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3/09 15:42:24
Name League of Legend
출처 해당유튜브
Subject [방송] 런닝 요령


유튜브 요약 댓글

※달릴 때 요령
1. 발바닥으로 딛기
-앞꿈치나 뒷꿈치로 딛지 않기 (보폭 자연스럽게)
2. 15도 앞으로 기울이기
-수직으로 세우지 않기
3. 팔 90도 구부리고 뒤로 치는 동작
-주먹이 몸 중앙선 넘지 않게 하기
4. 케이던스(1분간 발이 지면에 닿는 횟수)
-1분에 180회가 이상적, 1m 전후
5. 호흡: 코로 2번 흡흡 마시고, 입으로 2번 후후 내쉬기
6. 적정 거리: 30분 전후(6km 전후)
7. 운동 강도: 60~85% 적정
8. 입문자 주의점
: 과유불급(무리하기 보단 차라리 부족하게 꾸준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3/09 15:58
수정 아이콘
잘뛰는 흑인 마라토너들은 앞꿈치부터 딯는다는 다큐를 본적이 있었는데
그건 잘뛰는 사람만 그런가보네요
League of Legend
22/03/09 16:0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마라토너들은 체중이 무겁지않기 때문에 무릎에 실리는 하중이 덜나가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런닝이 아니라 단거리 달리기 종목들은 앞꿈치를 써서 빨리 달리죠. 그리고 마라토너들 달리는 속도가 실제로 단거리 중거리 달리기 하는 선수들 속도 못지않게 빠르다더라구요

우리는 그런 달리기를 하는게 아니니까 체중을 분산하는 안전한 달리기를 해야한다는 말 같습니다.
공인중개사
22/03/09 16:36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그렇게하면 부상위험이 크다고 들었습니다.
지하생활자
22/03/09 18:03
수정 아이콘
전 무릎이 아파져서 의도적으로 포어풋 러닝 하긴 하는데.. 종아리 근육이 매우땡깁니다
Just do it
22/03/09 16:00
수정 아이콘
잘 보고갑니다
MissNothing
22/03/09 16:07
수정 아이콘
한동안 런닝 하루에 5키로씩 뛰었는데, 발바닥 전체로 쿵 하는 걸음으로 몇일 뛰니까 바로 근막염 왓습니다 ㅠㅠ
1달동안 하루에 5키로씩 뛰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뛰는방법이 잘못되서 그랫던건지 둘다인건지
덕분에 지금은 안뜀...
22/03/09 16:10
수정 아이콘
이제 레알 뚱땡이라 런닝도 아프고 근막염오는데
예전에 피지컬갤러리에서 알려준 계단 스트레칭 매일 하시면 좋습니다. 초기증상 오던게 싹 없어짐..
League of Legend
22/03/09 16:26
수정 아이콘
어떤 내용인가요? 궁금합니다
소믈리에
22/03/09 16:37
수정 아이콘
계단에서 한쪽발 걸치고 걸친쪽 발 앞부분만 계단 앞쪽에 댄 후에 뒤로 눌러서 종아리쪽 이랑 발바닥쪽 스트레칭 되게 하는거죠.
22/03/09 16:08
수정 아이콘
호흡은 이천수 호흡법(이라 쓰고 라리가 호흡법) 배워서 써먹고 있습니다.
진짜 덜 피곤하고 부담이 덜함.
League of Legend
22/03/09 16:23
수정 아이콘
그런게 있었군요? 배워갑니다
Lord Be Goja
22/03/09 16:10
수정 아이콘
저는 2주정도 달리기 하니까 그 다음날부터 그 엉덩이 아래부터 종아리 바로 위까지의 뒤쪽 허벅지가 너무 땡기더군요
그게 빨리 걸을때는 괜찮은데 뛰는 자세만 잡으면 천천히 뛰어도 (빠른걸음이랑 비슷한 수준)통증이 올라와서 3주씩 가고 그러던데 이유를 몰라서 그냥 빨리걷기(시간당 7.5킬로)만 해요
지금이대로
22/03/09 16:11
수정 아이콘
습습후후~
22/03/09 16:28
수정 아이콘
범죄의재구성 땡기네요. 습습후후~
인민 프로듀서
22/03/09 16:13
수정 아이콘
런닝 요령: 일단 뛰어라.
