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14 21:19:44
Name 판을흔들어라
출처 군마갤 이것저것
Subject [기타] 최근 독일이 욕 먹는 이유

우크라이나의 지원요청에 분쟁지역에 무기수출은 안 한다면서 야전병원 건설을 도와주거나 방탄모 준다고 함.

그리고 에스토니아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해주는 데 독일이 독일 제품이라고 분쟁지역에 수출 안한다며 거부

그러면서 예맨 내전에 개입하는 사우디나 분쟁 심한 이스라엘, 인권탄압 이집트 중국엔 무기 수출

심지어 우리나라 무기 수출에도 위 분쟁지역, 인권 운운하면서 방해한 적도 있음

EU로 유럽의 돈을 빨아들이면서 빗자루 총 걸만큼 국방엔 별 투자없이 엿장수 기준에 의한 무기 판매 지원으로

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독일이 조별과제 트롤로 지목된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츠야
22/02/14 21:23
수정 아이콘
독일도 살아보니 선진국이라고 부를 만한 부분도 있지만 한국 및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각종 문제점들을 볼 수 있어서 사람 사는 곳 거기서 거기구나 라고 실감하고 있습니다.
블래스트 도저
22/02/14 21:29
수정 아이콘
독일군 군사력 순위 어디까지 떨어졌나 봤는데 이제 인도네시아 아래네요 16위라니...
22/02/14 21:31
수정 아이콘
뭐 안하는거지 못하는건 아니니까요.
22/02/14 21:37
수정 아이콘
Yang 님이 댓글 다셨지만 안하는거지 못하는건 아니쥬 흐흐
벤츠,BMW,포르쉐,폭스바겐,아우디 공장 몇개만 개조해도(2차대전 직전처럼)
군사강국 되는건 순식간이쥬
22/02/14 21:41
수정 아이콘
빠른 전환이 가능했던건 나치독일이니까 가능하지 민주정부하에서 상대국이 위협 좀 했다고 전환이 그렇게 빨리될까요?
cruithne
22/02/14 21:44
수정 아이콘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긴 한데 예전 전력 복구하려면 고생 좀 하겠죠. 순식간은 무리고
전자수도승
22/02/14 22:08
수정 아이콘
현대 병기들은 물건만 잘 뽑는다고 다 되는게 아니라 고도로 숙련된 인력도 필요한데 그 숙련 인력은 한두해만에 뚝딱 나오지 않죠
그리고 병기들도 신뢰도 같은 문제들 때문에 테스트 과정을 거쳐야 하니 순식간에 전환도 어렵고
지나가던S
22/02/14 22:13
수정 아이콘
장비야 그렇다 쳐도 인력은요? 그리고 현대 무기가 2차 세계 대전도 아니고. 그렇게 만들고 싶다고 몇 년 만에 휙휙 만들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뭐, 총이야 그야말로 찍어낼 수는 있겠지만.
포졸작곡가
22/02/15 03:25
수정 아이콘
인력은 어쩌지 못하죠~

1차대전 패전 후 독일은
어떻게든 장교 집단은 유지했죠~
그걸로 2차대전 일으킨거~~

지금은 방어전 할 만큼의 병력도 안나올걸요?
22/02/14 21:31
수정 아이콘
빗자루 걸개는 10년 전 이야기이고 최근에는 그래도 많이 쓰는 편입니다.그동안 손 놓은게 워낙 커서 티가 잘 안 날 뿐이죠.
세종대왕
22/02/14 21:35
수정 아이콘
가스관에 눈이 멀었어...
주식을마시는새
22/02/14 21:38
수정 아이콘
우리가 해봐서 아는데 못막아... 뭐 이런걸까요
동굴곰
22/02/14 21:42
수정 아이콘
독일 제 4제국도 러시아에 의해 무너지는가...
22/02/14 22:11
수정 아이콘
메르켈누님 계셨다면 어땠을지 궁금하네요.
22/02/14 22:15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NlnDzH7B6D0 (최준영박사의 지구본연구소 - 우크라이나 3편)
저는 이전에 이 영상을 봤었는데 좀 아연실색하게 되더군요.
지니팅커벨여행
22/02/14 22:19
수정 아이콘
K-9가 그렇게 무섭더냐?
메가트롤
22/02/15 00:16
수정 아이콘
가스관 달달하고~~
Liberalist
22/02/15 05:20
수정 아이콘
국제정세 대충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독일이 개밉상인게 괜히 그러는게 아니죠. 감탄고토 그 자체인데 명분도 대놓고 제대로 못 챙김... 지들 하는 꼴을 포장지로 제대로 싸매기라도 하던가;;
암드맨
22/02/15 06: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우리야 미국에 대한 호감이 높아서 우리같은 제1세계 정서로 왜 저러지 라고 생각하는데..
애초에 독프는 영미의 그레이트게임 속편에 같이 국력 써주기 싫습니다.

1. 애초에 동유럽은 유럽이라 생각을 안합니다.
지리적으로는 당연히 유럽이라 생각하지만 우리와 차별된 개화안된 지역과 종족 라는 인식이 수백년전부터 지금까지 내려옵니다.
지금도 나토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폴란드 건드리면 모를까, 우크라이나 건드리는건 더러운 슬라브놈들끼리 또 치고 박네 생각하죠.

