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01 00:39:43
Name 아케이드
출처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9/08/2021090800030.html
Subject [방송] 디즈니 플러스에 훌루(스타) 통합


다음달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디즈니 플러스에 훌루(hulu)가 통합되는 모양입니다.

훌루는 넷플릭스를 견제하기 위해 디즈니와 NBC유니버셜, 21세기폭스 엔터테인먼트, ABC 등이 연합해서 만든 OTT 브랜드인데요

북미와 일본 유럽에서는 '훌루(hulu)', 그 이외 지역에서는 '스타(star)'라는 브랜드명으로 서비스했었는데

우리나라에는 스타라는 디즈니 플러스의 채널 중 하나로 들어온다고 하네요

스타채널에서는 훌루에서 서비스하던 컨텐츠는 물론, 한국 드라마도 방영할 예정이라고 하니

생각보다 꽤 풍부한 컨텐츠를 선보일 듯 합니다.

이로써 디즈니 플러스와 넷플릭스의 라이벌리가 더 볼만해 지고 시청자들은 더 즐거워질 듯 하네요

기대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랑파랑
21/11/01 00:45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HBO맥스 볼 게 많네요.
아케이드
21/11/01 00:47
수정 아이콘
디즈니플러스에 앞서 애플TV도 들어오죠
OTT 전쟁이 정말 치열할 듯 합니다.
자두삶아
21/11/01 00:53
수정 아이콘
OTT 좀 누가 팍 이겨서 다른 애들 망하게 했으면 좋겠어요.
여러 군데 중복으로 나가는 구독료 너무 부담됩니다.
21/11/01 00:54
수정 아이콘
그럼 다른 곳에서 그만큼 구독료를 올리겠죵..
자두삶아
21/11/01 01:03
수정 아이콘
차라리 한군데 비싼게 낫겠죠.
3군데 4군데 구독해야 이것저것 다 볼수 있는 것 보단 한 군데에 2배로 비싸게 내는게 훨신 나아요.
설마 독점 되었다고 구독료 한달에 3~4만원씩 받진 않겠죠.
21/11/01 07:39
수정 아이콘
독점하면 그 설마가 현실이 되는...
아케이드
21/11/01 00:58
수정 아이콘
소비자 입장에서는 서로 돈 써가면서 경쟁할 때가 나을수 있다고 봅니다.
독점 체제가 되어 버리면 요금 올려도 울며겨자 먹기로 내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요...
자두삶아
21/11/01 01:0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지금은 너무 많죠.
티빙+웨이브+넥플릭스+디즈니플러스+여기에 아마존 프라임에 볼만한 독점 컨텐츠가 줄줄이 쌓여서 거부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아케이드
21/11/01 01:08
수정 아이콘
지금은 너무 많긴 하죠 크크 장기적으로 3개쯤만 살아남아서 경쟁해주면 딱 좋을 듯 합니다
VictoryFood
21/11/01 01:14
수정 아이콘
3개도 너무 많습니다. 2개로 하죠. 크크크
그말싫
21/11/01 01:03
수정 아이콘
다른 얘깁니다만 오늘 영화관 가보니 일반관이 14000원이던데, 그거 생각하니 구독료 참 싸더라구요...
아케이드
21/11/01 01:10
수정 아이콘
그쵸 그렇게 생각하면 참 싼건데 말이죠
handrake
21/11/01 09:33
수정 아이콘
글쎄요. 독점이 되면 구독료도 문제지만, 컨텐츠 제작도 문제가 생길겁니다.
독점이 되면 컨텐츠 제작에 투자도 줄일거고, 컨텐츠 제작업체에서 사오는 가격도 후려칠 수 있어서
전반적인 수준하락이 불가피할 겁니다.
자두삶아
21/11/01 11:06
수정 아이콘
그래도 4개 5개는 너무 많습니다 선생님ㅠㅠ
전 이미 세 군데 돈 내고 있는데 디즈니 플러스가 또 끌립니다.

그리고 이런 식으록 계속 나가면 저소득층은 기존에는 몇 천원 TV 수신료로 되건걸 못하게 되니 문화적으로 소외되는 층도 분명히 생길겁니다.
handrake
21/11/01 11:23
수정 아이콘
사실 몇개 구독해봐야 보는 시간은 얼마 안되잖아요.
전 그래서 매달 돌려봅니다. 넷플릭스->웨이브->티빙 이렇게 3개 돌려보고 주력으로 보는 유튜브 프리미엄은 유지하고요.
또 한가지 장점은 매달 구독하면 언제든 볼수 있으니까 막상 안보게 되는걸,
한달지나면 2달동안 못보니까 의외로 시청시간이 늘어납니다?
서류조당
21/11/01 11:43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 생각입니다. 전 웨이브 티빙은 가족들이랑 같이 쓰고 유튭-넷플-왓챠를 돌려보는데 3개월마다 돌아오면 볼 게 쌓여 있죠.
이젠 디즈니가 들어가겠네요. 흐흐.
아이폰텐
21/11/01 01:14
수정 아이콘
구독을 다 달고 있을필요가 없죠. 그냥 달마다 갈아타면서 한달씩 구독하면 귀찮더라도 돈도 세이브되고 몰아서 봐도 되고요