22/03/09 16:15
수정 아이콘
런닝요령: 그냥 빠른걷기를 해라
욕심쟁이
22/03/09 16:20
수정 아이콘
달리기가 아무 생각 없이 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인데
저런 것까지 고려하면 너무 복잡해서 부상 신호가 오면 찾아보겠습니다...
22/03/09 16:28
수정 아이콘
뛰기직전 수준의 경보로 운동하는데 나름 괜찮나보네요
League of Legend
22/03/09 16:32
수정 아이콘
심박수만 올라가면 운동이 된다는 말이 있더군요 그래서 걸을때 파워워킹을 하는게 일반 걷기보다 좋다고..
22/03/09 16:42
수정 아이콘
오 흥미롭네요 첫 문장은 좀 찾아봐야겠습니다 크크크
썬업주세요
22/03/09 17:00
수정 아이콘
단순 긴장(공포로 인한것 등등)말고 운동에 의한 것이면 비슷하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보통 지방 연소 목적이면 최대 심박수의 70%내외 강도의 운동을 오래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스트랄
22/03/09 16:33
수정 아이콘
요새 저도 달리기를 시작해서 관심가지고 좀 찾아봤는데 각 방식의 장/단점이 있지 정답은 없다가 요즘 추세가 아닌가 싶네요.
https://www.mk.co.kr/news/it/view/2020/12/1246382/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raindrjung&logNo=222189921425&categoryNo=0&parentCategoryNo=0
22/03/09 18:45
수정 아이콘
안 다치고 꾸준히 할 수 있으면 그게 본인에게 맞는 최고의 운동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생각 외로 안 다치고 꾸준히의 난이도가 제일 높더군요
숨고르기
22/03/09 16:35
수정 아이콘
발바닥 전체로 착지라니 큰일날 이야깁니다.. 바로 발목나가요
22/03/09 16:39
수정 아이콘
경험상 그냥 무작정 뛰면 무조건 부상 옵니다.
힐풋으로 착지해도 난 괜찮은데 하시는 분은 그냥 그분 착지점이 몸의 중심점이랑 가까워서 부상이 없는 거라 생각합니다.
달리기도 운동이니 오래 운동하시려면 당연히 배우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요.
아니면 적어도 매일 달리기 이런거 유튜브 뜬다고 따라하지 말고
무조건 하루 달리면 하루는 쉬어 주셔야 하고 속도도 남들 따라 뛴다고 무리하게 빨리 뛰면 부상옵니다.
옆에서 빨리 걷는 사람들과 나란히 가는 정도의 속도도 상관 없으니 천천히 뛰는 것 부터 익숙해지시면 좋아요.
22/03/09 16:57
수정 아이콘
운동 안한지 몇년 됐는데 런데이 어플 깔아서 페이스 조절하면서 30분 달리기 프로그램 하니까 조금씩 체력 느는게 느껴지더군요
라멘가게
22/03/09 17:01
수정 아이콘
런데이 깔고 초심자 코스 도는 중인데, 확실히 무턱대고 하는거보단 나은거 같네요. 나아지고 있다는게 갑자기 확 체감되진 않지만 기록을 보면 꾸준히 달라지는게 보입니다.
League of Legend
22/03/09 17:05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어플 썼습니다. 꽤 좋은 어플인거 같아요.
라멘가게
22/03/09 17:11
수정 아이콘
저처럼 운동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에겐 꽤나 좋은 어플 같습니다.
22/03/09 18:38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 런데이로 조깅 30분 채웠습니다
2분 뛰는것도 힘들었었는데
빠르게 달리는건 못하지만 천천히라도 30분 뛸 수 있어서 좋았는데 근막염 ㅠㅠ
살좀 빼면 다시 할려고요
던져진
22/03/09 17:01
수정 아이콘
발이 무릎 앞으로 나가지 않게 하는건 거의 반박이 없는 주의 사항일겁니다.
다른 요소들은 몸에 무리 가지 않는 선에서 살살 뛰면서 적응하면 될 일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의외로 뛰면 다칠 예정인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겁니다.
