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파비노
22/04/23 21:37
수정 아이콘
그렇게 해야지 18년이 걸리는.......
피식인
22/04/23 20:21
수정 아이콘
펄-럭-
짬뽕순두부
22/04/23 20:24
수정 아이콘
직접비교가 어려운게... 상하이는 서울시의 10배 크기입니다. 베이징은 25배쯤이구요. 서울을 단일 시로 계산하면 압도적으로 불리하고, 수도권으로 비교해야 합리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22/04/23 20:54
수정 아이콘
인구수 차이도 있어서요..
깻잎튀김
22/04/23 20:24
수정 아이콘
구룡성채만 많았어도 집값 걱정은 없었을텐데...
다크 나이트
22/04/23 20:28
수정 아이콘
음 말했지만 일단 인터넷에 떠도는 통계를 그대로 믿는것 자체가 멍청하기 그지 없는 일이며 두번째로 그 통계가 진짜 있는 통계라고 하더라도 어떤 의미에서 어떻게 진행된것인지 비교를 어떻게 한것인지 알지 못하면 어떤 통계에서 우리가 유의미한 의미를 뽑아 낼 수 없습니다.
이걸 모르면 해석이 잘못되기 십상이며 알고도 말하는거면 그냥 결론을 이미 만들어 놓고 의미를 맞춰 놓는것에 불과하죠.
덴드로븀
22/04/23 20:38
수정 아이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peuty&logNo=222076202992

그래서 저 PIR 관련해서 이것저것 찾아본 사람도 있네요.

결론 : 저 자료는 각 국가별 보정치를 적용하는 등의 노력으로 일관성있고 균등하게 한 분석이 아니기 때문에 해석하기 나름이다
덴드로븀
22/04/23 20:34
수정 아이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902030#home
[소득 대비 집값, 서울이 LA·런던보다 비싸다] 2017.09.04

중국 주요 대도시의 경우 서울보다 이 비율이 높았다. 중국 베이징은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이 14.5배를 기록했고 상하이는 14배로 나타났다. 세계에서 집을 장만하기 제일 어려운 곳으로 평가되는 홍콩(18.1배)과 크게 차이 나지 않을 정도로 중국의 집값이 오른 셈이다. 특히 베이징·상하이·선전·광저우 등 4개 주요 도시는 2015년 2월부터 지난 5월까지 약 2년간 주택 가격이 50.6% 오르는 등 ‘투기 광풍’이 불었다.

2017년 자료에는 이렇다네요
아케이드
22/04/23 20:38
수정 아이콘
서울집값이 본격적으로 오른게 그 이후인 듯하고 중국은 최근 오히려 부동산이 폭락했죠 그렇게 보면 본문자료가 얼추 맞을 수도 있겠네요
Capernaum
22/04/23 20:37
수정 아이콘
5년만에 대단한 업적...

펄-럭
나막신
22/04/23 20:40
수정 아이콘
홍콩이 중국 도시였어요? 다른 나라인줄..
유튜브 프리미엄
22/04/23 20:47
수정 아이콘
일국양제를 안 지켜서 문제지 중국은 맞습니다.
숙성고양이
22/04/23 20:41
수정 아이콘
용적율을 최대한 끌어올려서 전국민의 90가 수도권에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후랄라랄
22/04/23 20:42
수정 아이콘
큰일 하셨군요 자랑스럽습니다
개구리농노
22/04/23 20:43
수정 아이콘
땅크기 대비 인구수 이런것도 고려해야하지않나요
소독용 에탄올
22/04/23 20:43
수정 아이콘
집값을 박살내서 기간을 단축시켜준다면 인기가 있을까요?