디플 그자체로는 별로 매력적이지 않았는데 21세기폭스와 ABC 드라마 합친거면 상당히 좋네요 넷플 갈아탈만한듯
아케이드
21/11/01 01:16
수정 아이콘
그쵸 기존 디플만이면 정말 애매한데 스타채널이 통합되면 꽤 매력있죠
블랙리스트
21/11/02 11: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담이지만 당연히 한국도 스타 채널은 포함 이었습니다 상당히 뒷북 이신듯 합니다... ㅠㅠ 다즈니 플러스 론칭 관련해서 11월 몇일에 만나요라고 써진 이미지에도 맨 오른쪽에 STAR 로고가 있었습니다. 많은 커뮤니티에서 심지어 IT, 영화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사람들이 훌루가 스타라는 브랜드로 들어오는걸 잘 모르더군요 덜덜... 물론 아직까지 훌루 오리지널 까진 들어오는 거 같지는 않은데 성인용 콘텐츠는 스타로 서비스 되는걸로 압니다

원래 디즈니 플러스에서 해외 시장은 훌루가 아닌 스타로 론칭입니다. 훌루가 우리나라로 치면 공중파들이 연합해서 만든 웨이브 느낌인데 디즈니가 인수했죠. 그러면서 해외 시장 진출 하려다가 훌루가 잘되면 잘될수록 컴캐스트 쪽에 돈이 나가는 게 있어서 해외 시장은 스타라는 브랜드로 디즈니 플러스에 포함되는 쪽으로 진출을 결정하게 됩니다. 유일하게 일본만 진출 했지만 니폰 테레비에서 완전히 지분 인수 했구요
블랙리스트
21/11/02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혹시 기자가 한참을 뒷북치는 건가 싶어서 기사를 보니 9월 기사네요 이제야 아시는 분들도 계시긴 하겠지만 뒷북이시긴 합니다 ㅜㅜ 디즈니 플러스가 거구ㅏ 작년이나 올초부터 계속 기사가 나왔는데 해외 시장은 다 스타 포함해서 론칭 이었기 때문에 우리도 예정된 수순이긴 했습니다. 폭스 콘텐츠 서비스 하려면 필요하긴 하니까요. 참고로 깔려고 단 댓글은 아니니 오해는 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새로운 정보인가 싶어서 들어왔는데 예전 기사라 ㅜㅜ
큐리스
21/11/01 08:20
수정 아이콘
훌루도 진작에 들어왔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은데요.
이제라도 들어온다니
1달 구독을...
블랙리스트
21/11/02 11:50
수정 아이콘
훌루는 애초에 미국 시장용이며 늦은 게 아닙니다 흐흐 진출 국기라고 해봤자 딱 일본 하나이고 여기는 니폰 테레비가 완전히 지분 인수 까지 해서 따로 놉니다. 애초에 해외 시장은 스타라는 브랜드로 디즈니 플러스에 포함해서 진출할 예정이었고 한국은 디즈니 플러스가 11월에 론칭 되니 이제야 들어오는 거죠

이미 인도인가 싱가포르에선 인수했는지 핫스타라는 브랜드로도 운영 중이기도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0684 [방송] 한국말을 하나 배운 버튜버 [19] 시린비12079 21/11/22 12079
439220 [방송] 일본 예능에서 분석한 오징어게임 [26] Aqours9395 21/11/09 9395
438520 [방송]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일본인과 한국인 [92] Aqours14807 21/11/02 14807
438421 [방송] 디즈니 플러스에 훌루(스타) 통합 [22] 아케이드9164 21/11/01 9164
437545 [방송]  친한파인 일본 연예인.JPG [20] Aqours11591 21/10/24 11591
435782 [방송] 조선본토의 최신 식문화를 알아보는 [25] Lord Be Goja11545 21/10/07 11545
435554 [방송] 한국-일본 OTT순위 [31] 아케이드12194 21/10/06 12194
435164 [방송] 점심시간에도 자기개발에 열심이었던 1990년 직장인들.AVI [9] 비타에듀11312 21/10/02 11312
435110 [방송] 뭐든지 다 있는 무한도전 [4] 개맹이7772 21/10/01 7772
432628 [방송] 토요타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시제품 발표 [20] 아케이드11807 21/09/08 11807
432524 [방송] 일본 사극에서 백제를 느끼다 [10] 퍼블레인9840 21/09/06 9840
427558 [방송] 영국에서 만든 도쿄올림픽 광고 [18] KOZE11853 21/07/14 11853
413935 [방송] KBS의 변명 : 한국성인줄 알았다 [42] 아케이드12980 21/02/20 12980
413713 [방송] 일본에서 활동중인 러블리즈 미주 [14] 묘이 미나 9800 21/02/18 9800
412685 [방송] 일본 차 리뷰했다고 욕 먹은 유튜버.jpg (스압) [18] VictoryFood9999 21/02/07 9999
410531 [방송] 50평이 넘는 땅에 원룸을 만들어줬다 [21] 이오르다체15748 21/01/16 15748
409706 [방송] 일본 기생충 공중파 방영 [4] 추천9754 21/01/09 9754
408936 [방송] 일본 그 시절 코카콜라 광고 [41] 공항아저씨15338 21/01/01 15338
408208 [방송] 일본 부동산이 한국의 미래? [42] 공항아저씨14354 20/12/24 14354
407996 [방송] 독도는 일본땅이라고 하는 것들 종특 [38] Aqours11504 20/12/23 11504
406807 [방송] 상추쌈 먹는 일본 [59] Aqours13295 20/12/11 13295
403172 [방송] kpop..일본연예계 영향..jpg [30] 끄엑꾸엑12099 20/11/07 12099
402862 [방송] 장인 정신이 담긴 일본의 투표 방송 [13] Aqours10707 20/11/04 107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