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6/30 13:25:16
Name 묻고 더블로 가!
File #1 492717494.jpg (157.3 KB), Download : 60
출처 나무위키
Subject [LOL] 국적으로 정리된 롤드컵 우승자 (수정됨)



한국 33명
중국 7명
대만 4명
독일 2명
홍콩 1명
벨기에 1명
핀란드 1명
스페인 1명
폴란드 1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1/06/30 13:28
수정 아이콘
에이 주작이죠? 설마 메이저리그인데 우승자를 한 명도 못 낸 나라가 있을 리 없잖아요?
Lord Be Goja
21/06/30 13:39
수정 아이콘
승소수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발언이네요
어린녹차잎
21/06/30 13:30
수정 아이콘
Shushei 저 선수는 폴란드 출신인가요?
묻고 더블로 가!
21/06/30 13:32
수정 아이콘
폴란드인 한명 빼먹었네요
마갈량
21/06/30 13:33
수정 아이콘
국제겜아니던 시즌1까지 뺀다면...
건전한닉네임3
21/06/30 13:33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중국 많지도 않네 크크
제라스
21/06/30 13:33
수정 아이콘
탑미드는 시즌3부터 한국인이 바뀐적이없네요 덜덜
21/06/30 13:40
수정 아이콘
그래서 중국이 우승할 때도 한국인 솔라이너없이는 우승 못한다라고 도인비가 얘기했던걸로 압니다.
아웅이
21/06/30 14:31
수정 아이콘
그건 원더 발언일겁니다.
김첼시
21/06/30 13:34
수정 아이콘
한국이 다 해먹어서 노잼 될까봐 제발 해외팀들 잘했으면 하고 응원하던 시절이 있었지...
티모대위
21/06/30 13:42
수정 아이콘
그러고서는 깨달은
이기는게 최고다....
초보저그
21/06/30 13:47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이기는 게임이 재미있는 게임.
21/06/30 16:01
수정 아이콘
그냥 이기는거도 아니고 한국팀이 찍눌러 버리는게 제일 재밌다는걸 작년 롤드컵 보고 느꼈습니다.
티모대위
21/06/30 16:43
수정 아이콘
짜릿해
늘 새로워
압승이 최고야
이른취침
21/06/30 13:48
수정 아이콘
??? : 딱 올해까지만 해먹게 해주세요...

(효과는 굉장했다!)
미카엘
21/06/30 13:54
수정 아이콘
배가 불렀던 시절이었죠.. 노잼이든 뭐든 우승컵 싹쓸이가 체고시다!
Respublica
21/06/30 13:39
수정 아이콘
아니 크크 한국인이 안낀 시즌은 라이엇 코리아가 본격적으로 사업시작하기 전밖에 없네요.
제로콜라
21/06/30 13:45
수정 아이콘
큐베 볼드체 무엇?
스덕선생
21/06/30 13:54
수정 아이콘
그건 글쓴이가 나무위키 큐베 문서에서 발췌했기 때문입니다 (끄덕)
저그우승!!
21/06/30 13:45
수정 아이콘
퍼..펄럭!
맛초킹vs뿌링클
21/06/30 13:5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놓고 보니 대한민국이 거의 프로게이머 수출국이네요
축구계의 브라질같은 흐흐흐흐흐흐흐흐흐
하얀마녀
21/06/30 13:56
수정 아이콘
시즌1, 2에 M5가 한 번은 먹었어야 했다고 보는데 안타깝습니다..... 저는 아직도 그 때가 가장 재미있었던 것 같아요..... 한국팀들 경기 보다가 M5 경기를 보면서 우와 이 게임이 이런식으로 할 수 있는거였어?? 하면서 감탄하던.....
파란무테
21/06/30 14:06
수정 아이콘
TPA : 양지에서 네가 핫했을지 몰라도, 결국의 우승팀은 나야!
대패삼겹두루치기
21/06/30 14:13
수정 아이콘
모스코우 5! 모스코우 5!
프로겐 애니비아랑 알렉스 이치 그라가스 가지고 누가 최고다 말 많았는데 크크

