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5/26 16:12:55
Name Lord Be Goja
File #1 녹ㅈ.jpg (2.24 MB), Download : 84
출처 기글하드웨어
Link #2 https://gigglehd.com/gg/mobile/10154551
Subject [기타] LED계열 디스플레이들의 위력..


MiniLED나 AmoLED나 기존 LCD방식 대비 압도적으로 정확한 표현..

물론 나름의 한계가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1/05/26 16:16
수정 아이콘
확실히 miniLED 로컬디밍이 한 단계 진일보한 lcd 이긴 한데, 기대치만큼은 아닌 거 같습니다.
현재로서는 양품 뽑은 amoled 가 여전히 킹이고... microLED 는 아직 멀은 것 같고...
ComeAgain
21/05/26 16:18
수정 아이콘
아몰레드 듣고 옵니다.
스웨이드
21/05/26 16:19
수정 아이콘
저도 12.9사려다가 좀 짜게식어서 그냥11샀네요
21/05/26 16:20
수정 아이콘
12.9 예구 실패했는데 블루밍 말 나오는거 보고 그냥 11인치 살까 고민중입니다.
멸천도
21/05/26 16:22
수정 아이콘
아몰레드 노래는 킹정이죠.
21/05/26 16:24
수정 아이콘
최대밝기 올라간 건 정말 칭찬할만 한데 아직은 OLED네요. 디밍존이 여기서 16~25배만 늘어도 확 좋아지려나...
한뫼소
21/05/26 16:25
수정 아이콘
아몰레몰레몰레 아아몰레엗
켈로그김
21/05/26 16:26
수정 아이콘
갤탭산 나새기 칭찬해.. 어차피 유튜브만 보고 공부도 안할거니..
네이버후드
21/05/26 16:27
수정 아이콘
어차피 LCD 자나요 저것도. 저것 커버하려면 베젤쪽에도 led가 들어가야 할거 같은데
서지훈'카리스
21/05/26 18:33
수정 아이콘
베젤에 안 들어가요
네이버후드
21/05/26 18:39
수정 아이콘
그래서 해결 못할거라는 이야기입니다. 태평양이 되거나
어서오고
21/05/26 16:29
수정 아이콘
oled는 번인도 갓이라...
Lord Be Goja
21/05/26 16:29
수정 아이콘
올때쯤 하나사야..
앗!힝!엨!훅!
21/05/26 16:39
수정 아이콘
짧고 굵게..
iPhoneXX
21/05/26 16:32
수정 아이콘
녹조와 블루밍 중에 선택은 어렵네요. 그래서 M1 고르겠습니다.
맛있는새우
21/05/26 16:34
수정 아이콘
5세대가 기대 이상은 아닌거 같은데, 가격적인 측면에서 4세대 사도 괜찮을까요
iPhoneXX
21/05/26 16:39
수정 아이콘
WWDC에서 iPadOS 15 나올텐데 그에 맞춰 M1 아이패드 프로는 맥북이랑 호환됩니다 수준 아닌이상 별 차이 없을꺼 같기는 해요. 급하신거 아니면 6월 7일 WWDC 보시고 결정하셔도 될꺼 같습니다.
맛있는새우
21/05/26 16:42
수정 아이콘
일단 다다음주 월요일까지는 두고 봐야겠군요. 지금 제 사용 용도에서는 M1이 지나치게 오버스펙인 데, 반면 또 안 사기에는 너무 아까운 계륵이라 고민이네요.
iPhoneXX
21/05/26 16:49
수정 아이콘
대부분 패드로 M1는 오버스펙일껍니다. 영상 편집 쪽에서 확실히 향상이 있을텐데, 그렇다고 파컷이 패드용으로 있는것도 아니고..사진 편집 쪽은 어도비나 대표 어플들 개선이 있기는 하겠네요. 그리고 고사양 게임들은 프레임 안정화나 고품질 모드 추가 정도?
iPadOS도 현재까지 큰 이야기 안나오는거 보면 M1 아이패드 프로로 할수 있는게 엄청 늘고 그러진 않을꺼 같아 보이긴해요.
돌아온탕아
21/05/26 16:34
수정 아이콘
miniLED는 결국 과도기적 제품이라.. 이번 아이패드 디스플레이 정도면 기대를 아득히 뛰어넘는 수준도 아니고 기대대비 형편없는 것도 아니고 딱 기대정도인 것 같네요.
FRONTIER SETTER
21/05/26 16:38
수정 아이콘
S7+ 네이비 쓰고 있는데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녹조 현상이 많이 개선되었다 하더니 실제로 별 문제가 안 느껴지더라구요. 어두운 곳에서 밝기를 상당히 어둡게 해서 봐야 아 색이 좀 다르긴 하구나 싶은 정도? 그것도 평범하게 밝기를 조금만 더 올려도 녹조현상이 사라지고...
iPhoneXX
21/05/26 16:41
수정 아이콘
사실 일반적인 케이스에서는 둘다 크게 문제되진 않을겁니다. 몇몇 상황에서 녹조랑 블루밍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정도일테고..
아이패드 프로 1,2 세대때는 저거 아니더라도 터치 씹힘 문제도 종종 있었고, 휨 문제도 있었죠. 최근 3,4세대는 큰 이슈 없이 넘어가긴 했지만요.
FRONTIER SETTER
21/05/26 17:02
수정 아이콘
맞아요 걱정해야 할 건 번인 정도인 것 같습니다. 가격이 낮은 편은 아니니까 기기 자체를 교체하기보다는 2년쯤 후에 갈든지 해야...
Lord Be Goja
21/05/26 16:48
수정 아이콘
저는 뽑기를 잘했는지 처음부터 없더군요.
https://gigglehd.com/gg/bbs/9254304
그런데 자다가 눌리는 바람에..휘어져버렸습니다
https://gigglehd.com/gg/bbs/9985800
FRONTIER SETTER
21/05/26 17:17
수정 아이콘
앗...아아... 위로의 말씀 드립니다... 저도 자기 전까지 만지다 자는 경우가 많은데 한층 조심하겠읍니다...
러프윈드
21/05/26 16:41
수정 아이콘
저 사이즈 OLED 생산가능한 업체가 삼성뿐이라 mini LED로 간거죠