허리 골반 정렬, 엉덩이 근육의 활성화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늦던 빠르던 다칠거라고 봅니다.
걷는데 불편함이 느껴지는 사람은 일단 그 문제부터 해결하길 권장합니다.
iPhoneXX
22/03/09 17:06
수정 아이콘
달리기에서 부상이 오는 경우는 근력이나 유연성 떨어지니 생기는 문제죠. 그리고 착지법은 내가 좀 달리기 자신이 있을때 근력이나 유연성이 충분히 따라올때 해도 늦지 않습니다. 그리고 좋은 운동화 챙기시고요.
李昇玗
22/03/09 17:32
수정 아이콘
10키로 60분 정도 뛰는데 케이던스만 신경 쓰고 있습니다. 미드풋은 해보려는데 이게 되는건지 마는건지 모르겠더라구요..심박수는 220-자기나이 정도가 괜찮다 해서
그 정도 생각해서 뛰는 듯…
李昇玗
22/03/09 17:33
수정 아이콘
코로나 회복하고 나서 혹시 폐기능이 나빠지지 않았을까 싶어서 뛰어봤는데 3주간 안뛰다 뛰니까 다리가 후달려서 못뛰겠더라구요..크크
League of Legend
22/03/09 17:35
수정 아이콘
튼튼하시네요 저는 30분 5키로 달리던 사람인데 1년을 쉬니까 운동장 한바퀴 뛰어도 무릎에 물차는 거 같고 힘들어서 한바퀴 뛰고 걷고 2번하고 돌아왔습니다. 꾸준히 하면 다시 달려지겠죠..
李昇玗
22/03/09 17:42
수정 아이콘
아아…저두 1년 전에는 5키로도 못뛰었었어요
일년 넘게 일주일에 못해도 한번은 뛰자란 생각으로 뛰다보니까 기록이랑 거리가 늘더라구요..그리고 혼자 뛸때는 잘 안늘었는데
괴물같은 친구 한명이랑 뛰다 보니까 늘었습니다..크크
타츠야
22/03/09 17: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달리기로 몸에 통증이 지속적으로 있는데 개선이 잘 안 되면 자전거로 바꾸는 것도 방법입니다. 달리기에 비해 몸에 부하가 적어요.
그리고 운동 시간을 오래 갖기 어려운 경우는, 100미터 전력 질주 4회 정도만 해도 효과가 꽤 있다고 합니다. 앞뒤 스트레칭, 쉬는 시간 고려하면 10분 정도로 효과가 있는 거죠.
Lina Inverse
22/03/09 19:11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운동효과는 비슷할까요? 자전거랑 달리기랑 비교해보면
타츠야
22/03/09 19:15
수정 아이콘
전신 운동의 측면에서는 달리기가 조금 더 좋은데 말씀 드린 것처럼 몸의 특정 부위에 부상이나 통증이 있다면 자전거가 더 낫습니다.
(예를 들어, 달릴 때, 한쪽 발목, 무릎 등에 가해지는 충격량과 자전거 페달을 밟을 때 발목과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훨씬 적습니다)

자전거 측면에서 쓴 글이긴 한데 이거 참고해보세요.
https://www.cyclehelmets.org/1015.html
Lina Inverse
22/03/09 19:40
수정 아이콘
설명과 링크 글 감사합니다!! 읽어볼게요
22/03/09 23:09
수정 아이콘
저도 런닝 시작한지 4개월인 런린이인데 달리기가 이렇게 어려운줄 몰랐습니다.
그리고 적정거리에 30분 달리기에 6키로면 5분초반대 페이스인데
이거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달리기 안 하던 사람이 하면 진짜 힘듭니다.
