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6/19 14:40:16
Name 이호철
File #1 1.png (573.5 KB), Download : 79
출처 기사
Subject [게임] 해외 진출한 로스트아크 근황 (수정됨)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22468

북미·유럽 진출한 로스트아크, '페이 투 윈' 논란 진화 안간힘

[로스트아크가 아마존 게임즈와 손잡고 북미·유럽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발표하기 전부터 서양 유저들 사이에서는 로스크아크의 P2W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국산 MMORPG들이 거의 대부분 부분 유료화를 진행하면서 과금 유무가 유저의 캐릭터의 강함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돼 왔기 때문이다.]

기존 게임들의 업보가 여기서..
는 알아보니까 로아도 p2w 게임이 맞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얼척없네진짜
21/06/19 14:41
수정 아이콘
로아는 뭐 아닌것처럼 크크크
대패삼겹두루치기
21/06/19 14:43
수정 아이콘
로아 정도면 현상황에서 진짜 유저친화적인 과금구조죠.
천장시스템도 있고 무과금도 시간 투자하면 과금유저들 따라잡을수 있는 시스템인데
얼척없네진짜
21/06/19 14:49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근데 그건 한국인 기준이구요. 그래서 p2w 아니냐구요 크크
대패삼겹두루치기
21/06/19 14:55
수정 아이콘
하긴 해외에서 인기 있다는 와우나 파이널 판타지 같은 정액제 게임 유저들이 보면 그럴수도 있긴한데...
근데 또 부분유료화 게임을 정액제 게임이랑 1대 1 비교하는 건 로아가 억울한 상황 아닌가 싶습니다.
도라지도라지
21/06/19 14:59
수정 아이콘
해외 유저들은 부분유료화를 하더라도 POE 같은 식으로 해야지 p2w은 싫어하는 경향이 강하더군요.
얼척없네진짜
21/06/19 15:05
수정 아이콘
억울하기야 하겠지만 결국 로아도 어쩔수없죠. 기사가 무슨 로아는 p2w이 아니다 라는 식이여서요
21/06/19 15:48
수정 아이콘
해외 rpg유저는 와우 유료탈것 유료의상도 p2w이라고 부르면서 깝니다. 해외 기준으로 이쪽 rpg는 다 p2w입니다.
21/06/19 14:41
수정 아이콘
아니 로아가 업보청산할게 없긴한데...
이호철
21/06/19 14:42
수정 아이콘
아 로아도 P2W인가요.
해보질 않았는데, 다른 사이트 리플에선 혜자겜이라고 해서 아닌줄
21/06/19 14:43
수정 아이콘
상대적으로 p2w이 엄청 심각하진 않습니다.
뭐 억단위 꼬라박고 그런건 아니니까요.
깨닫다
21/06/19 14:44
수정 아이콘
(한국겜치곤)
40년모솔탈출
21/06/19 16:15
수정 아이콘
리니지, 메이플, 마비노기 하던 사람들 입장에서는 혜자겜이죠 크크크
21/06/19 14:44
수정 아이콘
로아도 페이투윈이 혜자 이미지에 비해 꽤 있습니다. 던파랑 같이 하던 친구가 던파보다 더 쓰고 있던데 초창기의 혜자게임과는 꽤 달라졌어요
21/06/19 14:45
수정 아이콘
강화단계 많이 올라가니까 좀 박긴하더군요
21/06/19 14:47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도 혜자시절에 눈꽃사슴타고 모코코만 캐다가 끝내긴 했습니다 크크 좋은 추억만 남기고 가야..
21/06/19 14:49
수정 아이콘
최근에 그 뭐 나오고 나서 저도 새로 갈긴했는데 시간이 안나서 2시간만하고 털은..
재입대
21/06/19 17:23
수정 아이콘
던파는 p2w이라기보단 l2w이 더 맞을것 같습니다 그냥 빠찡코겜이죠 던붕이들도 강해지는 방식에 과금이 많이들어가면 반감이 엄청 심합니다 그래서 산물 빼곤 죄다 운빨로 몰아넣었고 여기서도 반발이 생기는데 운없는 다수는 접고 기린은 남아서 하는거죠 이런 혜자게임 왜 안하지 이러면서요
아케이드
21/06/19 14:46
수정 아이콘
해외 진출하면 와우랑 경쟁해야 하는데, P2W 논란에서 자유롭기 어렵죠
마스터충달
21/06/19 14:48
수정 아이콘
로아가 P2W인가? P2W 마따
로아가 혜자인가? 혜자 마따
폰지사기
21/06/19 14:48
수정 아이콘
페이 투 윈은 맞는데 결국 같은 단계에서 먼치킨처럼 강해지는게 아니라 다음 컨텐츠 진입까지 시간을 줄여주는 느낌이라 좀 다르지 않나 싶음
하는 사람들 이야기 들어보면 느긋하게 하면 얼마 안써도 되는 겜인데 자기도 모르게 지르고 있다고 하긴 하던데
거울방패
21/06/19 14:50
수정 아이콘
한국인 기준으로는 혜자게임일 수도 있지만...

