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5/10 14:11:37
Name 훌게이
File #1 1212.jpg (1.77 MB), Download : 58
출처 신한은행
Link #2 https://www.shinhan.com/hpe/index.jsp?sns_type=fb&cr=902301000000&sns_title=%25E3%2580%258E2021%2520%25EB%25B3%25B4%25ED%2586%25B5%25EC%2582%25AC%25EB%259E%258C%2520%25EA%25B8%2588%25EC%259C%25B5%25EC
Subject [기타] 요즘 결혼하는 사람들 수준 (Feat.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보고서)



매년 신한은행에서 만드는 보통사람 금융생활보고서 21년 버전 내용 중
요즘 결혼 세태를 볼 수 있는 흥미로운 통계를 봐서 가져와 봤습니다.


[20대 미혼 그룹]

그룹 평균 가구소득 : 282만원, 총자산(부채제외) : 1억 1천만원

[3040 미혼 그룹]

그룹 평균 가구소득 : 347만원, 총자산(부채제외) : 2억 2천만원

-----------------------------------------------------------------------

[2030 기혼, 자녀(초등학교 취학 전) 유 그룹]

그룹 평균 가구소득 : 619만원, 총자산(부채제외) : [6억 1천만원]


결혼과 2세 갖는 것 자체가 소득과 자산에 여유 있는 사람들만 하는 사치재스러운 것으로 점차 바뀌어 가는 느낌입니다. 
2030 자녀 있는 기혼자 평균 순자산이 6억이라는 건 개인적으로 기대 이상이네요.


보고서는 심심풀이로 보기에 재밌는 내용이니
전문 보실 분은 링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10 14:13
수정 아이콘
평균적으로 억대 가지고있구나..

20대 평균 자산 1억..?
재가입
21/05/10 14:14
수정 아이콘
전 30대 기혼 자녀 둘인데(서울 거주)
20대 미혼보다 딸리네요 크크
하루사리
21/05/10 14:16
수정 아이콘
부채제외 6억이라니 쿠억
BibGourmand
21/05/10 14:18
수정 아이콘
부채포함이 아니라 순자산?? 세상에 부자가 많군요.
21/05/10 14:18
수정 아이콘
도대체 평균을 누가 높이는거냐 ㅠㅠㅠㅠ
회색사과
21/05/10 14:18
수정 아이콘
조혼 / 다산은 부의 상징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결혼 / 출산이 부의 상징이군요..

학부 졸업하자마자 결혼해서 신혼 즐길만큼 즐기고 2세 키우는 학부 동기가 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있는 집 자제였구나 싶어요 크크 학부 때에도 운전하며 다니기도 했고..
21/05/10 14:19
수정 아이콘
자산은 부동산비중이 너무 커서 탑승했냐 못했냐로 갈리는거같아요...
21/05/10 14:1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 6억은 어딨나염?
손금불산입
21/05/10 14:19
수정 아이콘
20대 순자산이 1억이라고요? 군인이랑 대학생을 끼고도 저게 가능해요?
21/05/10 14:20
수정 아이콘
결혼이 사치재라 하니까 애써 부정하시던 분들 많더군요.
내맘대로만듦
21/05/10 14:31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돈없는데 결혼한사람들은 나중가면 웨딩푸어라고 불리겄어요... -.-;
나막신
21/05/10 15:23
수정 아이콘
나중가면이 아니라 이미..ㅜ
내맘대로만듦
21/05/10 15:24
수정 아이콘
ㅠ.ㅜ 아 벌써부터 그런말이..
그래도 [그냥 푸어]인 저보단 형편 나은것같기도 하고요 크크
다리기
21/05/10 17:28
수정 아이콘
그냥 푸어 크크크크 너무 웃픈 단어네요..
21/05/10 14:20
수정 아이콘
2030 기혼이 부채 제외 총자산 6억이요.......? 대체 왜 나랑 내 주변은 죄다 평균 미달이지....
21/05/10 14:21
수정 아이콘
만명이나 조사한 자료라는게 제일 놀랍네요.
개구리농노
21/05/10 14:23
수정 아이콘
가구니까 맞벌이 포함아닌가요?
단어의 개념을 정확히 모르겠네요.
밑에 보면 기혼자는 본인과 배우자 소득이라고 되어있는거보면 맞벌이도 포함인거같은데요?
훌게이
21/05/10 14:27
수정 아이콘
미혼은 본인 1명 소득, 기혼은 외벌이와 맞벌이 가구 둘 다 포함한 기준입니다.
21/05/10 14:24
수정 아이콘
저는 확실하게 희토류 수저입니다
21/05/10 14:24
수정 아이콘
심플하게 경기/서울에 집 산 사람은 저렇게 나오겠네요.. 그리고 집 사서 결혼한 사람만 애를 낳았을 것이고..
한국이좋아요
21/05/10 14:24
수정 아이콘
기혼자들은 집을 구매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을거고, 최근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차이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시니스터
21/05/10 14:25
수정 아이콘
집을 언제 삿냐의 차이가...
21/05/10 14:28
수정 아이콘
한국 결혼문화가 상속을 땡겨받은 시스템이라서 그런 것도 있어요.

