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1/17 10:47:38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1_vert.jpg (1.37 MB), Download : 12
출처 유튜브
Subject [기타] 韓 패트리엇 '천궁-Ⅱ', UAE에 4조 원 규모 첫 ​수출, 단일 무기 역대최대 규모 (수정됨)





방사청장 피셜 " 사우디 아라비아, 이집트로의 방산 수출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중이며
UAE 이외의 다른 나라와도 천궁-II 수출 계약을 협의중이라고 "


언급된 수출계약 협의중인게

이집트 - K2 흑표 전차, K9 자주포
사우디 아라비아 - 비호2 대공방어 시스템


새해 첫 방산수출 계약이 4조원대라니.. 후달달... 정확히는 4조 1,800억원 규모
단일 뮤기 역대 최대규모의 계약이라고
올 연말 방산수출 총액이 얼마나 나올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민채
22/01/17 10:50
수정 아이콘
역시 천궁 터지는 걸로는 최고죠
andeaho1
22/01/17 10:50
수정 아이콘
왜 이름이 천궁..
Cazellnu
22/01/17 10:51
수정 아이콘
하필 뻥궁
22/01/17 10:52
수정 아이콘
오우!!!!
유튜브 프리미엄
22/01/17 10:52
수정 아이콘
유게에서 정치인 사진은 빼셔야해요
아롱이다롱이
22/01/17 10:55
수정 아이콘
수정하였습니다
22/01/17 10:53
수정 아이콘
비호는 진작에 엎어진걸로 알고 있는데 다른 이야기가 있나요? 라인메탈 시스템이 들어갈텐데
다빈치
22/01/17 10:54
수정 아이콘
하필 뻥궁
22/01/17 10:55
수정 아이콘
엄밀히 따져서 탄도미사일 방어체계의 핵심은 아닙니다
다음 세대 넘어갈려고 페기직전이었거든요. UAE가 안샀으면 개발중단이었죠
이 분야 가성비는 이스라엘인데 사는게 부담된다는 점이 있어서 한국이 그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1: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L-SAM 얘기면 그건 애초에 다층방어에서 타겟팅이 다른건데...?
뭐 원랜 좀 줄이거나 2번에 나눠서 생산할려다 북쪽에서 불꽃놀이를 자주하니 결국 예정수량을 전부 배치하는걸 넘어 추가배치도 이뤄진다느니 하고 있던가...
22/01/17 11: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적하신대로 페기는 잘못된 발언이네요.
18년이후에 현플랫폼 개선에 예산추가에 반대하는 상황이긴했지만 확대배치는 이뤄졌으니까요
아구스티너헬
22/01/17 11: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송영무 혼자 반대했죠.
ADD에서 몇십년동안 준비한 기술개발 로드맵을 싹 무시하고..
국방개발은 부페처럼 골라먹는 곳이 아니에요.
골라먹으려면 그냥 자체개발 말고 수입을 해야합니다.
저런식으로 중간 이빨을 빼버리면 업체는 개발자 풀을 유지할 수 없고 기술력을 유지하지 못할뿐더러
기술로드맵에 구멍이 나기 때문에 향후 체계개발에 심대한 영향이 있습니다.
22/01/17 11:4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것에 동의도 하구요. 기술력 유지를 위해서 이번 수출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해요. 언급하신것처럼 예산낭비라고 주장하는 쪽을 약화시킬수 있으니까요.
아래덧글 의견까지 말씀드리면 말장난같지만 탄도방어의 주요 핵심이 아니고 근간이라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입니다.

이제 요격이 탄도탄과 항공기만 아니라 위성을 포함한 우주공간까지 포함되는 개념이고 새로운 기술들이 계속 요구되고 있으니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1: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한국형이라고 상정되면 핵심일 수밖에 없는게 저 북쪽에서 주로 쏟아부을게 단거리탄도탄이라서 하층방어가 좀 심하게 중요하니까요...
우주공간(고도 100Km이상)같은건 L-SAM조차 당장은 목표가 아니라서...
그 이상은 현잰 아직 외산으로 때워야...
22/01/17 12:03
수정 아이콘
저층 방어 당위성을 알고 있는데 탄도미사일이 핵이라고 생각하면 격추해도 피해가 있을게 뻔해서 좀 복잡한 생각이 듭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2:06
수정 아이콘
현재 100여 기 전후로 추정되는걸로 아는데 핵이 그걸 단거리에 실어 날리는 판단을...
아구스티너헬
22/01/17 12:07
수정 아이콘
핵미사일은 요격되면 기폭할 수 없습니다.
아구스티너헬
22/01/17 12: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시는 그런 차기 기술들은 이미 로드맵에 있습니다. 국방개발은 개념연구, 선행개발, 체계개발, 양산개발, PIP 이런식으로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그 기간은 10년 20년을 넘어갑니다.

그리고 지금 양산되어 배치되는 무기들은 현존하는 군사위협에 대응하기 위함이지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의 위협을 위한게 아니에요

말씀하시는 그런 무기체계는 그 위협이 가시화될즈음에 양산배치될거고 그러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한거죠

천궁 block2는 대한민국의 현존하는 군사위협에 대응하는 핵심방공자산 중 하나이며 앞으로 대한민국의 방공자산 발전에 근간이될 기술입니다.

