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0/10 18:58:00
Name 파랑파랑
File #1 7f96218faf411926e5134ca8c12f6b98.jpg (2.35 MB), Download : 52
출처 개드립
Subject [기타] 넷플릭스 번역이 오징어 게임을 망치고 있다





닉퓨리 : 어머니..

<어벤져스 : 가망없음>


우린 이미 훨씬 더한 걸 겪었었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웃어른공격
21/10/10 18:59
수정 아이콘
니들도 가망없어를 당해봐라...
21/10/10 19:12
수정 아이콘
노타임투다이도 번역 엄청 별로였어요. 택도 없는 유행어 집어넣는게 딱 그 번역가 스타일...
21/10/10 19:30
수정 아이콘
항상 우리가 가지던 불만인데 역으로 나오니 마냥 신기하네요 크크크크
라라 안티포바
21/10/10 19:42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한국어가 생명연장의꿈을?
손금불산입
21/10/10 20:14
수정 아이콘
한영 번역은 외국 입장에서 꽤나 마이너한 시장이었을테니까... 저렇게 여러번 데여봐야 개선이 되고 그러겠죠.
21/10/10 20:18
수정 아이콘
후후후 니들도 어머니...를 당해보아라
아라라기 코요미
21/10/10 20:19
수정 아이콘
한국인 일자리가 엄청 많이 생기겠네요 덜덜
21/10/10 20:27
수정 아이콘
어머니…
매버릭
21/10/10 20:41
수정 아이콘
김구 선생님.. 보고 계십니까?
12년째도피중
21/10/10 20:42
수정 아이콘
10여년 전 일본에서 한류가 딱 이 정도의 느낌과 포지션을 확보했던 듯 보이는데
과연 이번에도 연착륙이 가능할 것인가.
동시에 일본에서 초기 한류를 환영했던 것은 침체된 문화소비시장에 활로를 뚫어줄 수 있는 촉매로 여겼기 때문일텐데 결국 그렇게 될 것인가.
한국의 문화상품들은 결국 현 40~50대를 주축으로 성장한 느낌인데 과연 현 MZ세대로 불리는 20~30대에서도 이후 그만한 파워의 상품이 나올 수 있을것인가 그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여건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인가. 이것은 장기적으로 한국의 문화사업에 도움이 되는 것인가, 되지 않는 것인가.
축구에서 손흥민이 나왔다고 해서 K리그가 최고의 전성기라고 말할 수는 없듯이 말이죠. 내수시장의 문제...
한꺼번에 여러 생각이 들고 있네요.
及時雨
21/10/10 20:55
수정 아이콘
손흥민이랑은 별개긴 한데 K리그는 개인적으로 제가 본 이후로는 그래도 제일 괜찮은 상황인 거 같긴 해요 크크...
지켜보고있다
21/10/10 22:43
수정 아이콘
문화컨텐츠 수출액이 게임 수출액보다 아직도 낮은지는 모르겠는데 한참 그랬을 시절 한류에 색안경을 끼고 봤었는데요. 작년부터 떡상한 K-문화컨텐츠를 보고 생각 바뀌었네요.
내수를 최우선으로 하는 일본의 컨텐츠와는 상황이 좀 다르다고 보는데요. 왜냐면 우리 내수가 그리 탄탄하지 않아서 왠만한 산업군은 수출주도 성장을 했었으니까요. 문화컨텐츠도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12년째도피중
21/10/10 22:47
수정 아이콘
한류를 받아들이는 입장에서의 이야기였습니다. 2010년에는 일본이 받아들이는 입장. 2020년에는 영미 문화권이 받아들이는 입장이라는 측면에서요.
드록바가 축구 잘하는 건 코트디부아르에 더 이득인가, 영국에게 더 이득인가 같은 것 말입니다. 어느 한쪽이 손해보는 건 아니니 성사된다는 점에서는 이 또한 국제무역의 일환입니다만 해외에서 만들어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컨텐츠가 웨이브에서 대 화제! 웨이브 매출폭주! 이 쪽이 분명 더 '이익'일 것 같으니 말이죠.
고물장수
21/10/12 11:31
수정 아이콘
마블이나 넷플릭스처럼 글로벌로 사업하고 싶으면 로컬라이징도 직접 검수해야된다고 봐요.

[옛] 블리자드처럼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6134 [유머] 오징어 게임이 아리스 인 보더랜드 이긴 이유 [26] mudvayne11147 21/10/11 11147
436133 [유머] 디아2 서버 터짐과 동시 울분도 같이 터진 아재 [32] TWICE쯔위11848 21/10/11 11848
436132 [유머] 능력남 타짜 호구형님.TXT [8] 비타에듀10713 21/10/11 10713
436131 [동물&귀욤] 원숭이한테 얻어터지는 일본인.swf [9] TWICE쯔위8841 21/10/11 8841
436130 [유머] 가장 인지도 높은 한국 단편소설은?.jpg [68] Davi4ever10903 21/10/11 10903
436129 [기타] 중국 동북부 근황.gif [4] TWICE쯔위11052 21/10/11 11052
436128 [유머] 긴급 속보.jpg [15] Pika4813199 21/10/11 13199
436126 [유머]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9083 21/10/11 9083
436125 [유머] 선 넘은 배스킨라빈스 할로윈 한정판.jpg [14] KOS-MOS11107 21/10/11 11107
436124 [유머] 현대인 대부분이 겪고있는 증상 [31] 파랑파랑12262 21/10/11 12262
436123 [기타] 선생님의 마지막 숙제.txt [1] KOS-MOS7681 21/10/11 7681
436122 [유머] 결국 못 참고 트위터 접는 이영지.jpg [6] TWICE쯔위12220 21/10/11 12220
436121 [게임] 기가바이트,게이밍 쇼파 산업 뛰어들어 [13] Lord Be Goja7912 21/10/11 7912
436120 [유머] 유비와 조조의 소름돋는 지략대결 [3] 파랑파랑8406 21/10/11 8406
436119 [LOL] 커리어 최초로 '조별딱' 오점을 남길 LCK 미드라이너는 나올 것인가 [10] 묻고 더블로 가!8424 21/10/11 8424
436118 [유머] 프리미엄 고속버스에 있는 가장 유용한 기능.jpg [14] VictoryFood12632 21/10/11 12632
436117 [연예인] 이병헌한테 전소리하는 이민정.jpg [16] insane13827 21/10/11 13827
436116 [LOL] 436109 글 보고.. [7] League of Legend10457 21/10/11 10457
436114 [기타] 미국에서 오징어게임 커스텀 신발 신고 뛴 선수 [15] Odin12329 21/10/11 12329
436113 [스포츠] 피지컬 역대 최강의 헤비급 복싱 챔피언.gif [24] 캬라11812 21/10/11 11812
436111 [유머] 유일하게 오징어 게임 이름을 쓰지 않은 나라 [11] 파랑파랑10100 21/10/11 10100
436109 [LOL] 약후) LPL 호스트 누나의 역대급 미드 무빙.gif [45] 오늘처럼만29276 21/10/11 29276
436108 [유머] 오징어 게임의 고증을 지적하는 미국의사.jpg [49] 파랑파랑14931 21/10/11 149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