League of Legend
22/03/09 23:14
수정 아이콘
5키로정도 하시면 될거에요. 저 기준은 영상에 잘뛰는 사람기준 30분 6키로라고 했어요
22/03/09 23:23
수정 아이콘
저는 원펀맨 보고선 하루뛰고 하루쉬고하면서 10km 달리는데 페이스는 예전엔 10분대였다가 요즘은 좀 올라서
8분 중반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정말 힘들어지니 천천히 자기 속도랑 거리를 찾아가는게 좋은거 같아요
League of Legend
22/03/09 23:29
수정 아이콘
탈모만 조심하십쇼 건강하실듯
22/03/10 00:58
수정 아이콘
신체는 소모품이라 생각해서 노화가 시작됐다면 무리해서 소모시키지 말고 기름칠하는 정도의 약한 강도 운동을 하는게 건강을 위한 길인거 같네요
나이들어 다치면 회복도 느리고 골병드는 경우도 있어서 제대로 배우고 관리받으면서 운동하는게 아니면 그냥 살살 하렴니다
노래하는몽상가
22/03/10 01:18
수정 아이콘
미드풋 착지 저거 무조건 배워야 합니다
근데 저것도 진짜 막 런닝을 시작한분이 한다기보다는
그래도 5키로 정도는 뛸수 있으신분이 해야죠
정말 런닝을 처음 시작한다거나
유산소 운동 자체가 나랑 안맞아 이런분들이 달리기 시작할때는
자세가 어쨋건 간에 자주 뛰어서 달리기 자체에 익숙해지는게 우선이죠
그리고 매일 뛰는건 너무 미련한거라고 봅니다;; 연골 닳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9448 [방송] 페스티벌 취소기념 특별 라이브 진행 QWER [61] Lelouch10421 24/05/04 10421
499259 [방송] 6급으로 특급승진하자 공무원들 사이에서 나도 유튜브나 할껄 소리 들었다는 충주맨.JPG [4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569 24/05/01 10569
498619 [방송] 헉.. 결국 이렇게 됐군요... [32] 대장햄토리14084 24/04/17 14084
495692 [방송] 티모시 샬라메 누군지 몰라서 출연제의 거절한 성시경.jpg [2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297 24/02/23 9297
494519 [방송] 10억짜리 오디오 설치한 집.MP4 [5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424 24/02/01 12424
491577 [방송] 릴카 발언을 통해 보는 광고주들의 아프리카 이미지 [172] 고세구15233 23/12/06 15233
491485 [방송] 요즘 난리난 아프리카 근황.jpg [99] 캬라20149 23/12/04 20149
473862 [방송] 이젠 유튜브도 긴빠이 하는 시대. [21] This-Plus12416 23/02/15 12416
470279 [방송] 점입가경 빌라왕 사건 [39] Avicii16191 22/12/27 16191
462326 [방송] 넷플릭스, 앞으로 TV 방송처럼 에피소드 '한 주 한 회씩' 공개검토중 [38]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153 22/09/13 11153
461985 [방송] 기준을 알 수 없는 트위치 [29] 마음에평화를13160 22/09/08 13160
460735 [방송] 없는게 없는 무도 유니버스 [5] 물맛이좋아요5683 22/08/22 5683
460510 [방송] 1년에 55kg 빠지는 다이어트 [57] 아롱이다롱이16180 22/08/19 16180
460183 [방송] 레전드 시위.gif [22] 어서오고12646 22/08/14 12646
452552 [방송] 일본 지진 근황소식 [12] League of Legend8871 22/04/18 8871
449887 [방송] 런닝 요령 [46] League of Legend12286 22/03/09 12286
449254 [방송] 유튜버 6개월후 복귀의 법칙 또 하나 갱신 [40] 달은다시차오른다14500 22/02/28 14500
448659 [방송] 퐁퐁남 사례 하나 추가(feat.기러기) [55] This-Plus11400 22/02/20 11400
447834 [방송] 4년 사귄 여친이 고민이라는 남자...JPG [35] Aqours13561 22/02/08 13561
439592 [방송] 다큐가 보고 싶어 디플을 신청한 분들께 희소식 [6] Lord Be Goja8416 21/11/12 8416
435495 [방송] 마블영화감독 '오징어게임 보지마라' 발언 [50] 개맹이12221 21/10/05 12221
430493 [방송] 잇섭 해명글 업로드 [72] 시린비13629 21/08/18 13629
423978 [방송] (진짜후방주의) 아프리카TV에서 최근 엄청 핫하다는 춤 모음.GIF [5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41865 21/06/03 418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