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6/06 02:30:21
Name Neo
File #1 9E511BD5_3FF3_47B9_96B8_AE6C91382A4B.jpeg (395.1 KB), Download : 64
출처 구글, 유튜브
Subject [기타] 기업인이 말조심 해야 하는 사례 (수정됨)




언더 아머 창업자이자 ceo인 케빈 플랭크는  2017년초 트럼프 대통령을 “미국의 진정한 자산(asset)”이라고 공개 지지했다가 역풍 맞음.(트럼프가 반이민정책 밀어붙이는 시기. 누가 옳다 그르다가 중요한게 아니라 정치적으로 갈라져 있는 상황에서 한쪽 편만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실수를 저지른 것. )

브랜드 간판 선수인 스테판 커리가 트럼프는 asset이 아니라 ass라고 표현할 정도로 반발. 커리외에 드웨인 존슨, 발레리나 미스티 코플랜드 등 다른 언더아머 소속 스타들도 플랭크 CEO의 발언을 공개 비난.

주가하락.(저 발언 후 주가 23프로 폭락)

애널리스트들은 저 발언이 언더아머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쿨(cool)한 도시형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하면서 매수의견에서 중립으로 포지션을 바꾸고 예상 주가도 하향시킴.

뒤늦게 언더아머는 평등을 지지하며 반이민정책에 반대한다고 진화할려고 노력했지만 실패.

2019년에 결국 ceo 사임.

경쟁업체(nike)는 그와 그 시기에 정반대방향으로 광고시작.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반이민 정책을 밀어붙일때 나이키는 평등이라는 슬로건으로 광고를 해나감. 그러나 대놓고 트럼프를 반대하지도 않음. 그냥 대중들이 무난하게 받아들일 소재를 골라서 광고함.



소속 선수 르브론 제임스의 트위터

p.s.



시카고 침대 매트리스 회사에서 911테러 패러디 광고 찍었다가 욕만 실컷 얻어먹음. (쌍둥이 빌딩 무너지는 모습을 패러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자몽
21/06/06 02: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언더아머는 이전부터 기능 및 선수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일반인들을 포용하지 않았고

디자인도 아재 디자인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기능만 강조하면서 서서히 밀리고 있다가

대표의 저 발언 한방에 그동안의 업보가 한번에 터져서 이젠 나이키에게 완전히 밀려버렸죠

아래 정용진 부회장 sns도 언더아머 케빈 플랭크 대표
행동과 별로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기업은 이익추구가 목표고 다양한 고객을 확보해야하는데 둘 다 특정 고객만 바라보고 나머지 고객을 모집할려고 하지 않으니까요
21/06/06 02:46
수정 아이콘
별로 공감 안되네요. 언더아머 정책이 회사를 말아먹은거지 저 발언이 저 회사를 망하게 한게 아니죠.
리자몽
21/06/06 03:12
수정 아이콘
이전에 스택을 쌓아놨다가 말 한마디로 터질수 있다는 예시는 충분히 되는거 같습니다
21/06/06 03:14
수정 아이콘
적어도 불을 붙인건 맞습니다.
언더아머가 마케팅을 잘못한 사례는 있었을지 몰라도
적어도 본인 회사 간판모델들이 대놓고 CEO의 발언에 반기를 들만한 정책은 없었어요.
특히 스테픈 커리는 언더아머의 몇 안되는 스포츠 마케팅 성공사례 였습니다.
그가 그렇게 커질줄 모르고 나이키가 홀대한 선수를 잡았는데 대박이 났죠.
그랬던 간판 모델이 대놓고 디스를 할일이 CEO의 저 발언 말고 뭐가 더 있었을까요?
이시하라사토미
21/06/06 04:50
수정 아이콘
르브론이 이퀄리티라고 적으니까 웃기지도 않네요.. 크크