2. 러시아가 하나도 위협이 안됩니다.
러시아가 폴란드 방패 못뚫는건 마크롱도 푸틴도 진핑이도 다 압니다. 낙후된 공군력과 막장이 된 경제력에서 나오는 보급으로는 폴란드 뚫는게 불가능한거 잘 압니다. 저러니깐 독일에서도 메르켈 극후반부터 다시 군비 증강한다고 해도 거북이 속도로 진행하고 있지요.

3.애초에 우리와 국민정서가 다릅니다. 우리는 미국 호감도 90찍고 시작하는데다 재조지은 수준의 부채의식이 있는데
독일은 자신들을 이기고 점령한 국가일뿐이고, 프랑스도 2차대전에서 빚을 졌다해도 자기들이 독립전쟁에서 해준거 생각하면 쎔쎔 가능한 국가죠.

덕분에 쟤네들은 미국이랑 사이 한창 좋을떄도 호감도 50못넘기는 일 비일비재했고, 지금처럼 오커스 통수로 앵글로 향우회가 세계를 지배하고 있고 유럽은 이제 안중에도 없다는걸 노골적으로 보여준 입장에서는 프랑스에선 대 러시아 지지가 더 높다는 조사까지 나오는 실정이죠.

불란서야 요즘 시대에도 대놓고 세미 제국주의 + 국가주의삘 살짝 나는 국가인데다, 오커스로 뒤통수 맞아서 그럴만 하다 생각은 드는데...
독일은 메르켈 시대에 착하고 선한척 위선적인 스피킹만 많이 하다 불떨어지면 계속 추하게 발 뺴는 형색이 있어서 밉상이라는건 동감합니다.
22/02/15 11:00
수정 아이콘
위선적인 것도 사실인데 한편으로 독일처럼 대형사고 치고 몇 세대 동안 전세계로부터 독일=나치 조롱을 받다보면 착한사람 컴플렉스에 안걸리는 게 이상하고... 어떻게 보면 독일처럼 대전략 추구를 국가차원에서 포기하고 무해한 무장해제 이미지로 남기를 갈구하는 것도 그 자체로 하나의 대전략이 되어버린 거 아니냐 싶기도 하죠. 현실적으로 어쩔 수 없는 거기도 했지만 프로이센땅 (외 기타등등 땅) 영유권 주장 영구포기 같은 건 대단한 제스쳐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501 [기타] 중동문제의 한 30%는 이 두 나라 탓? [18] 우주전쟁5927 24/05/26 5927
498565 [기타] 사우디 네옴시티 170km에서 2.4km로 대폭 축소 [62] Myoi Mina 8806 24/04/16 8806
497341 [기타] 사우디에 짓는다는 드래곤볼 테마파크 [27] 우주전쟁7389 24/03/23 7389
496271 [기타] 사우디 네옴시티(The Line) 근황 [29] 우주전쟁8702 24/03/04 8702
495802 [기타] 퍼거슨옹 근황 [15] 김티모10160 24/02/25 10160
493789 [기타] 예멘의 열병식 [17] Lord Be Goja11356 24/01/18 11356
493655 [기타] 료즘 후끈하다는 중동상황 [50] Lord Be Goja17240 24/01/15 17240
493429 [기타] 이번에 나온 사우디 금광의 위연 [37] Lord Be Goja13122 24/01/10 13122
477107 [기타] 애플을 능가하는 사우디 아람코의 2022년 실적 [16] Heretic11852 23/04/04 11852
475777 [기타] 경제) 크레디트 스위스 은행 사태를 araboza [17] 꿀깅이14541 23/03/16 14541
472595 [기타] 주식) 사우디 머니의 위엄 및 위험 [8] 꿀깅이10619 23/01/28 10619
469144 [기타] 2020년 세계 국방비 순위 의외의 3, 6, 10위.jpg [34] 시나브로10467 22/12/11 10467
467985 [기타] 사우디에서 구상 중이라는 수상도시 "판게오스" [58] 우주전쟁13999 22/11/26 13999
467829 [기타] 한국 경기를 지켜보는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MP4 [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861 22/11/24 10861
467821 [기타] 사우디와 일본의 승리에 올인한 버튜버 [7] 물맛이좋아요9711 22/11/24 9711
466150 [기타] 진짜로 공사 시작한 The Line 프로젝트... [42] 우주전쟁13656 22/11/03 13656
464078 [기타] 최신과 근래 뉴스 몇가지(구글 또 탈중국, AI가 또, 기름값이 또) [3] 타카이8910 22/10/06 8910
462033 [기타] 대통령의 중요성 [9] 니시무라 호노카10497 22/09/08 10497
459039 [기타] 만수르 사촌 초대로 사우디에 간 근근웹 유저 [11] 퍼블레인12292 22/07/29 12292
458966 [기타] 미친 사우디 아라비아 도시 계획 [52] 우주전쟁10924 22/07/28 10924
457504 [기타] 누가 미국의 친구인가 [28] 판을흔들어라8905 22/07/05 8905
448286 [기타] 최근 독일이 욕 먹는 이유 [20] 판을흔들어라11556 22/02/14 11556
445795 [기타] 韓 패트리엇 '천궁-Ⅱ', UAE에 4조 원 규모 첫 ​수출, 단일 무기 역대최대 규모 [52] 아롱이다롱이7484 22/01/17 74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