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01 09:56:39
Name 톰슨가젤연탄구이
File #1 ba1defdeadb357e014fd121200f34007.png (241.2 KB), Download : 42
File #2 f9e95750a9d071997e353fd49c8d1af0.jpg (199.7 KB), Download : 38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279685?sid=157
Subject [기타] 신비한 대한민국 물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01 09:59
수정 아이콘
아직도 허생전에서 말한 유통장악과 시전상인을 폭리가 그대로 통용되는 나라.
그럼에도 저걸 곧이곧대로 듣기엔 좀..
시린비
21/11/01 10:00
수정 아이콘
손해보기는 싫어하고 이득보는건 좋아함
HA클러스터
21/11/01 10:21
수정 아이콘
그건 안그런 사람이 없...
StayAway
21/11/01 10:05
수정 아이콘
갈치는 어획량이나 시세라도 바뀌지.. 충무김밥은 그냥 비쌈..
21/11/01 10:08
수정 아이콘
유가가 마이너스 일때도 신비함을 유지함
퀀텀리프
21/11/01 10:10
수정 아이콘
가격은 하방저항성이 강하여.. 어쩌고..
Betelgeuse
21/11/01 10:11
수정 아이콘
오르지 않는건 여러분의 월급뿐입니다!
21/11/01 10:12
수정 아이콘
저지방 우유 이야기본 뒤로 생각하는게 달라졌습니다
외국에서는 저지방이면 지방함유랑도 낮고 지방으로 회사에서 부가 수익창출이 되는데 저지방 우유가 왜 더 비싸요? 라고 하더라고요
비단 이것뿐만 아니더라도.. 유통단계가 복잡해서 그런가 이상해도 단단히 이상한 분야가 좀 있는듯
척척석사
21/11/01 13:03
수정 아이콘
지방함유량 부가 수익창출 이런 건 단가책정과 아무 관련 없어보입니다. 중요한 건 좀 더 비싸게 줘도 그걸 먹고 싶은 사람의 수요랑 그 수요를 이끌어내는 마케팅이겠죠. 오겹살도 뭐 대단한 게 아니라 껍데기 안 벗기고 그냥 붙여놓은 건데 쫄깃하니까 먹고싶잖아요 아 안되겠다 바로 구우러 갑니다
안다리엘
21/11/01 13:08
수정 아이콘
아 저도
나스닥
21/11/01 10:18
수정 아이콘
양심없지만 이런거 생각해서 생활소비재 etf들어갔는데 점점 망하고있습니다.. 점점 주가가 하락세인데.. 계속 따라가며 물타고는 있다만.. 에휴..
떠돌이개
21/11/01 10:20
수정 아이콘
플레임은 킹정이지
막나가자
21/11/01 10:33
수정 아이콘
오르면 원재료 가격상승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올림
원재료 가격 내리면 갓직히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 안돼서 못내림
기적의 논리
머여내놔요
21/11/01 10:35
수정 아이콘
이상하다 왜 몰카로봤지;;
League of Legend
21/11/01 10:39
수정 아이콘
시장이 작아서 독과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로서로 통수치면서 당하는 사회인거죠.
록타이트
21/11/01 23:04
수정 아이콘
사실상 섬나라인게 정말 크죠.
리얼월드
21/11/01 10:43
수정 아이콘
쌀 같은건가요?
오르면 풀고, 내리면 저장하면서 가격 유지 흐흐흐
깃털달린뱀
21/11/01 10:58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왜 그럴까요? 꽤 최근까지 인건비는 바닥인 나라였고 인구 5천만이 사실 그렇게 내수 걱정할만큼 적은 수도 아니고요.
유통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진짜 그거 때문인지. 근데 또 리테일 경영 쪽 얘기 들어보면 막 그렇게 폭리를 취한다는 느낌은 아니더라고요. 납품업체를 쥐어 짜면 짰지.
비효율적에 폐쇄적인 농산물 시장 + 원재료 전량 수입의 영향인가 싶기도 하고요.
하루빨리
21/11/01 12:03
수정 아이콘
농수축산물 시장은 폐쇄적이지 않습니다. 농산물의 경우는 뭐 밭때기 거래도 있으니 덜합니다만 기본적으로 농수축산물 도매는 경매 시스템으로 돌아가고 남은건 협동조합이 구매하는 형식이죠. 밭때기도 일종의 선물거래라서 가격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도 장단점이 있고요.

기사 보심 아시겠지만 산지에선 농수축산물은 쌉니다. 도매 시장 옆은 그야말로 시세대로 돌아가요. 왜곡이 생기는건 유통쪽입니다.
근데 유통쪽도 물건이 너무 비싸 안팔리면 상해서 버리는 비용, 창고 비용 등등으로 폭리를 챙기기 힘듭니다만, 여기서 함정이 있는게 요즘은 냉동 기술과 가공기술의 발달로 상해서 버리는 경우가 별로 없고 창고 또한 자본이 있으면 버틸 수 있으며, 또 가공 기술로 부가가치를 만들 수 있으니 과잉 생산 된다고 바로 처리하는게 아니라 가격 안정화 될때까지 버티면 되거든요. 창고에 갈치가 쌓이는데 왜 안싸지냐고요? 창고에 쌓여있으니깐요.
채소류 같은건 이게 안되서 과잉생산 되면 유통비용 문제 때문에 수확 안하고 밭을 갈아버리거나 공무원 동원해서 지역민들에게 강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유통비용 때문에 도시쪽에서는 영향이 덜합니다. 즉, 가격 올라가는건 도시민들도 유통때문에 체감이 갑니다만, 내려가면 도시민들은 체감이 어렵고 지역민들에겐 밥상이 바뀔정도로 체감되죠.