P2W이 맞아서 아니라고 할 수 없죠.
아보카도피자
21/06/19 14:52
수정 아이콘
로아는 전형적인 무과금은 쾌적한데 과금러 으악소리나는 겜이죠. 쓸 사람만 써라 하지만 비쌀거다.
저는 초창기에 돈 안쓰고 레이드 재밌게 하다가 끝냈는데, 요즘 들어간 친구들은 용광로 노래 부르면서 돈 깨지더라구요.
조말론
21/06/19 14:56
수정 아이콘
과금안해본 사람들 기준에서 과금하려면 소리나는 수준이지않나..
톰슨가젤연탄구이
21/06/19 14:52
수정 아이콘
느긋하게 숙제만 하면 돈 쓸일 없어서 좋더군요
강화 천장도 있어서 밑도 끝도없이 꼴아박지 않아도 되고요
다만 어빌리티 스톤 깎는건 정말 운빨이라 재수없으면 몇만 골드 박아야 한다는게...
21/06/19 14:53
수정 아이콘
와우의 수익모델에 길들여진 서양친구들이 좀 순진하게 P2W 조금만 있어도 엄청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어요. 어찌 보면 회사 입장은 생각 안하고 좀 이기적일 정도로 그런 면도 있긴 해요. 물론 지금까지 수입된 동양쪽 MMO가 미친 과금유도를 해온 업보도 있긴 하지만요.

