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19 00:48:52
Name Leeka
File #1 A63E7750_D724_4BDA_9FFA_E574105E26A5.jpeg (60.3 KB), Download : 47
File #2 7DC9B098_7769_4719_9B93_754D0E0A2887.jpeg (60.7 KB), Download : 46
출처 넷플
Subject [유머] 넷플릭스 공식 역대 인기순위 탑텐




공개 후 첫 28일간 시청시간 기준

1. 오징어 게임 시즌1 - 16억5천 (비영어)
2. 브리저튼 시즌1 - 6억2천 (영어)
3. 종이의집 시즌4 - 6억1천 (비영어)
4. 기묘한 이야기 시즌3 - 5억8천 (영어)
5. 위쳐 시즌1 - 5억4천 (영어)
6. 루머의 루머의 루머 시즌2 - 4억9천 (영어)
7. 루머의 루머의 루머 시즌1 - 4억7천 (영어)
8. 조용한 희망 (리미티드 시리즈) - 4억6천9백 (영어)
9. 너의 모든 것 시즌3 - 4억6천7백 (영어)
10. 너의 모든 것 시즌2 - 4억5천 (영어)


오겜이 얼마나 어나더레벨인지 보이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티모대위
21/11/19 00:52
수정 아이콘
원래 무슨 순위든간에 영어 작품들이 1티어 싹 먹고 비영어 작품들은 따로 추려준 느낌이 강한데
오징어게임이 아예 딴세상에 있네요
미소속의슬픔
21/11/19 00:55
수정 아이콘
오징어게임은 비공식 중국뷰까지 합치면 30억은 족히 되겠네요 크크
21/11/19 00:56
수정 아이콘
<나르코스>는 어느 정도이려나요?
21/11/19 01:12
수정 아이콘
위쳐를 저렇게 많이 봤네
한방에발할라
21/11/19 01:20
수정 아이콘
오징어게임 나홀로 빌리언 크크
지하생활자
21/11/19 01:33
수정 아이콘
킹덤이없다니
닉네임을바꾸다
21/11/19 01:35
수정 아이콘
단위가 혼자 다르네...
그 레벨이라니...
21/11/19 02:01
수정 아이콘
2등 앞에 1을 붙여도 안된다니....
문문문무
21/11/19 02:22
수정 아이콘
볼때마다 믿기지가 않네요 덜덜;;
광고만 봤을땐 아 안봐도 비디오네 싶었고

2주? 뒤에 인기가 폭발적이라길래 봤는데
생각보단 몰입되게 만들었네? 근데 딱그뿐인데? 진짜 안봐도 비디오인데? 가 끝이었어서

진짜 전세계적 광풍이라 불릴정도로 커질때
설마 전세계가 한국상대로 몰카찍나? 싶었거든요...

대체 어디서 저렇게 미친듯이 꽂히신건지 감이 안잡혀요
어둠의그림자
21/11/19 03:08
수정 아이콘
슈퍼스타경제가 심화되는것 같네요. 한번대박나면 입소문으로 월클가능하고 나머진 그저그렇고
그냥사람
21/11/19 04:38
수정 아이콘
오겜 안티아님) 확실히 입소문을 잘탔죠.. 비슷한 포맷 비슷한 스토리는 수도없이 많았고 한국사람들은 특히 소설만화영화드라마 뭘보든 어느정도 있던 양식이었는데.. 한국발(이게 은근히 셉니다 요즘)+요즘 핫한 트렌드인 머니게임류라서 크게 뜬듯하네요
앗잇엣훙
21/11/19 05:41
수정 아이콘
이게 말이 되는건가...

