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2/07 13:41:34
Name VictoryFood
File #1 다운로드.jpeg.jpg (119.0 KB), Download : 17
출처 https://news.v.daum.net/v/20220207120109823
Subject [기타] 청년을 위한 9.3% 적금.jpg



만 19세~34세 청년

21년 소득 3600만원 이하 (연말정산 기준) 
매월 50만원까지 납입 가능
2년 만기 
가입시기/은행별로 은행 제공금리 다를 수 있음
1구좌 가입가능


은행제공금리 5%일때
이자에 대한 세금 0원(비과세)+2년 만기시 저축장려금(1년차 2% / 2년차 4%) 
= 일반 적금 9.31%짜리 적금과 동일한 세후 수익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07 13:43
수정 아이콘
마통뚫어서 이거나 부어야겠네요
22/02/07 13:44
수정 아이콘
오 좋은데요 동생한테도 알려줘야지
김유라
22/02/07 13:45
수정 아이콘
힝 끼워주세요ㅠㅠ
22/02/07 13:46
수정 아이콘
혹시 자기 나이가 해당되나 물끄러미 봤다가 실망하고 돌아가는 1인
테스트2
22/02/07 13:54
수정 아이콘
22222
아이군
22/02/07 14:10
수정 아이콘
33333
Cafe_Seokguram
22/02/07 14:11
수정 아이콘
자녀 명의로 가입 가능하신 분들 많을듯 ㅠㅠ
22/02/07 14:12
수정 아이콘
제길슨... ㅜㅠ
CreamyCat
22/02/07 17:24
수정 아이콘
남성분들은 군대간 년수를 나이에서 빼고 계산한다는 뉴스를 어제인가 본거같습니당 9일인가 오픈하는날 모바일 뱅킹 쓰시는 은행어플 들어가셔서 확인해보셔요.
22/02/07 13:46
수정 아이콘
2008년에 모 저축은행에서 신규 가입이면 별다른 조건 없이 8.7%까지 주던 적금 생각나네요.
22/02/07 13:47
수정 아이콘
34살까진 청년이군요?
우리집백구
22/02/07 13:47
수정 아이콘
저 나이 대 청년은 주식하지 말고 적금 넣어야겠네요 크크크
특히 20대남 주식금지~
AaronJudge99
22/02/07 19:17
수정 아이콘
뼈맞고갑니다 크크크
22/02/07 13:48
수정 아이콘
비청년은 울고갑니다...
나스닥
22/02/07 13:49
수정 아이콘
아 소득기준이 좀 빡세군요...
유자농원
22/02/07 14:56
수정 아이콘
중위보다 꽤 높을거라 그렇지는 않을겁니다.
대기업에라도 가지 않으면...
함바집
22/02/07 13:49
수정 아이콘
나이는되는데 소득 6천까지 올려주면 안될까요..
22/02/07 13:49
수정 아이콘
34세 보고 들어왔다가 소득기준 보고 돌아갑니다...
22/02/07 13:52
수정 아이콘
지금이라도 이런게 있어서 다행이에요.
물론 저는 혜택 못받지만. ㅜㅜ
22/02/07 13:53
수정 아이콘
20대남자특) 이돈으로 코인 주식하면 몇배는 버는데 적금을 왜함
22/02/07 13:53
수정 아이콘
소득기준이 진짜 너무 낮네요
희망이라는 단어를 쓰기에도 주는 혜택이 너무 적구요
붕어싸만코
22/02/07 13:56
수정 아이콘
소득기준 아예 초과해버리면 희망도 안가질텐데
4천 초중반은 진짜...
22/02/07 13:56
수정 아이콘
소득 기준 너무 빡세네요…
청년 붙은 혜택 한번도 못받아봄
22/02/07 13:56
수정 아이콘
저 나이대에 소득 월 300이상 이시면 상류층 아니십니까?
저런 혜택 없으셔도 잘 사실 것 같은데. 크크크 ㅠㅠ
소득 기준이 낮아보이지는 않네요.
22/02/07 14:07
수정 아이콘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청약기준도 그렇고 편의상 근로소득으로 많이 자르는데 (소득은 국세청에서 금방 파악이 되는 반면 자산은 파악이 어렵고 복잡해서 편의상 소득으로 퉁치는 경우가 대부분이 되다 보니)
부모님이 마련해주신 집에서 편안하게 월 200 버는 은수저 (물론 극소수입니다)는 온갖 혜택 다 받는데 열심히 대기업 취업해서 월세 생활비 부모님용돈까지 뼈빠지게 나가는 월 450 지방 상경 흙수저 친구들(다수는 아니지만 유의미하게 있겠죠...)은 손빨고 구경만 해야하니 거기서 오는 모순이 좀 있죠...
로피탈
22/02/07 14:51
수정 아이콘
이거죠. 솔직히 똑같은 돈을 벌어도 자취하냐 마느냐에 따라 저축의 규모가 달라요.
22/02/07 14:17
수정 아이콘
죄다 근로소득으로 잘라서 서울에서 못태어난
직장인들은 모든혜택을 못받고 있죠
주변에 서울에서 태어난거 하나로 5년치 연봉을
부동산 수익으로 먹는거보면 한숨나옵니다
그런데 모든지원금 절세혜택은 그 분들이 받아가죠
썬업주세요
22/02/07 14:18
수정 아이콘
3600이면 30대 초반 기준으론 중위값 언저리 되지 않을까요
비오는풍경
22/02/07 14:21
수정 아이콘
택도 없습니다.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를 하나 봤는데 특별공급 자격 기준이 자산 기준은 2억 5,400만원 이하인데
가구 소득 기준은 1인 기준 월 360이 안됩니다. 월 400 받아도 2억 5천 모으려면 몇 년이 걸릴까요?
뻐꾸기둘
22/02/07 14:57
수정 아이콘
이동네가 고학력/고소득자가 많죠. 그래서 과표집 되는 여론도 많고.
스칼렛
22/02/07 15:54
수정 아이콘
돈은 곧잘 벌지만 세상물정은 모르는 중상층이 목소리가 너무 큰게 문제죠…
타카이
22/02/07 17:09
수정 아이콘
연령별 중위소득보면 정말 낮은 연봉 많은걸 알 수 있는데 말이죠...
나스이즈라잌
22/02/07 18:34
수정 아이콘
월급만 높지 중소기업 포괄임금에 주택문제 등 해결하면 힘드네요.