로아가 착한 P2W로 P2W가 꼭 나쁜 것이 아니다라는 걸 증명해줬으면 좋겠네요. 저도 일단 출시되면 조금이나마 해볼 계획이 있는 게임이라...
이민들레
21/06/19 15:18
수정 아이콘
착한 페이투윈 게임은 없습니다....
21/06/19 15:29
수정 아이콘
착함의 의미가 개발사가 무조건 다 퍼주는 그런 착함이라고 순진하게 생각한 것으로 보셨으면 당연히 그런 건 없겠죠. 그게 아니라 제가 생각한 의미는 이용자들도 어느 정도 합리적이라고 느끼면서 개발사도 적절한 수익을 가져가는 스위트스팟에 가까운 운영을 염두에 둔 이야기입니다. 쉽지는 않지만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 아니죠.
이민들레
21/06/19 15: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퍼주는거 아니구요. A와 B가 서로 붙어서 서로 승률이 50대 50일때 어느날 A가 돈을 쓰면 55 대 45가 되는 상황을 두고 말한겁니다. 페이투윈 아닌 게임이 널렸는데 퍼주길 뭘 퍼줘요. 댓글보면 대표적으로 poe가 있네요. 페이투윈을 싸게 해준다고 착한게 아니에요.
21/06/19 15:34
수정 아이콘
페이투윈 자체가 선할수 없다고 보시는군요. 안타깝지만 지금 현재도 순항하고 있는 많은 부분 유료화게임들이 그걸 반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운영에 따라 실제로 소비자도 손해를 보지만은 않는 수익구조구요.
이민들레
21/06/19 15:36
수정 아이콘
순항한다는게 선하다는 뜻은 아니죠. 스포츠협회에서 돈받고 스테로이드를 파는격이죠.
21/06/19 15:41
수정 아이콘
그렇지 않습니다. 경제학을 기본이라도 배우셨으면 아시겠지만, 게임사는 각 유저가 게임에 투자하고싶은 가격에 따라 차등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고, 소비자들은 각자 투자한 자금만큼 차등적인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죠. 좀 생각을 잘못하시는 것 같은데, 무조건 실력으로 1등할 수 있어야 좋은 게임인건 아닙니다. 소비자가 적절한 재화를 지불하고 충분한 즐거움을 이끌어내기 쉬운 모델이 부분유료화 모델입니다. 물론 회사가 매몰비용을 인질로 잡고 유저를 협박할 수 있기 때문에 나름의 리스크가 있는 모델이지만요. 그래서 운영이 잘 된다는 전제를 붙인거구요.
이민들레
21/06/19 15:44
수정 아이콘
경제학적으로 운영이 잘된다는게 착하다는거랑은 거리가 멀다구요.사람들이 기존 경제학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다는것도 요새 행동경제학에서 뻔히 나오는데. 리니지가 경제학적으로 성공한 게임이니깐 착한 게임인가요?? 아마존이 성공한 기업이니깐 착한 기업인가요?? 쿠팡이 엄청난 매출을 올리니깐 착한기업인가요???
21/06/19 15:47
수정 아이콘
착하다는 의미가 게임사와 유저가 상호 win-win을 할 수 있느냐는 의미이면 가능한 이야기죠. 그게 이론적으로 어떻게 가능한지는 위에 말씀드린 바와 같구요.

리니지 아마존 쿠팡 이야기는 좀 핀트가 엇나간 것 같네요. 아마존 쿠팡은 게임이 아닌데 그렇게 쉽게 비교하시면 안되구요, 비교하고 싶으시다면 어떤 면에서 아마존 쿠팡의 운영이 부분유료화 게임과 비슷한지 조금 더 이야기를 풀어서 해주셔야 되겠네요. 리니지는 제가 위에서 말한 회사가 매몰비용을 인질로 잡고 유저를 협박하는 게임의 대명사이기 때문에 착한 것과는 거리가 멀구요.
이민들레
21/06/19 15:52
수정 아이콘
esotere 님//돈을 많이 쓸수록 이기는 게임이 착하지 않다 라는걸 더 어떻게 설명해야될지 모르겠어요. 페이투윈을 인질로 과금을 유도하는게 착하다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가요.
21/06/19 15:52
수정 아이콘
이민들레 님// 괜찮습니다. 서로 갈길 가지요.
이민들레
21/06/19 16:02
수정 아이콘
esotere 님// 네 선악의 기준이 서로 다를 수 있죠.
21/06/19 15:54
수정 아이콘
a가 시간을 더 써서 승리하는건
착한 게임 입니까?

누구는 1000번 돌아도 안나오게 해놓고
누구는 한번만 돌아도 얻게 해놓은건
착한 게임 입니까?
이민들레
21/06/19 16:03
수정 아이콘
제 의견은 그렇습니다. 그 누구 누구에게 애시당초 공평한 확률이니깐. 1000번이든 1번이든 돌기전엔 같은 확률이니깐.
21/06/19 18:21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한번에 3천원, 하루 한번은 무로인 가챠가 있다면
그건 착한 가챠겠군요?
누구에게나 같은 확률이니까.
이민들레
21/06/19 20:00
수정 아이콘
가차의 결과물이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다르죠. 전혀 핀트를 못잡으시네요.
21/06/19 2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모두에게 같은 확률이라는 점에서 동일하죠.