개인적으로 강적들을 꺾어나가는 소년만화 느낌 때문에 12년 롤 태동기가 제일 재밌었습니다.
마지막 엔딩이 '맨날 지고 도망가던 로켓단 같은 팀이 사실은 힘 숨기던 최종흑막이었다'로 끝나서 황당하긴 했지만...
다빈치
21/06/30 14:17
수정 아이콘
TPA가 미국에서 스크림도르 찍었었다는 얘기는 들었었는데.. 크크
대패삼겹두루치기
21/06/30 14:20
수정 아이콘
그때 용쟁호투였나? 나겜에서 상금 걸고 여는 대회에서 연패하다보니 한국 유저들한테는 호구라고 인식될수밖에 없었죠.
핑문제가 있긴 했겠지만 그때 보여줬던 실력이랑 차이가 너무 크다보니 당황스럽더라구요. 아마 롤드컵 해설진도 당황스러워 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 정도로 충격이었습니다.
다빈치
21/06/30 14:22
수정 아이콘
배틀로얄 말씀이시군요. 녹턴발싸의 시초가 거기서 나오긴 했었죠 크크

녹턴발싸~~ 하던 팀이 알고보니 찐이었다니..
감전주의
21/06/30 14:21
수정 아이콘
우승할려면 한국인 탑,미드를 써라
21/06/30 14:28
수정 아이콘
시즌1은 애초에 한국인이 출전을 안했으니 논외로 치면,

시즌2를 제외한 모든 대회 우승팀에는 한국인이 있었다고 봐도 되겠네요.
21/06/30 14:31
수정 아이콘
이래도 상체겜이 아니야!?
21/06/30 15:07
수정 아이콘
2019~2020는 사실 서브가 없어야 맞긴 합니다.
저기서 서브 표시할꺼면 2014년도 서브가 있어야 되는데 막상 그 전세대는 또 서브 표시를 안했으니..
당근케익
21/06/30 15:39
수정 아이콘
주우모....?!
21/06/30 23:34
수정 아이콘
PC방 유스의 힘이겠죠? 한국서버에서 다른나라 프로제외 아마추어가 플레이 하는 것만 막아도 중국쪽 유망주풀 수준은 훨씬 떨어질듯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1823 [LOL] 최악의 원딜....결혼.... [34] 무딜링호흡머신13023 23/12/10 13023
487627 [LOL] 유럽에서 하고싶어한다는 국가대항전, 각각의 유럽 국대명단 정리 짤?? [20] 아롱이다롱이8559 23/09/29 8559
481850 [LOL] 한 건 추가 된 클리드 관련 폭로 [33] 리니어14456 23/06/28 14456
469760 [LOL] 2023시즌 북미 LCS에서 뛰는 선수들의 국적 비율 [9] 아롱이다롱이8146 22/12/20 8146
435764 [LOL] [텍스트] LCK 3,4시드가 4강을 가야 본전을 뽑는 사람 [22] 스테비아6973 21/10/07 6973
426291 [LOL] 국적으로 정리된 롤드컵 우승자 [33] 묻고 더블로 가!8115 21/06/30 8115
387813 [LOL] 4대리그, 유럽축구 4대리그와의 유사성 [62] 파란무테10135 20/06/02 10135
368916 [LOL] 이와중에 리헨즈 방송요약.txt [42] soulbass12774 19/11/12 12774
367489 [LOL] 해외에서 더 난리인 이번 롤드컵에서 페이커 소개 멘트 [20] 감별사16101 19/10/29 16101
350768 [LOL] 독일 리그에서 가장 롤드컵 출전이 기대되는 선수 [29] 아지르9366 19/04/21 9366
344512 [LOL] 2019년 MSI 개최지 발표 [13] Leeka8329 19/01/28 8329
339255 [LOL] lck 시청자비율 [25] 카바라스8302 18/11/16 8302
329870 [LOL] Being an underdog doesn't mean being a loser [3] 대장군6088 18/06/29 6088
315548 [LOL] 서스크 동삼성 [7] 한손검방5529 17/11/04 5529
313748 [LOL] SKT vs EDG 나라별 한타 공식 해설 [41] Leeka17867 17/10/07 17867
298957 [LOL] 여윽시 서튼리티다! [37] 코우사카 호노카8912 17/01/11 8912
257326 [LOL] [롤드컵 특집] 독한 인터뷰 - SKT 베를린 투어 스케치 [2] 삼성전자홧팅4476 15/11/17 4476
255654 [LOL] 페이커 영어 스킬 관련 레딧 반응 [11] 나이키스트11972 15/11/01 11972
249856 [LOL] 흔한 한국의 SKT 라치오.jpg [17] 버프점요9793 15/08/28 97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