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1/26 14:04:58
Name 쎌라비
File #1 공유기콘돔.jpeg (450.0 KB), Download : 15
출처 https://www.fomos.kr/talk/article_view?bbs_id=4&lurl=%2Ftalk%2Farticle_list%2F%3Fbbs_id%3D4%26page%3D2&indexno=1151957
Subject [기타] 공유기 콘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없는바람
22/01/26 14:05
수정 아이콘
와이파이는 전자파가 아닌건가요...?
고양이실패장
22/01/26 14:09
수정 아이콘
실제로 저 제품은 효과가 있고 그렇기 때문에 와이파이 신호를 현저하게 약화시킵니다..
차라리 공유기를 꺼...
샤한샤
22/01/26 14:10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재미있는 세상이에요
22/01/26 14:12
수정 아이콘
그냥 와이파이 안 쓰면 되는데...
jjohny=쿠마
22/01/26 14:13
수정 아이콘
현직 통신밥 먹고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투도 좀 걸쳐 있습니다)
예전에 올라왔을 때 '어디 한 번 안되지만 이해해볼까' 하면서 이래저래 검색해봤으나 실패했습니다.
당시 작성했던 댓글들 다 옮겨오긴 귀찮고 맨 처음 댓글 하나 링크 걸어둡니다. https://pgr21.com/humor/436270#6692288

- 물론 이런 제품들의 판매 페이지에서는 '불필요한 전자파는 차단되고 통신 속도에는 지장 없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나름 실험결과도 있고요
http://ninanoh.com/shop/item.php?it_id=1558925624
https://www.xblue.co.kr/m/product.html?branduid=289

(물론 믿어줄 만한 주장은 아니고요)
하루빨리
22/01/26 14: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간단히 생각만 해봐도 전파의 세기랑 통신 속도는 관련 없죠. 전파 거리(신호 세기)에 상관 있지...
통신 속도, 달리 말하면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 같은건 헤르츠(Hz)에 영향을 많이 받죠. 저주파 통신보다 고주파 통신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르다는건 상식이잖아요. 반대로 고주파일 수록 전파 거리가 짧고 벽을 통과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서 현재 5G의 28GHz대역 서비스는 미국만 상용화 하고 있죠.

결론은 저거 씌웠다고 전파가 아예 차단되는건 아니니깐 가까이에서 측정했다면 전송속도는 거의 차이 없을겁니다. 물론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신호 세기가 급속도로 약해질테니 제 속도가 안나올겁니다. 링크 건 사이트 확인해보니 다 졸렬하게 바로 옆에서 테스트 하네요. 크크크
jjohny=쿠마
22/01/26 14:31
수정 아이콘
(그게 실무적으로 전파 세기도 통신 속도와 상관이 있습니다. 물론 주파수도 큰 상관이 있고요.)

말씀하신 대로 가까이서 잰 게 실험의 큰 맹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 링크 사진을 보면 거의 안테나 바로 옆에서 잰 것 같던데...)
단비아빠
22/01/26 15:36
수정 아이콘
전파 세기와 통신 속도가 관련이 없다는건 AM FM 라디오라던가 아날로그TV 같은 것에 적용될 얘기구요..
디지탈 통신에서는 전파 세기에도 통신 속도는 영향을 받습니다...
전파가 세고 강력해야 신호가 손상이 덜가고 온전하게 전달되죠.
만약 전파 세기가 약해져서 신호에 일부 손실이 발생하면 해당 패킷이 드랍되고 재전송이 일어나며
재전송이 일어날때마다 전체 통신 속도는 떨어집니다.
하루빨리
22/01/26 15: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서 '간단히 생각만 해봐도', '물론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신호 세기가 급속도로 약해질테니 제 속도가 안나올겁니다.'라고 적었습니다.

단비아빠님 이야기는 반대로 신호세기가 패킷 드랍될 정도로 약하지 않으면 100이든 1000이든 똑같은 1인거잖아요. 그게 디지털의 특징 아닙니까. 고로 통신속도의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헤르츠고, 위 댓글의 실험조건에서 신호 세기가 약하지 않고, 헤르츠가 바뀐건 아니니깐 통신속도가 거의 변하지 않을거라는 이야기입니다.