아이폰 사이즈처럼 3군데 업체에서 경쟁구도가 되면 OLED로 돌아설겁니다
그놈헬스크림
21/05/26 17:32
수정 아이콘
이번 미니led에서 중요한 이슈가 블루밍인데 실 사용환경에서는 크게 느껴지는 부분이 아니라고 합니다.
블루밍이 눈에 띌 정도가 되려면 정말 어두운 환경에서 최대 밝기시에 눈에 띈다고 하는데, 실 사용환경에서 야간에 최대 밝기로 보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거라...
대신 미니 led의 최대 강점이 hdr컨텐츠를 즐기기에 좋다!! 입니다.
아무래도 oled는 소자 수명때문에 최대 밝기를 일정수준 이상 올릴수가 없는데 미니led는 걱정없이 올려버리니, 이번 아이패드 같은경우 최대 1500니트라 비교 불가죠...
뭐 마이크로led 전의 과도기이긴 합니다만... 마이크로led 상용화가 언제 될 것인가가 문제라...
인생은서른부터
21/05/26 20:18
수정 아이콘
저는 이번에 삼성 neo qled tv를 샀고, 제가 생각보다 그렇게 예민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
...았지만, 묘하게 가장자리의 빛이 약한 느낌이 있던데
구조상 어쩔 수가 없나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3421 [기타] 스타리아 파노라믹 윈도우 깨짐현상 발생... [6] 우주전쟁7631 21/05/28 7631
423420 [게임]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14분 게임플레이 공개. [40] 삭제됨7510 21/05/28 7510
423419 [게임] 구글스토어 매출 순위 근황 [28] 따라큐14236 21/05/28 14236
423418 [동물&귀욤] 큰댕댕이와 큰냥냥이는 친구야 [15] 흰긴수염돌고래8871 21/05/28 8871
423417 [기타] 아직 끝나지 않은 머니게임.jpg [54] insane13882 21/05/28 13882
423416 [기타] 습격당하는 남아공 현금수송차량 [5] BTCS전술통제기12769 21/05/28 12769
423415 [유머] 긴 기둥과 알 [8] Parh of exile10001 21/05/28 10001
423411 [기타] 스카이넷 ? [26] 퀀텀리프12837 21/05/28 12837
423410 [게임] 토탈워: 삼국 사후지원 종료 [70] 케이사14190 21/05/28 14190
423409 [유머] 일본의 신종 탁아 서비스 [5] 내년엔아마독수리11432 21/05/28 11432
423408 [서브컬쳐] 이제는 일본어까지 섭렵한 나 일론 머스크 [16] Cookinie12588 21/05/27 12588
423407 [서브컬쳐] 병맛작가 특징 [15] 추천9694 21/05/27 9694
423406 [유머] 인기 유튜버 랄로의 과거 충격적인 인종차별 논란 [8] TWICE쯔위13668 21/05/27 13668
423405 [게임] 라스트 오리진 개발비화 [16] 추천7735 21/05/27 7735
423404 [LOL] ig... 감독합류... 원딜 주전 확정... 서포터...? [11] Rain#19274 21/05/27 9274
423403 [기타] 오늘자 아사히 신문에서 최초 공개한 5.18 사진...jpg [13] TWICE쯔위17157 21/05/27 17157
423402 [유머] 이틀 전 일본 아침방송을 화려하게 장식한 희대의 절도사건.jpg [34] TWICE쯔위15202 21/05/27 15202
423401 [텍스트] 오용되는 단어.jpgtxt [13] 추천8992 21/05/27 8992
423400 [유머] 이래도 안오냐는 gs [65] valewalker17300 21/05/27 17300
423399 [유머] 한국인 실격 [12] 길갈11496 21/05/27 11496
423396 [유머] 정부기관과 금융기관은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54] AKbizs15895 21/05/27 15895
423395 [유머] 학생들을 너무 무시하는 수학교사 [30] 어바웃타임14802 21/05/27 14802
423393 [유머] 급여 소송 레전드 [32] 어바웃타임16679 21/05/27 166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