아무튼,
돈을 많이 쓰는 사람이 앞서는건 불합리하지만
시간을 많이 쓰는 사람이 앞서는건 정당하다는 주장이신거죠.
운이 좋은 사람이 앞서는 것도 정당한거구요.
재능러가 앞서는 것도 정당하겠죠?

유저가 가진 수많은 자원 중에 시간, 운, 재능만 정당한가요?
애초에 돈 쓰는걸 나쁜 행위로 정의하는 이유가 뭡니까?
이민들레
21/06/20 0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탐랑 님//시간 운 재능을 정해진 룰안에서 겨루는게 게임이라고 생각해서요. 돈으로 겨룰거면 뭐하러 게임을 합니까 그냥 경매하듯이 더 많이 입찰한 사람이 이기는걸로 끝. 뭐 이거가지고 나쁘다는걸 설명하기도 귀찮고 설득하고 싶지도 않네요. 스포츠에 시간과 재능, 자기몸 갈아넣은 결과물이나 약물 도핑으로 만든 결과물이랑 뭐가 다르냐고 하면 뭐 할말이 없어요. 개인적으로 시간 갈아넣는 게임도 별로 안좋아합니다. 정해진 시간안에 겨루는걸 좋아해서요.
다크 나이트
21/06/19 15:22
수정 아이콘
착한 p2w 는 없죠.
RapidSilver
21/06/19 15:39
수정 아이콘
싱글플레이어 게임 좋아하는 입장이지만
인생 자체가 P2W인데 게임이 P2W라고 솔직히 뭐가 '나쁜'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적절히 선지키면 뭐가 문제인가 싶습니다
미러스엣지
21/06/19 20:25
수정 아이콘
인생과 게임을 비교할 건 아니죠.
피노시
21/06/19 14:53
수정 아이콘
외국은 P2W게임이 없나보네요
Lord Be Goja
21/06/19 15:02
수정 아이콘
피파라고 ...
어서오고
21/06/19 22:52
수정 아이콘
당연히 있죠. 근데 mmo는 외국쪽도 완전 고인물 시간갈아서 하는 사람들만 남은지라 p2w에 좀 민감합니다.
21/06/19 14:54
수정 아이콘
지금 그거보다 한창 엔피씨들 블랙워싱 중인게 더 문제같은데 말이죠 크크
지금 사진에도 격투가가 흑인이 되버림
이호철
21/06/19 14:55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
조말론
21/06/19 14:57
수정 아이콘
페데리코 그 짤이 리얼인가요? 그냥 커마 수준에서 인종 다양해진거야 좋은거같은데
조말론
21/06/19 14:55
수정 아이콘
로아가 페이투윈이 아닌건 아니지만 신캐 나오고 모든 재료가 비쌀 때 싹다 구매로만 한다해도 당일 기준 사천정도면 만렙세팅이 되는데 코리아게임의 그 수준은 아니지않나 싶네요 리니지시리즈는 말할것도 없고 메이플도 한부위에 이천수준으로 아는데..
21/06/19 15:09
수정 아이콘
4천만원이요?
Tyler Durden
21/06/19 15:00
수정 아이콘
과연 해외유저가 p2w에 적응할지
아니면 로아가 꺾일련지...
샤르미에티미
21/06/19 15:01
수정 아이콘
로아가 혜자 게임이 된 한국의 현실이 웃픈거고 서양에서는 로아 정도면 심한 과금 유도 게임, 페이투윈 게임에 속하죠. 로아도 본격적으로 현금으로 상자 열기 게임 나오기 전에 나왔으면 현질 게임이라는 소리 많이 들었을 건데, 그 정돈 우스워졌으니까 -정직-한 게임 된 것뿐이죠. 쉽게 생각해서 와우 기준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와우도 현금으로 파는 서비스들 많지만 시간 갈아넣는 것만이 최상위 그룹에 끼는 유일한 방법이죠. 뭐 1억 갖다주면 최상위 그룹에 들어갈 만한 캐릭 세팅해서 못 갖다주냐면 그건 아니지만 앉은 자리에서 상자만 까서 스펙 올리기 같은 건 불가능하죠. 대체적으로 서양 취향 MMORPG들은 이 공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요.
한방에발할라
21/06/19 15:06
수정 아이콘
로아도 상자만 까서는 절대 엔드 스펙 못맞춥니다. 돈 아무리 많아도 최종 세팅은 본인이 패턴 숙달해서 시간 박아야 종결 아이템 맞출 수 있어요. 그걸 강화하는 게 이제 시간을 들여서 공짜 골드로 올라가냐 아니면 현질해서 더 빨리 올라가냐 차이지
이부키
21/06/19 18:14
수정 아이콘
아무리 그래도 와우랑은 비교가 안되는게 현실이라 어쩔 수 없죠.
양파폭탄
21/06/19 15:02
수정 아이콘
억소리 나는게 천만소리나서 혜자 소리 듣는거지 패키지 위주 유저 입장에선 욕나오는 p2w 맞죠
리니지에 절여져서 거기에 순응해선 안됩니다
그래도 딱히 와우랑 비교해보면 무과금 입장에선 큰 차이도 없는거 같더군요
타란티노
21/06/19 15:03
수정 아이콘
아무리 로아가 다른 국산 게임들에 비해서 혜자라고는 해도
그 다른 게임들의 과금 모델이 기형적인 상태라고 생각해서
로아가 과연 해외 시장에서 별 거리낌 없이 잘 먹혀들까 궁금하긴 합니다.
하루빨리
21/06/19 15:03
수정 아이콘
지금 로아온 시작했네요.
https://youtu.be/_sI_87RQXS8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실시간 자막도 준비했네요. 이거 좋네요.
과모립
21/06/19 15:05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나 혜자지
그냥 현질겜이죠
다른것보다 나쁘지 않은거지 좋은게 아니니까요.
21/06/19 15:06
수정 아이콘
해외는 월정액으로 가려나?
ioi(아이오아이)
21/06/19 15:07
수정 아이콘
극 창렬한 원신도 잘 팔리는 판국에