직업특성상 강제로 서울살아야하는게 너무 힘들어요
22/02/07 13:57
수정 아이콘
저거 받는다고 희망이 생기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조건 되는 사람은 받는게 낫죠
다레니안
22/02/07 13:58
수정 아이콘
힝....중년을 위한 것도 만들어줘...ㅠㅠ
LG우승
22/02/07 14:00
수정 아이콘
이거 궁금한게 은행 제공 금리가 5%인 곳이 있나요? 가정이긴해도 5%가 될 가능성이 높을때 저렇게 예시를 들어야 하는게 아닌지..아니면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걸까요?
22/02/07 14:38
수정 아이콘
오늘기준으로 적금 5년짜리 5%가 2군데에서 나왔습니다. 서원주 신협(곧 마감) 이랑 동작 신협(5.6% 3년) 입니다. 작년부터 4.5%이상 3~5년짜리 적금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으니 적금 관심있으시면 참고하십시요.
22/02/07 14:00
수정 아이콘
쩝....이제 청년이 아니라는게 슬프네...
중년 통장도 좀...만들어주면 안되겠니?
그 닉네임
22/02/07 14:00
수정 아이콘
연령대나 소득기준보니까 20대 초중반 용인듯??
22/02/07 14:02
수정 아이콘
5프로 주는 곳이 있을까요
저축장려금36만원 보고 들어가야하는건가
이쥴레이
22/02/07 14:03
수정 아이콘
상품 자체는 나쁘지 않네요
깃털달린뱀
22/02/07 14:03
수정 아이콘
백순데 예금 있는 거나 저기다 박을까 싶네요
22/02/07 16:25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토스에서 좀 빼서 신청해서 자동이체나 걸어놔야겠내요.
착한글만쓰기
22/02/07 17:20
수정 아이콘
방금 찾아보니 국세청 기준 소득으로 과세 잡힌 사람만 가입 가능이네요
22/02/07 17:22
수정 아이콘
아 저 수입은 있습니다 크크 직업이 없을뿐이죠..ㅜㅜ
착한글만쓰기
22/02/07 17:18
수정 아이콘
보통 백수는 안해주던데.. 위에 불타는 댓글들처럼 부모 부동산이나 용돈 가지고 혜택 보는 케이스를 견제하려고 그러는지

급여나 수입이 있긴 있어야 가입 가능한 상품이 많더군요 국가에서 하는 것들은
22/02/07 14:04
수정 아이콘
취지는 좋은 것 같은데요
내맘대로만듦
22/02/07 14:08
수정 아이콘
그냥 100만원 채워가지고 1300 주지..