제가 저거 씌워서 신호세기가 약해져도 속도는 헤르츠와 관계 있으니 문제 없다는 식으로 적었음 덜 억울하겠네요. 제가 틀린거니깐요.
근데 제 댓글은 실험 결과에 대한 댓글이였고, 그 실험 환경에선 신호 세기는 패킷 손실 없을 정도의 세기라면 결국 배제해도 될 거라는거라는걸 이야기 하고 싶은거였습니다. 즉, 신호세기가 줄어도 통신속도는 문제 없다는 주장을 위한 저 실험은 기만이란걸 이야기하고 싶었던거에요.
22/01/26 14:25
수정 아이콘
뻘댓글 죄송한데 저는 왜 조니 쿠마님이 문과이실 거라고 생각했을까요...
jjohny=쿠마
22/01/26 14:26
수정 아이콘
앗 저는 고등학교부터 주욱 이과였고, 그 전부터도 이과만 바라보고 살았습니다. 크크
jjohny=쿠마
22/01/26 16:40
수정 아이콘
아 근데 저는 통신 기술 연구자는 아니고요, 특허법인 직원인데 주 분야가 통신이라서, 맨날 통신기술 학습하고 특허 써내는 게 일입니다.
뒹굴뒹굴
22/01/26 14:23
수정 아이콘
LTE는 기지국이 멀다고 판단하면 단말기 TX 출력을 높이지 않나요?
WIFI도 동일한 컨셉이면 저래봐야 단말기에서 전자파가 더 나오는거 아닌가?
Cazellnu
22/01/26 14:23
수정 아이콘
할말은 없지만 저것도 능력이고 사업영역이구나 싶네요
22/01/26 15:03
수정 아이콘
모니터에서 나오는 빛이 시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니 모니터에 얇은 천을 씌우고 보는 것과 같다.... 라고 하면 설득이 되려나요?
인생은서른부터
22/01/26 15:44
수정 아이콘
스피커 소리에 잡음이 너무 심하다면, 중간에 둘 수 있는 따뜻한 공기층을 구매하세요. 따뜻한 공기층은 노이즈를 유의미하게 흡수한답니다.

정도가 더 적당할 듯 합니다
AaronJudge99
22/01/26 19:34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1q2w3e4r!
22/01/26 15:47
수정 아이콘
요즘 공유기옵션에서 출력줄일수있어요..
티모대위
22/01/26 16:22
수정 아이콘
너무나 신기합니다. 세상에 하도 최첨단이 많으니 상식을 포함한 모든걸 생각하기를 그만두었나 봐요
AaronJudge99
22/01/26 19:34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은 쓰긴 쓰는데...원리를 도통 모르죠
티모대위
22/01/26 22:43
수정 아이콘
하지만 원리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저 안테나에서 나오는 무언가가 통신에 이용된다는 것은 넉넉히 짐작할 수 있고
그걸 막는게 저 장비의 본연의 기능을 저하시킬수 있다는 사실도 충분하게 유추할수있지요.
저런걸로 막을 수 있는가는 별개로...

99님을 포함한 많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원리같은거 몰라도 이런 기본적인 생각은 다들 하는데
원리를 모른다는 이유로 아예 생각 자체를 안하기로 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ㅠ
배고픈유학생
22/01/26 16:34
수정 아이콘
뻘짓연구소에서 다룬 것 같은데
차라리 친환경적으로 전자파흡수 선인장 준비해두죠
AaronJudge99
22/01/26 19:35
수정 아이콘
저럴거면 와이파이를 왜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1220 [기타] 호감가는 말투 가져보기 [13] 쎌라비5464 22/03/30 5464
451192 [LOL] 슼마갤 홍보트럭 문구 [46] 쎌라비6393 22/03/29 6393
450417 [기타] 튀김집 사장님의 자신감 [11] 쎌라비8544 22/03/18 8544
450416 [기타] 도지코인에 전재산 11억 박은사람 [23] 쎌라비9245 22/03/18 9245
450263 [기타] 포켓몬빵 열풍에 등장한 세트아이템 [13] 쎌라비6961 22/03/15 6961
450261 [기타] 안성 사람들이 싫어하는 질문 1위 [15] 쎌라비8748 22/03/15 8748
449407 [동물&귀욤] 의외로 비둘기 소리였던것 [15] 쎌라비6331 22/03/02 6331
449095 [기타] 술집에서 시키면 혼나는 안주들 [35] 쎌라비9954 22/02/25 9954
448809 [유머] 모텔 냉장고 생수의 비밀 [19] 쎌라비10493 22/02/22 10493
448643 [기타] 가난이 부끄럽지 않았던 학생 [16] 쎌라비10046 22/02/20 10046
448642 [기타] 카페 공감툰 [9] 쎌라비7794 22/02/20 7794
448640 [기타] 인도네시아 사람이 일본어로 부르는 자기 노래를 듣는 미국인 원곡자 [6] 쎌라비8296 22/02/20 8296
447783 [기타] 입브금 자강두천 [6] 쎌라비6057 22/02/07 6057
447224 [기타] 칼로리 바란스의 진실 [17] 쎌라비8990 22/01/30 8990
446907 [기타] 공유기 콘돔 [23] 쎌라비9807 22/01/26 9807
446906 [기타] 22학번의 비극 [21] 쎌라비9537 22/01/26 9537
446422 [유머] 연상녀랑 사귀는 남자 카톡 [19] 쎌라비9823 22/01/22 9823
446183 [기타] 감기에 직빵이라는 음식 [21] 쎌라비7611 22/01/20 7611
446179 [유머] 망가 번역계의 카사딘 [4] 쎌라비5857 22/01/20 5857
445607 [기타] 여친 첫출근 호불호 [26] 쎌라비8342 22/01/15 8342
445144 [기타] 역사에 이름 남기기 어려운 이유 [23] 쎌라비8355 22/01/11 8355
445142 [유머] 요즘 위계질서가 엉망인 공무원들 [42] 쎌라비9826 22/01/11 9826
444288 [기타] 14시간후 나이정리 [56] 쎌라비11234 21/12/31 112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