게임만 잘 만들면 p2w 도 노상관이죠.
21/06/19 15:17
수정 아이콘
그래서 피파 할꺼야?
21/06/19 15:18
수정 아이콘
원신으로 그런소린 깨진지 오래인데 아직도 무슨 서양게임시장은 혜자게임 천국인줄 착각하나요...
원신 전에 콜옵만 해도 랜덤박스로 사기무기 팔아먹었는데
다크 나이트
21/06/19 15:23
수정 아이콘
그냥 유저층이 다르다고 생각하는게 편할겁니다. 그거 말하는 사람하고 여기 말하는사람하고요.
RapidSilver
21/06/19 15:41
수정 아이콘
사행성 BM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따지면 한국 게임시장이 옆나라들이랑 비교해도 훨씬 높을것같긴 합니다.
한방에발할라
21/06/19 15:2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제가 베른 남부 업데이트부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15만원 정도 박고 지금 1500렙이거든요. 이 정도만 해도 현 최종컨텐츠 쿠크세이튼 쥐어패는데 진짜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텝 만렙 맞추고 내 딜뽕에 취할 거 아니면 이게 p2w인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배럭만 열심히 돌리고 길드 들어가서 품앗이만 잘해줘도 골드도 굳이 현질할 필요성을 못느낄 정도로 벌립니다.
이부키
21/06/19 18:15
수정 아이콘
기준이 와우다보니 쩝...
21/06/19 15:42
수정 아이콘
글로벌 블랙데저트 모르시는들?
RapidSilver
21/06/19 15:44
수정 아이콘
이게 로아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해외 게이머들에게 박힌 국산 MMO의 이미지가 큰 부분을 차지하기도 할거에요
21/06/19 15:48
수정 아이콘
해외도
작업장 골드 사서 사장님 하는 유저
배틀패스만 있어도 현질겜이라고 하는 유저
월정액도 없애야 한다는 유저
다양합니다