제가 자체 방공자산 개발능력이 전무하던 시절에 천궁 block1을 맨땅에 해딩하면서 개발한 사람중 하나인데 저 천궁 체계가 대한민국 모든 레이더 시스템의 어머니격이고 미사일 체계또한 모든 대공미사일의 어머니격인 기술입니다.
러시아 기술자들이 주는 보드카 글라스로 마셔가며 기술 동냥해서 키운 자식이죠
22/01/17 12:20
수정 아이콘
제가 이 수출에 대해 폄하하는게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구요.
여담이지만 이미 우주 공격에 대한 위협은 존재합니다. 미중러가 모두 이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죠. 실험이라고 핑계를 대면서 실증검증도 마친상태구요.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2: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고도 위성요격이야기면...아직 우리나라는 저고도에 쏘아둔 위성이 소수라...미중러들이야 지들이 쏘아놓은게 많으니 요격할수있다고 어필하면서 건들지마라 시전같은걸 하는거지만...
거기에 당장 만들라고해서 만들 수 있는것도 아니고...걔네들이야 곧 가실 위성 부순다고라고하면서(우주쓰레기가 늘어난다아아) 검증하지 우리는 만들어봐야 검증도 못할 무기체계라...잠재적 위험이야 그렇다치지만 그걸 당장 어쩌니저쩌니하기에는 이른 당장 눈앞에 보이는 위험은 아니긴하죠...
아이군
22/01/17 12:49
수정 아이콘
[러시아 기술자들이 주는 보드카 글라스로 마셔가며 기술 동냥해서 키운 자식이죠]