1298만원이라하니까 뭔가 혜택 작아보이고 그러네요. 잭필드도아니고
교자만두
22/02/07 14:10
수정 아이콘
저거 남자는 군때문에 한 36까지되지않나요
22/02/07 14:15
수정 아이콘
이젠 나이도 안 되네
사신군
22/02/07 14:15
수정 아이콘
이런걸 보면 소득에 걸려서 못하는걸 좋아해야할지 슬퍼해야할지 모르겠네요.

낀구간에 있으신분들 화날듯
22/02/07 14:16
수정 아이콘
가입대상 연령은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로서 1987년 2월22일 이후 출생자이다. 군필자의 복무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된다. 예컨대 2년 간 군복무를 마친 1986년생도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할 수 있다.

늘 그렇지만 정부정책상으로 만나이 찍히는 경우에는 복무기간 고려해서 가능한 경우 있으니 간당간당하게 걸리신 분들이면 확인해보세요
몰아치는간지폭풍
22/02/07 14:18
수정 아이콘
40세까지 청년 아니었나!!!???
러프윈드
22/02/07 14:23
수정 아이콘
아오 소득제한
StayAway
22/02/07 14:23
수정 아이콘
와.. 좋다..
아이우에오
22/02/07 14:24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 3600이면 실수령 250정도인가요..?
바카스
22/02/07 14:28
수정 아이콘
소득기준보니 사회초년생이거나 4대 보험 되는 파트타이머분들이 가능할듯.. 월 max 50적금이니 2년 후 그래도 +100만은 되겠네요.
카바라스
22/02/07 14:29
수정 아이콘
좋소면 사실 꽤 널널한 기준이죠. pgr이 고학력 고소득 많아서 그렇지..
바카스
22/02/07 14:31
수정 아이콘
그런 분들만 확인 불가한 댓글만 남기시는거지 피쟐도 수만명이니 바깥이랑 포션은 크게 차이 안 날거예요 흐흐
뻐꾸기둘
22/02/07 15:00
수정 아이콘
고학력/고소득 월급쟁이가 많아서 그쪽 여론이 과표집되는 사이트라 그런걸겁니다.
22/02/07 14:33
수정 아이콘
소득이 아예없어도 안된다구 하네요
윤성호
22/02/07 14:36
수정 아이콘
응애 40미만 청년 시켜줘
22/02/07 14:49
수정 아이콘
신한은행이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최근 발표한 '2021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에 다니는 20~34세 미혼은 월평균 260만원을 벌고 9천500만원의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4세 미혼 대기업 재직자는 같은 나이의 중소기업 재직자보다 80만원 더 많은 340만원을 벌고 총 자산은 2배 많은 1억8천600만원을 보유했다.
22/02/07 14:54
수정 아이콘
신청 가능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소득기준이 제 기준에선 전혀 낮은 금액이 아닌데 다들 고소득자이신가 봅니다...
유자농원
22/02/07 14:57
수정 아이콘
34세이하에 3600만해도 중위보다 꽤 높을텐데요.
4천초반 언저리라 아까운 분들 아니고서야 기만 고만해...
22/02/07 15:10
수정 아이콘
고령화 시대에 청년을 만40세까지로 늘려주는 안건은 없나요?ㅠㅠ
아.. 소득제한이 있었네...
안희정
22/02/07 15:13
수정 아이콘
소득기준좀...ㅠ 이제 몇년안남았는데 한번을 청년혜택을 받아본적이없네요
부스트 글라이드
22/02/07 15:14
수정 아이콘
저렇게 조건해도 자리 다 채울겁니다.. 낮아보여도 저거조차 힘든사람들 위한거니...
Ameretat
22/02/07 15:27
수정 아이콘
이거 만나이죠?
모리건 앤슬랜드
22/02/07 15:36
수정 아이콘
어딜봐서 상류층이에요 저게
타임러스
22/02/07 15:38
수정 아이콘
겨우 2년간 백만원??
22/02/07 15:52
수정 아이콘
헬조선인 이유
구밀복검
22/02/07 15:52
수정 아이콘
사실 달에 수당 4만 원 주는 거
공인중개사
22/02/07 16:00
수정 아이콘
평균소득이 얼만지 모르는 분들 참 많아요.
22/02/07 16:51
수정 아이콘
요즘 하도 코인,주식,부동산 보다 보니 엄청 작아 보이네요.....