홍콩때 어떻게했더라??
라쿤맨
21/06/06 05:50
수정 아이콘
언더아머는 룰루레몬 테크를 탔어야 했는데 나이키 테크를 타서 망해가다가 저거 한방에 골로 갔죠. 주주들 안 그래도 불만이 쌓여가는데 저 발언으로 다 떠남
맥크리발냄새크리
21/06/06 06:00
수정 아이콘
나이키가 저때부터 이상해졌군요
아마도악마가
21/06/06 10:29
수정 아이콘
릅신 크크크크크크크
이라세오날
21/06/06 11:01
수정 아이콘
이야기할 자유도 있고 그에 떠른 책임도 있는데 짊어진 책임이 많았나 보네요
단비아빠
21/06/06 11:24
수정 아이콘
뭐 언더아머 브랜드의 원래 이미지에는 더 잘 맞는 느낌입니다.
3대 500 치는 미국 마초 아저씨들이 민주당 지지자일 것 같지 않은 느낌적인 느낌이네요.
헛스윙어
21/06/06 11:59
수정 아이콘
케바켄게 룰루레몬은 오히려 더 커져서..
21/06/06 12:13
수정 아이콘
트럼프 까던 기업이나, 연예인들은 아직도 잘 나가죠. 정용진도 당연히 문제가 없을듯.
내맘대로만듦
21/06/06 12:58
수정 아이콘
뭐 굳이 이런 사례가 아니더라도 정치적발언해서 좋을것없긴하죠
Arabidopsis
21/06/06 14:25
수정 아이콘
뭐 근데 신세계나 이마트정도면 갈 사람이 안 가고 안 갈 사람이 갈 것 같진 않습니다. 우리나라 백화점/대형마트 브랜드 중에서 경쟁력이 있는 편이라… 지켜봐야겠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3505 [게임] 언더테일 후속작 근황 [5] 길갈7232 21/09/16 7232
433139 [유머] [운전] 오버스티어와 언더스티어 쉽게 이해하기 [8] Croove9757 21/09/13 9757
432819 [유머] 그런 고민을 할 줄이야 [6] 2021반드시합격7410 21/09/10 7410
431511 [유머] 다음 중 최고의 인간흉기는? [53] 어바웃타임10521 21/08/28 10521
430306 [기타] z폴드3에 최초 적용됬다는 UDC [17] 달달합니다9775 21/08/16 9775
428186 [LOL] 현재 논란중인 티원 응원안하는 티원스트리머 [111] 어바웃타임16415 21/07/20 16415
424886 [기타] 후방)가슴 모양이 인위적이라는 이유로 욕을 먹던 모델의 억울함 [44] 묻고 더블로 가!16731 21/06/14 16731
424165 [기타] 기업인이 말조심 해야 하는 사례 [14] Neo12882 21/06/06 12882
422989 [LOL] 3경기 후 애슐리강님 트위터 [2] 어름사니8434 21/05/23 8434
415507 [기타] (PC용)오타마톤 피아노 . youtube [1] 추천10188 21/03/06 10188
412138 [기타] 갤럭시 노트10, 노트10 플러스 원 UI 3.0 업데이트 배포 [25] 우주전쟁7865 21/02/01 7865
410724 [게임] 소스 엔진 2: RTX 지원? [3] TWICE쯔위6195 21/01/18 6195
409833 [유머] ebay에서 핫한 두 경매품 [38] KOS-MOS11713 21/01/10 11713
408888 [기타] T1 지수소녀, Bebe872 스트리머 계약 [16] 민초단장김채원12873 21/01/01 12873
401702 [LOL] 2020롤드컵 현재까지 요약 [14] TAEYEON11121 20/10/24 11121
397456 [게임] [어둠땅/핵심 스토리?] 나스레짐-드레드로드의 기만과 진실? [13] 이호철10505 20/09/13 10505
397081 [LOL] LPL 해설자 신분으로 대놓고 젠지를 응원하는 사람 근황.JPG [5] 신불해11911 20/09/09 11911
396145 [기타] 쉬운 USB 부팅 디스크 제작 프로그램 [13] Pika4812451 20/08/31 12451
395711 [LOL] ??? : 관계자분들이 아무도 우리가 이길거라고 안하시더라. [55] 스위치 메이커13294 20/08/26 13294
390539 [LOL] 1년 전 그 남자의 바이 [14] 기사왕9217 20/06/30 9217
389146 [게임] 시공간을 넘어 이어지는 존시나 강점기.jpg [6] 신불해8895 20/06/16 8895
388625 [연예인] 대충 액션 여배우 4선발 [59] roqur12540 20/06/10 12540
387781 [기타]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2010년대 영화 TOP 10 [11] 실제상황입니다9083 20/06/01 90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