서울시내 주택 강제 재건축 연한 지정하고 건폐율하한선 80, 용적율 하한선 3000 정도 잡아서.....
싶어요싶어요
22/04/23 21:04
수정 아이콘
홍콩빼고 중국이 다 빠졌네요. 중국이랑 비교불가죠. 다만 중국빼면 우리나라가 제일 어려운 곳이 맞죠. 기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떤 기준이든 탑3안에는 든다고 봅니다. 다만 월세는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크크
22/04/23 21:07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최근 급격히 오른건 역대급
한방에발할라
22/04/23 21:24
수정 아이콘
이런 자료는 베트남 아래로 미만잡이라고 하던데....
대체공휴일
22/04/23 21:38
수정 아이콘
이제 지역별 최저임금제를 하게 된다면 수도권 집중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이고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동산 가치는 더욱 급속도로 올라가겠죠. 전 좋습니다. 가즈아!!
라떼는말아야
22/04/23 22:0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2등은 어디일까요
썬업주세요
22/04/23 23:18
수정 아이콘
부산 아닐까요
소득이 낮은걸로 아는데
22/04/23 22:37
수정 아이콘
주모! 여기...가 아닌가?
아오이소라카
22/04/24 01:41
수정 아이콘
음...적당히만 알아도 상해 중심이랑 베이징 중심부(대략 서울권역) 만 따져도 훨씬 어렵다는 걸 알텐데요..
도롱롱롱롱롱이
22/04/24 04:05
수정 아이콘
아닌데요~
고물장수
22/04/25 12:47
수정 아이콘
중위소득으로 나눠보자.

싱가포르가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790 [기타] 남녀 소득에 따른 혼인율 [53] Leeka7970 24/05/31 7970
499497 [기타] 밑에 상하이 월세관련 글을 보고 찾아서 올려보는 중국 대도시 현실에 대한 영상 [32] 보리야밥먹자7736 24/05/06 7736
496378 [기타] 버핏이 자회사 고소득 임원의 급여 공개를 거부한 이유 [26] Neo9595 24/03/06 9595
491683 [기타] 일본의 저출산 정책 근황 [74] 무딜링호흡머신17469 23/12/07 17469
489370 [기타] 갤럭시태그 그거 어따씀?? [27] Lord Be Goja13213 23/11/02 13213
483815 [기타] 진짜 대한민국 평균을 알아보자 [33] Avicii11891 23/07/29 11891
482591 [기타] 진짜 대한민국 평균 가구별 소득 [25] 꿀깅이9176 23/07/09 9176
481724 [기타] 2022년 소득 100억원 넘은 재벌가 오너들.gisa [34] VictoryFood13649 23/06/26 13649
480730 [기타] 트위치,어제 발표한것 취소 [23] Lord Be Goja12531 23/06/08 12531
476973 [기타] 샘알트먼 GPT-4와 AGI에 대한 대담 [7] 졸업9885 23/04/02 9885
475921 [기타] 최근 들어 점점 늘고있다는 2030 기초수급자들.jpg [63] Pika4814508 23/03/18 14508
474720 [기타]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36] 덴드로븀11980 23/02/28 11980
474415 [기타] "월 483만원 버셨나요? 평균 가구입니다" [40] 꿀깅이14250 23/02/23 14250
471375 [기타] [슈카] 일반적인 대한민국 사람들의 인생 페이즈 [22] VictoryFood17102 23/01/11 17102
470716 [기타] 뽐뿌 커플의 데이트 통장 문제 [32] 꿀깅이12790 23/01/03 12790
468569 [기타] 현기차 로드탁송 알바 근황 [12] 꿀깅이13991 22/12/03 13991
468025 [기타] "5만원이면 오지 마세요"…결혼식 축의금 내고도 욕먹는다? [117] 꿀깅이17826 22/11/27 17826
465839 [기타] 커뮤니티별 평균연봉을 아라보자 [35] 꿀깅이13444 22/10/30 13444
464442 [기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86] 꿀깅이13897 22/10/11 13897
455889 [기타] 애플,무이자 대출 Pay Later 서비스?! 게시 [22] Lord Be Goja5534 22/06/10 5534
452939 [기타] 포브스 선정 내집마련 어려운 나라(도시) [35] 니시무라 호노카7792 22/04/23 7792
452507 [기타] 국내 소득 양극화 정도 비교 [29] 니시무라 호노카8200 22/04/17 8200
447726 [기타] 청년을 위한 9.3% 적금.jpg [81] VictoryFood14092 22/02/07 140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