집으로 인해서 결혼 시점에 부모 자산을 본인들 자산으로 땡겨오는 효과가 생기죠.
나막신
21/05/10 14:29
수정 아이콘
이것도 평균이니까 20대중 금수저 1명이 95억 가지고있으면 나머지 99명합이 5억 이어도 평균1억이?
손예림
21/05/10 14:30
수정 아이콘
???? 뭔가 좀 이상한거 같은데..? 미혼 20대 평균 순자산이 1억이라구요?
리자몽
21/05/10 14: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산이니까요

소수의 미혼 20대 갑부가 평균을 왕창 올린거 같습니다
티모대위
21/05/10 14:44
수정 아이콘
평균이니 그럴수 있다고봐요
참새가어흥
21/05/10 14:52
수정 아이콘
BTS도 한 명 제외 모두 20대 미혼...
미카엘
21/05/10 15:45
수정 아이콘
평균의 함정이죠.. 이런 통계는 중간값을 쓰는 게 맞다고 보는데 항상 무지성 평균을 때려 버리니 높게 나옵니다.
내맘대로만듦
21/05/10 14:30
수정 아이콘
보통사람 되기 어렵구만 쩝쩝..
맥주귀신
21/05/10 14: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동산에 대한 지식이있어서 2~3년전에 집을 산게아니라 그냥 결혼했으면 어떻게든 영끌해서 집을 사는거죠. 오르든 내리든 맘편하게.
그때만 집을 샀어도 순간적으로 자산이 수도권 저 멀리라도 최소 3억은 올랐고 서울로 오면 말할것도없이 가격이올랐으니 자산 6억 쉽지요.
진짜 역대급 정권이고 역대급 망한 시기로 기억될것입니다
그에비해 미혼자들은 아무래도 세금문제나 또는 결혼후 변동 가능성때문에 돈으로 쉽게 바꿀수있는 전세를 선택하는경향이크죠.
걍 동수저라해도 자산이 있던없던 그냥 결혼한사람들은 많이 돈벌었어요
내맘대로만듦
21/05/10 15:26
수정 아이콘
역대급이죠. 지금까지는 현재만 박살내서 좀 지나면 나아지겠지하고 꿈이라도 꿨는데 향후 20년을 통으로 박살내버렸기때문에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그 벌어진 3억만큼의 갭이 그대로 결혼율과 출산율 저하로 이어질건 뻔해서
코나키부야
21/05/10 14:32
수정 아이콘
부동산 폭등때문에
뽀롱뽀롱
21/05/10 14: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결혼을 하면서 어쩔수 없이 보유해야만 하는 살 집이 재산화 되어버리더군요 청약도 당첨가능성이 늘어나구요

재산이 있다 결혼하자가 아니라
결혼하니 재산이 늘었다 란 느낌이라서 좀 신기했습니다
겨울삼각형
21/05/10 14:35
수정 아이콘
1짤 20대미혼
2짤 30대미혼

3짤 그 둘이 결혼했다치면 가게 소득 딱 600초반 맞네요.

정말 단순히 산술평균
훌게이
21/05/10 14:44
수정 아이콘
외벌이 가구도 있기 때문에 결혼한 사람들 평균 소득이 좀 더 높다고 봐야죠.
사비알론소
21/05/10 14:57
수정 아이콘
보통 하는 말대로 소득/재산이 어느정도 되어야 결혼한다고 하면 단순히 1,2를 합친것보다는 3이 높아야하지 않을까요? 하위권은 결혼을 못한다는 가정이 참이 되려면..
훌게이
21/05/10 15:03
수정 아이콘
보통 일반적인 직장인은 40~50대가 가장 연봉이 높을 시기인데
2030기혼자 평균엔 40대는 빠져있으니 그것까지 고려하면 더 높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2번엔 40대도 포함됐으니)
사비알론소
21/05/10 15:17
수정 아이콘
40대도 고려하고 외벌이로 전환되는 비율까지 생각하면 실제로 소득이 결혼에 영향을 미치는게 맞긴 하겠네요..
우리아들뭐하니
21/05/10 16:21
수정 아이콘
기혼에 자녀가있으니 한명은 일을 그만두었을 가능성이 높긴하죠.
옥동이
21/05/10 14:36
수정 아이콘
중간값이 궁금한데 평균이라기엔 평균인 사람을 찾아보기가 힘드네요
척척석사
21/05/10 14:37
수정 아이콘
엄마가 사 준 집도 내 자산이니 많이 올랐을 거고, 더 비싼 집 사서 더 많이 오른 사람 일부가 또 평균 왕창 올릴 거고.. 그렇겠죠 뭐 쩝
21/05/10 14:37
수정 아이콘
아니 도대체 순자산이...!?
건전한닉네임3
21/05/10 14:38
수정 아이콘
중위값 표시해달라고 ㅠㅠ 왜 항상 기준미달이냐고 ㅠㅠ
리자몽
21/05/10 14:39
수정 아이콘
결혼이 사치재로 변한다는 말이 맞는거 같습니다