요약하자면 유통때문에 산지가격 떨어져도 가격이 유지되거나 올라가는겁니다만, 이게 유통 폭리때문이라고 단순하게 볼 수 있는게 아닙니다.
터치터치
21/11/01 11:01
수정 아이콘
창고에 보관할 곳은 없지만 한토막에 8천원 크크
아따따뚜르겐
21/11/01 11:03
수정 아이콘
빵은 그냥 비쌈
21/11/01 12:07
수정 아이콘
진짜 무슨 이름 걸렸다하면 8천원 만원이 우스워서 빠바가 이제는 혜자…
썬업주세요
21/11/01 13:21
수정 아이콘
걔네도 빠바 가격 보고 선 타지 않을까요.
빵값은 그냥 빠바가 올린걸로..
지르콘
21/11/01 11:38
수정 아이콘
시장경제가 어쩌고, 보이지 않는 손이 어쩌고
몽키매직
21/11/01 11:42
수정 아이콘
이건 외국도 똑같습니다. 그냥 가격 올려야 될 때 올리는 건데 구실을 이것저것 가져다 붙이다 보니 그게 쌓이면 모순된 구실을 여기저기서 발견할 수 있는 거죠.
21/11/01 11:50
수정 아이콘
플레임 바이럴
srwmania
21/11/01 12:49
수정 아이콘
그냥 때가 되서 올린다고 말하면 싫어하니까 핑계 가져다붙이다보니 그런거죠 뭐;;
저거 생산하는 사람들도 원가 안 오르는게 뭐가 있겠습니까.
스카이다이빙
21/11/01 12:52
수정 아이콘
미국 월마트는 진짜 싸더라구요

알고보면 다 메이드인 차이나, 코리아(IT)인데
abc초콜릿
21/11/01 13:18
수정 아이콘
답은 미국산 농산물 무관세 무제한 수입입니다. 미국산이 더 싼데 질도 더 좋음
21/11/01 13:51
수정 아이콘
손해보고 파느니 그냥 폐기처분 할겁니다. 장사 오늘만 할거 아니면요.
숨고르기
21/11/01 14:0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창고에 꽉꽉 채워넣어 봐야 그 창고 임대료 땅값은 더 비싸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9515 [유머] 일본의 살인적인 물가.jpg [46] ESBL18333 21/11/11 18333
438443 [기타] 신비한 대한민국 물가 [31] 톰슨가젤연탄구이13470 21/11/01 13470
435768 [유머] 오징어 게임으로 알아보는 물가 변화 [6] 퍼블레인8363 21/10/07 8363
435098 [유머] 80년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초창기.avi [7] Davi4ever8257 21/10/01 8257
432696 [기타] 쯔위 보유국... [48] 우주전쟁13412 21/09/08 13412
431676 [기타] 3인가족 생활비 200만원 충분하다 vs 부족하다 [44] 쁘띠도원12727 21/08/29 12727
430876 [기타] 베트남에서 판매중인 한국 김밥 [35] TWICE쯔위13745 21/08/22 13745
430722 [기타] 워렌 버핏이 말하는 인플레이션 대비 방법, 최선책&차선책 [27] kien.11051 21/08/21 11051
429862 [기타] 베네수엘라 근황 [37] 쁘띠도원12792 21/08/11 12792
427719 [기타] 국제 물가 근황 [20] 길갈10849 21/07/15 10849
421456 [기타] 여행하기 좋은 물가가 저렴한나라 BEST 7 [24] 김치찌개8108 21/05/04 8108
421418 [기타] 연금보험 레전드.TXT [24] 비타에듀11575 21/05/04 11575
416662 [기타] 경제학과 교수님의 주식 실력.TXT [15] 비타에듀8592 21/03/18 8592
409382 [기타] 여행하기 좋은 물가가 저렴한나라 BEST 7 [25] 김치찌개9326 21/01/06 9326
405634 [기타] 러시아가 국가 발전에 한계 있는 이유 중 [12] 시나브로12723 20/11/30 12723
405260 [기타] 서진의 문인 좌사가 쓴 촉도부에 나오는 촉한 멸망 후 촉 지방 묘사 [5] 성아연12466 20/11/26 12466
402348 [서브컬쳐] ~4억 짜리집. [12] kien10015 20/10/30 10015
397025 [유머] 버블시절 일본의 자만심이 하늘을 찔렀던 이유 [48] 와칸나이14130 20/09/09 14130
395810 [기타] 1930년대 동아일보의 Q&A 코너.txt [42] 피잘모모15591 20/08/27 15591
395146 [유머] 독일 물가 수준 [70] 키류12944 20/08/20 12944
387353 [유머] 코로나 때문에 폭등했다는 텍사스 물가.jpg [20] 파랑파랑11617 20/05/28 11617
376494 [기타] 3개월에 250만원이라는 재수학원 [32] 제이홉11419 20/02/08 11419
368936 [기타] 미국 기준 가성비 높은 / 낮은 전공들 [63] OrBef12310 19/11/13 123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