ㅠㅠ 감사합니다.
아구스티너헬
22/01/17 11:28
수정 아이콘
천궁 block2는 천궁 block1과 유사시스템이지만 결정적으로 미사일이 hard kill 방식으로 바뀐겁니다.
기존 soft kill방식으론 항공기만 요격이 가능하고 탄도탄에는 대응이 안되죠.
Hard kill과 soft kill은 미사일의 종말유도 및 기동에서 전혀 다르기 때문에 살짝 개량한 기술이 아닙니다.
따라서 국내 방위산업이 탄도탄 요격용 미사일과 운용체계를 보유하게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게 있어야 L-SAM도 가능해지는거죠. 이제 이걸로 hard kill 기술이 개발되었으니 레이더 탐지거리 및 해상도를 올리고 미사일 사거리를 올리면 그게 L-SAM입니다.
마치 KF-21이 바로 5세대로 건너뛰지 않고 4.5세대로 기술력을 단계적으로 올리는 것과 같은 이치죠.
님이 생각하시는 탄도미사일의 방어체계 핵심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탄도탄 방어는 고고도, 중고도, 단거리 이렇게 3층방어체계로 구축되는거고 하나하나가 모두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이 3층 방어체계의 기초 체계와 기술을 확보했기 때문에 이제 고고도를 준비하는거고 이런 세트구성이 가능해야 수출이 가능합니다.
중간에 이빨이 빠지면 기술도 사장되거니와 수출이 어렵습니다.
애아빠
22/01/17 10:55
수정 아이콘
천궁이면 잘 터지는건 보장이네요.
거기에 2라니..
22/01/17 10:56
수정 아이콘
잘터지니까 오히려 좋은 이름 같은데
22/01/17 10:59
수정 아이콘
이 천궁은 다르다..!
22/01/17 11:05
수정 아이콘
빗나가면 자폭도 잘 해야하니 적절한 이름인듯
떡국떡
22/01/17 11:05
수정 아이콘
천궁 품질에 문제가 있나요? 뭔가 비꼬는듯한 댓글이 여러개..
방과후티타임
22/01/17 11:08
수정 아이콘
저 천궁이 아니라
같은이름을 가진 컴퓨터파워가 유명해서 그렇죠.
마카롱
22/01/17 11:09
수정 아이콘
컴퓨터 파워서플라이 모델 중에 천궁이 있었습니다.
품질 문제가 많았죠.
떡국떡
22/01/17 11:18
수정 아이콘
아아..그런게있군요
나무위키를 봐도 뭔소린가 했었네요 흐흐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1:19
수정 아이콘
없을리가...? 뻥파워의 전설인데 덜덜
아마 천궁(파워서플라이)로 해야 나오나?
떡국떡
22/01/17 11:20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에서 천궁(파워서플라이) 라고 표현되니 그게 컴퓨터 부품일거라곤 생각못했어요
니가커서된게나다
22/01/17 11:06
수정 아이콘
잘터지는 신뢰의 그이름 천궁
파워 확실합니다
22/01/17 11:08
수정 아이콘
군수분야에서 결실을 내나 봅니다?
아롱이다롱이
22/01/17 11: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작년 한국 방산수출 금액이 수입액을 처음으로 넘어섰다는 뉴스가 올라왔었거든요
앞으로 한국 방산도 수출 효자품목으로 대두될꺼라는 얘기와 함께
22/01/17 11:1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방산은 이제 시작이죠.
나막신
22/01/17 11:13
수정 아이콘
다시는 한국의 파워서플라이를 무시하지마라!
22/01/17 11:25
수정 아이콘
재활용 되면 조케따
22/01/17 11:26
수정 아이콘
하지만, 한화시스템 주가는 [선반영]으로 빠지는중(...)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1:32
수정 아이콘
뭐 현재 시장전체가 한국 금리인상되었고 미국도 한다느니 만다느니하면서 흔들릴판이라 크크
머나먼조상
22/01/17 11:47
수정 아이콘
이름만 보면 개쎄보여요 크크크크
썬업주세요
22/01/17 11:51
수정 아이콘
신기전처럼 생겼네요
퀀텀리프
22/01/17 12:06
수정 아이콘
감격 졸도(feat 포방부)
두둥등장
22/01/17 12:09
수정 아이콘
어떻게 무기이름이
호랑이기운
22/01/17 12:16
수정 아이콘
이건 자게글감아닌가요
22/01/17 12:3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무기수출순위가 gdp순위보다 높더군요
죽음의상인
닉네임을바꾸다
22/01/17 12: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래 한참 사던시절엔 수입순위가 높았던지라 크크
2015년엔 1위도 찍어봤던...
즉 한국군은 워낙 큰손이라 자체개발에도 영향을 주죠...일단 도입한다면 크게크게 도입해서 단가가 좀 떨어뜨릴 수 있으니까요...
부스트 글라이드
22/01/17 13:19
수정 아이콘
이번년도 방산수출 목표만 100억달러인데 이정도면 죽음의 상인 맞죠.. 크크
아이군
22/01/17 12:50
수정 아이콘
아..... 정치댓글 마렵다
22/01/17 12:57
수정 아이콘
어디서 드론 요격용으로 수입한다는걸로 얼핏 들었는데 부자는 역시 중동부자!
뒹굴뒹굴
22/01/17 13:47
수정 아이콘
그동안 우리나라가 어디가서 어그로 안끌고 조용히 살아온 보람이 나타나는군요 크크크
대불암용산
22/01/17 17:56
수정 아이콘
하필 이름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501 [기타] 중동문제의 한 30%는 이 두 나라 탓? [18] 우주전쟁5925 24/05/26 5925
498565 [기타] 사우디 네옴시티 170km에서 2.4km로 대폭 축소 [62] Myoi Mina 8806 24/04/16 8806
497341 [기타] 사우디에 짓는다는 드래곤볼 테마파크 [27] 우주전쟁7388 24/03/23 7388
496271 [기타] 사우디 네옴시티(The Line) 근황 [29] 우주전쟁8702 24/03/04 8702
495802 [기타] 퍼거슨옹 근황 [15] 김티모10160 24/02/25 10160
493789 [기타] 예멘의 열병식 [17] Lord Be Goja11353 24/01/18 11353
493655 [기타] 료즘 후끈하다는 중동상황 [50] Lord Be Goja17240 24/01/15 17240
493429 [기타] 이번에 나온 사우디 금광의 위연 [37] Lord Be Goja13122 24/01/10 13122
477107 [기타] 애플을 능가하는 사우디 아람코의 2022년 실적 [16] Heretic11852 23/04/04 11852
475777 [기타] 경제) 크레디트 스위스 은행 사태를 araboza [17] 꿀깅이14541 23/03/16 14541
472595 [기타] 주식) 사우디 머니의 위엄 및 위험 [8] 꿀깅이10619 23/01/28 10619
469144 [기타] 2020년 세계 국방비 순위 의외의 3, 6, 10위.jpg [34] 시나브로10467 22/12/11 10467
467985 [기타] 사우디에서 구상 중이라는 수상도시 "판게오스" [58] 우주전쟁13999 22/11/26 13999
467829 [기타] 한국 경기를 지켜보는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MP4 [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861 22/11/24 10861
467821 [기타] 사우디와 일본의 승리에 올인한 버튜버 [7] 물맛이좋아요9711 22/11/24 9711
466150 [기타] 진짜로 공사 시작한 The Line 프로젝트... [42] 우주전쟁13655 22/11/03 13655
464078 [기타] 최신과 근래 뉴스 몇가지(구글 또 탈중국, AI가 또, 기름값이 또) [3] 타카이8910 22/10/06 8910
462033 [기타] 대통령의 중요성 [9] 니시무라 호노카10497 22/09/08 10497
459039 [기타] 만수르 사촌 초대로 사우디에 간 근근웹 유저 [11] 퍼블레인12291 22/07/29 12291
458966 [기타] 미친 사우디 아라비아 도시 계획 [52] 우주전쟁10924 22/07/28 10924
457504 [기타] 누가 미국의 친구인가 [28] 판을흔들어라8905 22/07/05 8905
448286 [기타] 최근 독일이 욕 먹는 이유 [20] 판을흔들어라11555 22/02/14 11555
445795 [기타] 韓 패트리엇 '천궁-Ⅱ', UAE에 4조 원 규모 첫 ​수출, 단일 무기 역대최대 규모 [52] 아롱이다롱이7484 22/01/17 74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