싸이 방탄이후 최고의 뽕...
바카스
21/11/19 07:54
수정 아이콘
이제 남은건 문화쪽은 그래미 혹은 노벨문학상 정도고 스포츠는 발롱이니 싸이영 등은 개인의 성취이니 이건 진짜 멀었겠죠ㅜㅜ
포메라니안
21/11/19 08:43
수정 아이콘
요새 문화의 흐름상 노벨상은 그닥 아쉽지가 않네요... 받으면 뽕이 크긴할 것 같습니다만...
바카스
21/11/19 09:31
수정 아이콘
글쵸 노벨상은 대중성이 아니라 예술 or 학문쪽이니
멸천도
21/11/19 09:18
수정 아이콘
기생충을 빼먹으셨군요!
자유형다람쥐
21/11/19 06:50
수정 아이콘
아 X발 경규형!
포메라니안
21/11/19 08:41
수정 아이콘
혼자 핵쓴건가요..?
21/11/19 09:43
수정 아이콘
오징어 게임도 그렇고 마이네임도 그렇고 장르라는 틀 안에서만 생각하면 대박난 이유를 찾을 수 없죠.

스타 이전에도 RTS 게임은 많았고
디아블로 이전에도 액션 RPG는 많았고
WOW 이전에도 MMORPG는 많았죠.

장르적 특성으로만 보면 오징어 게임은 흔하디 흔한 데스 게임 중 하나일 뿐이고 마이 네임은 결말이 뻔한 느와르 복수극이라 매니아 입장에서는 “이게 왜?”가 될 수밖에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2877 [유머] 약후) 인기 인스타그래머 게시글당 제휴 단가.jpg [28] 삭제됨14343 21/12/15 14343
441734 [유머] 원조 글로벌 BJ [25] 짱구14556 21/12/02 14556
440686 [유머] 미국이 스시를 먹게된 것은 한국인 덕분 [25] 어서오고13424 21/11/22 13424
440425 [유머] 여자가 정리한 인기 없는 남자 특징.jpg [40] 김치찌개14329 21/11/20 14329
440259 [유머] 넷플릭스 공식 역대 인기순위 탑텐 [19] Leeka11716 21/11/19 11716
438546 [유머] 마시면 아버지를 형이라고 부르게 되는 술... [29] 우주전쟁13332 21/11/02 13332
438536 [유머] 한국에선 DC가 마블보다 인기가 좋다. [15] 어서오고12258 21/11/02 12258
438021 [유머] 여우군과 선생님 [9] 착한글만쓰기8524 21/10/28 8524
437614 [유머] 이광수가 중국서 인기있는 이유.jpg [16] TWICE쯔위15098 21/10/25 15098
437196 [유머] 오징어게임이 투표에 주는 영향 [10] 퍼블레인10694 21/10/21 10694
437167 [유머] 세계 각국의 인기 커뮤니티 [29] 고양이실패장14929 21/10/21 14929
437089 [유머] 멕시코에서 한국의 인기를 느낀 한국인 신부님 [20] 파랑파랑13224 21/10/20 13224
436884 [유머] 넷플릭스 제작비가 유출된 이유 [11] 맥스훼인16459 21/10/18 16459
436493 [유머] 스포?)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프로필이 출시됬네요 [12] 초현실9901 21/10/14 9901
436050 [유머] 오징어 게임 덕분에 인기가 오른 것.jpg [21] KOS-MOS13089 21/10/10 13089
435603 [유머] 오징어게임 인기체감.jpg [18] 청자켓10468 21/10/06 10468
434403 [유머] 해외 할로윈 코스튬 현재 인기 1위 품목.JPG [13] 청자켓11451 21/09/24 11451
433736 [유머] 주식) 참교육자 피터린치 선생.TXT(움짤포함) [13] 비타에듀8380 21/09/18 8380
431811 [유머] 가볍게 쓴 글이 자기 전공논문보다 인기가 좋아서 곤란했던 학자 [11] 나주꿀11968 21/08/31 11968
431720 [유머] 의외로 일본인들은 잘 모르는 중국문화 [11] 하얀마녀11740 21/08/30 11740
430966 [유머] 판지시르 저항군이 인기가 많은 이유 [35] 어바웃타임11834 21/08/23 11834
430579 [유머] 1kg 흙덩이에 10조가 넘는 이유 [16] 나주꿀11620 21/08/19 11620
430384 [유머] 가장 남자다운 사업 [15] 이호철12237 21/08/17 122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