부분유료화인데 스킨만 팔면 돈 벌기 힘들다는거도
동의 안하는 사람도 많구요
21/06/19 16:17
수정 아이콘
피파도 카드팔아먹지않나요?
아따따뚜르겐
21/06/19 16:22
수정 아이콘
mmorpg랑 유저층이 다른거죠.
와신상담
21/06/19 16:23
수정 아이콘
어... 이제는 좀 답답하긴 합니다. P2w 게임 시장에 나온 초창기도 아니고 소비자들도 적응 어느정도 끝난 시기 아닌가요. 언제적 p2w은 악이다 이건 게임이 아니다 옛날 이야기를 동어반복합니까. 개인이 동의하든 안하든 시대의 흐름이고 막기엔 늦었어요. 이걸 가지고 논쟁할 시간에 없는 게임 찾아서 즐기는게 나아보이는데. 순수실력도르로 자위하기에 좋은 게임 많아요
재입대
21/06/19 17:35
수정 아이콘
Rpg가 스포츠도 아니고 정액제는 사람들이 외면하는데 남은건 p2w아니면 그냥 도박장 여는거죠
잠이온다
21/06/19 16:32
수정 아이콘
p2w이 좋냐 나쁘냐는 둘째치고 어느정도 과금요소는 있되 넓게 걷어들이는 것이 낫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니면 시간을 돈으로 사되 어느정도 해볼만한 식으로 타협을 하던가. 요새는 그런 게임들이 많아져서 좋더라고요.

소수에게 짜내는게 과금도박 게임인데 이게 극심해질 수록 플레이 경험까지 차이가 나버림....
21/06/19 16:47
수정 아이콘
한국이니까 선녀였던것
재입대
21/06/19 17:33
수정 아이콘
이런류의 게임에선 차라리 p2w이 덜 악질입니다 던파좀 하면서 느낀건데 과금으로 스펙이 오르면 악덕이랍시고 매도당하니까 죄다 운빨로 몰아넣어서 득템의 재미니 뭐니 하는 개같은 짓거리로 빠찡코 만들어놓고 그냥 도박장을 만들어놓는거보다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p2w은 걍 대충 뵈서 얼마나 과금해야하는지 견적 보고 미리 발 빼면 되는데 던파같은 도박겜은 일단 도박장 가서 긁어봐야되요 어짜피 이런류의 게임이 롤 옵치마냥 스포츠 도 아니고 돈을 박던가 시간을 박던가 도박장 열어줘야되는데 시간만 있으면 됩니다 하면 노잼숙제겜이라고 까고 p2w은 말할 필요도 없고 결국 도박장여는 수순으로 가더군요 근데 또 도박이 괜히 도박이 아니라서 잘 먹힙니다 결론은 스팀
21/06/19 18:37
수정 아이콘
1:1 PVP 게임인 하스스톤도 P2W 아니에요? 서양은 P2W 따윈 없는 청정지역인거처럼 말하는건 좀 이상한데요.
문제는 과금방식의 디테일에 있는거지 P2W에 있는게 아니죠. 옛날에 DLC만 나오면 기겁을 하던 시절을 보는듯..
난 P2W 1도있는거 싫다! 라고 하면 뭐 안 하는건 자유지만(저도 그 자유 누리고 있습니다)
겜이 쓰레기가 되는건 디테일을 봐야 되는거지 P2W라는 카테고리 자체가 쓰레기인게 아니죠.