거기에 족쇄 같은 내일채움공채 같은게 버티고 있으니 살짝 아쉬운 느낌..
뉴캐슬
22/02/07 18:05
수정 아이콘
이런거보면 왜 코인하는지 알 것 같긴해요
이율이 저정도면 말도 안되는 사기인건데
그렇게 해도 2년에 고작 백만원이거든요
달리 말하면 저축으로 집 살 수 있는 시대는 끝났다는거죠
AaronJudge99
22/02/07 18:55
수정 아이콘
그렇죠....
'차근 차근 돈 모으고 굴려라' 하면
"아니 그럼 나 나이 50 60 먹고 집 사라고? 결혼은 언제하고?" 소리가 안 나올수가 없어요 ㅠㅠㅠ
AaronJudge99
22/02/07 19:18
수정 아이콘
아이고 될라나 했더니 대학생은 힘들겠네요..
마포구보안관
22/02/07 20:43
수정 아이콘
학자금 대출 잔뜩이지만 첫해 소득만 높으면 서민에서 빠지는 갓한민국...
순둥이
22/02/07 21:48
수정 아이콘
적립식 펀드하면 저정도 기간이면 저거보다 수익률 높은 구간 있을 것 같은데
Sensatez
22/02/07 22:21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불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790 [기타] 남녀 소득에 따른 혼인율 [53] Leeka8930 24/05/31 8930
499497 [기타] 밑에 상하이 월세관련 글을 보고 찾아서 올려보는 중국 대도시 현실에 대한 영상 [32] 보리야밥먹자7994 24/05/06 7994
496378 [기타] 버핏이 자회사 고소득 임원의 급여 공개를 거부한 이유 [26] Neo9681 24/03/06 9681
491683 [기타] 일본의 저출산 정책 근황 [74] 무딜링호흡머신17524 23/12/07 17524
489370 [기타] 갤럭시태그 그거 어따씀?? [27] Lord Be Goja13273 23/11/02 13273
483815 [기타] 진짜 대한민국 평균을 알아보자 [33] Avicii11916 23/07/29 11916
482591 [기타] 진짜 대한민국 평균 가구별 소득 [25] 꿀깅이9224 23/07/09 9224
481724 [기타] 2022년 소득 100억원 넘은 재벌가 오너들.gisa [34] VictoryFood13723 23/06/26 13723
480730 [기타] 트위치,어제 발표한것 취소 [23] Lord Be Goja12566 23/06/08 12566
476973 [기타] 샘알트먼 GPT-4와 AGI에 대한 대담 [7] 졸업9930 23/04/02 9930
475921 [기타] 최근 들어 점점 늘고있다는 2030 기초수급자들.jpg [63] Pika4814532 23/03/18 14532
474720 [기타]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36] 덴드로븀12029 23/02/28 12029
474415 [기타] "월 483만원 버셨나요? 평균 가구입니다" [40] 꿀깅이14291 23/02/23 14291
471375 [기타] [슈카] 일반적인 대한민국 사람들의 인생 페이즈 [22] VictoryFood17159 23/01/11 17159
470716 [기타] 뽐뿌 커플의 데이트 통장 문제 [32] 꿀깅이12822 23/01/03 12822
468569 [기타] 현기차 로드탁송 알바 근황 [12] 꿀깅이14030 22/12/03 14030
468025 [기타] "5만원이면 오지 마세요"…결혼식 축의금 내고도 욕먹는다? [117] 꿀깅이17862 22/11/27 17862
465839 [기타] 커뮤니티별 평균연봉을 아라보자 [35] 꿀깅이13480 22/10/30 13480
464442 [기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86] 꿀깅이13936 22/10/11 13936
455889 [기타] 애플,무이자 대출 Pay Later 서비스?! 게시 [22] Lord Be Goja5551 22/06/10 5551
452939 [기타] 포브스 선정 내집마련 어려운 나라(도시) [35] 니시무라 호노카7800 22/04/23 7800
452507 [기타] 국내 소득 양극화 정도 비교 [29] 니시무라 호노카8213 22/04/17 8213
447726 [기타] 청년을 위한 9.3% 적금.jpg [81] VictoryFood14125 22/02/07 141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