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0/23 11:21:23
Name 우주전쟁
출처 위키피디아
Subject [기타] 7000미터 이상 고봉 중 가장 등산이 쉬운 산... (수정됨)
1-Peak-Lenin.jpgPeak-Lenin-Base-Camp-Kyrgyzstan-56.jpgSlider_65a96667eced30_1920x1920.jpgCjWGysDUUAAdnDY?format=jpg&name=medium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국경에 위치한 레닌 봉(Lenin Peak), 또는 이븐 시나 봉으로 불리는 7,134미터의 산입니다.
하지만 보시다시피 깍아지른 듯한 절벽도 없고 산 능선의 기울기가 비교적 완만해서 7천미터 이상 고봉들 가운데 가장 올라가기 가장 쉬운 산으로 꼽힌다고 하네요. 눈만 없으면 그냥 지리산(?)이라고 해도 믿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쉽다는 것도 어디까지나 전문적인 산악인들 기준으로 하는 얘기고 저 같은 생초짜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얘기라고 하네요. 여전히 눈사태나 크레바스에 빠질 가능성이 존재하고 고산병도 무섭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동네 뒷산 올라가 듯 올라갈 수 있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도 K2 같은 산 보다가 저 산 보니 능선이 혜자긴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이치블루
21/10/23 11:26
수정 아이콘
레닌 동상을 가져다 놓을 정도라니 정말 그렇게까지 어렵진 않은가 보네요 크크
도투락월드
21/10/23 11:30
수정 아이콘
레닌이 왜 저기서 나오는건가요 크크
EpicSide
21/10/23 11:32
수정 아이콘
원래 이름은 제1대 러시아령 투르키스탄 총독인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의 이름에서 따온 카우프만 봉이었으나 1928년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따서 레닌 봉(Пик Ленина)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 최근에는 타지키스탄 측에서 이란계 학자인 이븐 시나의 이름을 따서 이븐 시나 봉으로 개명했지만 키르기스스탄에서는 그대로 레닌 봉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븐 시나라는 인물 자체가 타지키스탄의 주류 민족인 페르시아인 계열의 위인이기 때문에, 아무 상관없는 튀르크계인 키르기스스탄의 입장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이름이라 앞으로도 이븐 시나 봉으로 산 이름이 통일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

산을 반반씩 점유한 당사국끼리도 입장 조율이 제대로 안 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아직은 예전 이름이자 키르기스스탄은 지금도 사용하는 레닌 봉으로 주로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타지키스탄이 지은 새 이름이 홍보가 많이 되면 더 널리 쓰이게 될 가능성은 있다. 인도만 해도 베나레스, 봄베이같이 영국 식민지 시대에 지어진 영어 이름을 수십여 년 동안 쓰다가 80년대 들어서 바라나시, 뭄바이 같은 고유 이름으로 바꾸기 시작해 뭄바이는 제법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생겼다. 그만큼 돈이나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하다. 그런데 키르기스스탄이나 타지키스탄에도 의외로 소련을 그리워하는 사람이나 러시아어밖에 할 줄 모르는 사람(러시아계, 고려인 등)도 여전히 적지 않고 이 문제는 식민지였다가 독립한 다른 나라들과 달리 다소 복합적이다. 키르기스스탄이나 타지키스탄은 식민지가 아니라 러시아와 동등한 소련의 일부로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두 나라 중에서는 타지키스탄보다는 비교적 키르기스스탄 쪽이 구소련과 현 러시아에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도 하다.

라고 꺼무위키에 나오는군요
애플리본
21/10/23 11:39
수정 아이콘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아브렐슈드
21/10/23 12:27
수정 아이콘
아 바로 알아들은 내가 싫다 크크크크크크크크
서류조당
21/10/23 12:33
수정 아이콘
5천미터 이상 급에선 체력 좀 되는 일반인이면 그럭저럭 올라갈 수 있는 산이 있다고 하던데요
사술생
21/10/23 12:47
수정 아이콘
구글 검색해보고 놀란게요
옆에는 코뮤니즘 봉이 있고(?)
http://www.kongdol.co.kr/places/1045
1933년 스탈린 봉이었다가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인 1962년에 코뮤니즘 봉, 1998년엔 이스모일 소모니봉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고 하네요.

https://imnews.imbc.com/replay/1990/nwdesk/article/1837066_30435.html
http://old.kaf.or.kr/kafchungbuk/about.php?mid=33&ctg1=4&p=2
둘 다 소련시절때 원정대가 갔었네요.
윤성호
21/10/23 14:40
수정 아이콘
덕유산같은걸 기대했는데 전 못갈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7542 [기타] 결혼을 소재로 했던 두 TV프로그램 [8] 닉넴길이제한8자11239 21/10/24 11239
437541 [유머] 설거지론에 대하여 읽어야 할 필독서 [1] 냥냥이8000 21/10/24 8000
437540 [기타] 레이저에서 마스크를 출시했네요 [9] 코기토7765 21/10/24 7765
437539 [유머] 펌)블라인드에 올라온 설거지론 분석글.txt [75] 딸기19280 21/10/24 19280
437538 [유머] 사유리가 일본에서 방송하지 않는 이유 [10] Aqours10803 21/10/24 10803
437537 [유머] 설거지론 이후 안 보일 것 같은 드립 [64] 아리아14886 21/10/24 14886
437536 [유머] 퐁퐁단.jpg [52] 우정머15937 21/10/24 15937
437535 [유머] 누구에게나 선한 리플 다는 사람.txt [5] KOS-MOS9890 21/10/24 9890
437534 [유머] 설거지론 공무원 ver [8] 푸크린9640 21/10/24 9640
437533 [기타] 설거지론이 뭔지 몰라서 구글에 검색해보았다.... [34] 닉넴길이제한8자10585 21/10/24 10585
437532 [유머] 아들 받아쓰기 보고 개빡친 엄마.jpg [9] TWICE쯔위10032 21/10/24 10032
437531 [유머] "왜 내 주변엔 이런 남자가 없는거야" [4] TWICE쯔위11837 21/10/24 11837
437530 [유머] 설거지론 델타변이 [5] League of Legend9481 21/10/24 9481
437529 [유머] Are you busy? [4] 판을흔들어라8239 21/10/24 8239
437528 [유머] 설거지론 이후로 다시 재조명되는 댓글 [33] 오곡물티슈13049 21/10/24 13049
437527 [유머] 설거지론 긍정적효과 [17] 10256 21/10/24 10256
437526 [유머] 설거지론 종결 설명갑니다. [39] 달은다시차오른다12005 21/10/24 12005
437525 [LOL] 보다못한 애슐리강 [52] 착한글만쓰기9434 21/10/24 9434
437524 [LOL] 버프 필수 똥챔 [24] roqur8894 21/10/24 8894
437523 [연예인] 설거지론에 대한 전현무의 생각.JPG [45] insane14949 21/10/24 14949
437521 [기타] 피지컬갤러리 오랜만에 힐링 컨텐츠 방송인들 모집중.JPG [13] insane11210 21/10/24 11210
437520 [유머] 조선 태종과 사돈 되는 건 패가망신 지름길이더라 [18] 길갈8847 21/10/24 8847
437519 [서브컬쳐] 80년 전에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20] 아케이드10938 21/10/24 109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