장르얘기를 많이 하는데 언제부터 MMORPG는 P2W하면 안되고 스포츠겜 카드겜은 해도 괜찮은게 됐어요?
오히려 pvp요소가 많은 후자에 비해서 PVE 레이드컨텐츠 위주인 전자가 덜 불합리한거 아닌가?
암드맨
21/06/19 18:43
수정 아이콘
전 해외 겜만 해와서 (와우 엘온 poe) 로아 설명보고 미친 불지옥에 사람이 산다고??? 하는 느낌이었는데..
이 불지옥이 한국에선 천국이라는걸 알고 기절해버렷습니다.
21/06/19 22:50
수정 아이콘
해외 와우에는 골드사서 골팟하는 사람이 없나요?
로아는 그걸 그냥 인게임에서 지원해주는거랑 같은데요
암드맨
21/06/19 22:55
수정 아이콘
본섭은 골팟이 거의 없어졌어요.
개인룻만 되거든요.
Lazymind
21/06/19 19:32
수정 아이콘
한국의 도박수준의 과금게임들에비해 혜자라는거지
패키지구매+정액제가 표준형처럼 자리잡아버린 서구권에는 그냥 p2w으로 보일수밖에 없죠.
그게 나쁘다 틀리다 따질 문제가 아닌듯.
유저층이 겹칠거같지는 않지만 원신이 서구권에서 모바일게임 BM가져다 쓰면서도 터진거보면 게임이 먹히면 될겁니다.
서양 MMORPG유저들이 로아를 얼마나 재밌게 받아들일지가 미지수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6039 [게임] 파이널 판타지 7 리버스 패키지도 리버스 [23] 롤격발매기원6134 24/02/29 6134
489855 [게임] 네오위즈 실적발표 자료의 센터를 차지한 'P의 거짓' [15] 쿨럭8693 23/11/09 8693
488945 [게임] P의 거짓 근황.movie [23] 이호철10188 23/10/26 10188
486916 [게임] 스파6 토키도 어록 모음 [7] STEAM11549 23/09/17 11549
485905 [게임] 액티비전-블리자드 수익구조 [20] Lord Be Goja9877 23/08/30 9877
479300 [게임] 닌텐도 스위치 지역별 판매량 [25] Heretic11665 23/05/12 11665
477831 [게임] 짭짭짭숨 신규 공식영상 [9] 묻고 더블로 가!7689 23/04/15 7689
477720 [게임] 젤다의 전설 : 왕국의 눈물 최종 트레일러 [65] 대왕세종11673 23/04/13 11673
476916 [게임] 글로벌 콘솔판매량 근황 [41] 아케이드9325 23/04/01 9325
474688 [게임] 발로란트 강국 북미 근황 [14] 만찐두빵10217 23/02/28 10217
468270 [게임] 스크림이 잘되어서 신난듯한 발로란트 T1 선수 [7] Valorant7201 22/11/30 7201
464968 [게임] 롤드컵과 비슷한 폭의 시청자 감소를 겪는 도타 TI [24] 만찐두빵13447 22/10/18 13447
464447 [게임] 버그 폭주하는 오버워치 2, 바스티온과 토르비욘도 잠겼다 [41] NSpire CX II9802 22/10/11 9802
453234 [게임] 베데스타 직원(이었던 사람)이 밝힌 차기작 스타필드 개발 상황 [22] EpicSide7114 22/04/28 7114
447970 [게임] 로스트아크에서 나 혼자만 레벨 업! [15] 착한글만쓰기9668 22/02/10 9668
447872 [게임] 로스트아크 북미/유럽 오픈...? [14] League of Legend7552 22/02/09 7552
447828 [게임] 로스트아크 스팀 판매량 [61] 우그펠리온12167 22/02/08 12167
447824 [게임] 북미 유저들에게 의외의 감동을 준 금강선 [19] EpicSide13386 22/02/08 13386
439656 [게임] 개판 번역으로 욕먹는 SRW30 글로벌판 [9] 이호철8480 21/11/13 8480
437789 [게임] 헤일로 안녕 from xbox360 [1] 타카이5892 21/10/26 5892
425322 [게임] 해외 진출한 로스트아크 근황 [84] 이호철13605 21/06/19 13605
418338 [게임] 플스 게임이 엑박에서 공짜 [22] 모쿠카카10193 21/04/03 10193
407311 [게임] T1 발로란트 코리아 해체 [1] 이호철8622 20/12/16 86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