최근 몇년간 제 주변에서 결혼한 사람들을 보면 90%는 양가 부모님 중 최소 한쪽은 꽤 잘 사는 집이더라구요

그리고 이 사람들은 대학생때부터 꽤 부유하게 사는 티가 제법 났었죠

반대로 결혼하고 싶은데 여건 때문에 계속 미뤄지는 친구 커플도 있는걸 보면 결혼이 사치재라는 말에 꽤나 공감이 갑니다
Normal one
21/05/10 14:41
수정 아이콘
동질혼이 대세고 남녀모두 혼인율이 가장 높은 소득분위가 최상위 분위인 시대죠
21/05/10 14:41
수정 아이콘
엥 총자산이 6.1억이고 부채 잔액이 0.9억이니 순자산은 5.2억이죠.
우울한구름
21/05/10 14:44
수정 아이콘
보유 자산 부분에 부채 제외라고 써있어요
아웅이
21/05/10 14:43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수도권+광역시 평균자산이 4억1천만인가 그랬던거같은데 어떻게 2030이 6억이상이나올까요
성큼걸이
21/05/10 14:45
수정 아이콘
저기 소득은 세전인가요 아니면 세후로 따지나요?
우울한구름
21/05/10 14:45
수정 아이콘
수입은 그렇다치는데 자산이......
카서스
21/05/10 14:47
수정 아이콘
저 소득은 세전 기준인가요?
21/05/10 14:48
수정 아이콘
다음 생에는 가능
21/05/10 14: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평균 미달
아니 6억이 어디서 나오냐....제가 20대 중반부터 기혼/유자녀였는데 1구간 자산도 안 됐던 거 같은데
21/05/10 14:51
수정 아이콘
자산 미친...

웨딩푸어네요
신언불미미언불신
21/05/10 14:52
수정 아이콘
주변 피셜, 평균의 함정
결국은 케바케가 진리일 뿐이죠.
리얼월드
21/05/10 14:53
수정 아이콘
근데 왜 20%씩 1~5구간 나누고 평균은 4구간이 평균이라 하는건가요?
사비알론소
21/05/10 14:58
수정 아이콘
중간값과 평균의 정의를 생각해보시면..
봄날엔
21/05/10 14:55
수정 아이콘
이런 건 중앙값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어차피 구하는 데 드는 비용은 같은데 왜 평균을 알려주는지 모르겠어요.
회색사과
21/05/10 15:09
수정 아이콘
그래야 원하는 해석이 가능해서??
평균보다 못한 1,2,3 분위에 있는 사람들이 “와.. 씨..” 하게 하는게 목표인게 아닐까요
Cazellnu
21/05/10 14:58
수정 아이콘
평균이 4구간이네요
현실적인체감으로는 평균이 최저조건같은 느낌이 드는건 참..
스웨트
21/05/10 15:00
수정 아이콘
... 웨딩푸어 압니다.. 알아요..
행복하게 해주고 싶은데.. 나 말고 다른사람 만났으면 금전적으로는 더 행복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ㅠ

돈없어도 행복하게 해줄께 ㅠㅠ
21/05/10 15:10
수정 아이콘
가구합산소득이라 미혼은 본인, 기혼은 본인+배우자 기준인데 당연한 결과 아닌가 싶은데요..
요즘 보면 미혼이 기혼보다 소비성향도 더 높으니 갈수록 자산규모도 다를거고
불광불급
21/05/10 15:15
수정 아이콘
20대 미혼 말이되나?...
아스날
21/05/10 15:18
수정 아이콘
구간이 낮은건 아닌데 왜 이렇게 여유가 없는지..
묵리이장
21/05/10 15:24
수정 아이콘
부채 제외 6억이면 혼자 모으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고, 어마어마 하군요.
21/05/10 15:24
수정 아이콘
평균의 함정을 보여주는 대표적 예죠. 평범한 소득은 중위값에 있어요.
21/05/10 15:29
수정 아이콘
부채 제외 자산이란게 부채를 마이너스 했다는게 아니라 계산에서 제외한거라면, 전세 대출로 들어가도 자산으로 잡히는거 아닌가요? 전세권도 자산이니까요.
돈테크만
21/05/10 15:32
수정 아이콘
당연히 1명 버는거보다 2명 버는게 소득이 훨 높지.
저게 무슨 여유있는 사람만 결혼한다는 증거인가요?
비밀친구
21/05/10 15:35
수정 아이콘
외벌이가 더 많지 않나요 애기 있는집은
돈테크만
21/05/10 15:42
수정 아이콘
저게 2~30대 보고서인데 그때는 아직 애 생각없는 부부도 많은데다가 요즘 대부분 1년정도 육휴 후에 다시 일하러 나가더라고요.
남편 벌이가 충분하지 않는 이상요.
뭐 제 주변 기준이니 실제로는 다를수도 있겠지요.
비밀친구
21/05/10 15:51
수정 아이콘
넵 전 기혼+초등생 자녀 이하 구간만 보고 말씀드렸읍니다. 물론 맞벌도 많습니다. 그 비율이 50대 50 이라고 해도 저 구간에 월평균 소득이 높다는건 꼭 2명이 벌기 때문만은 아니다 라는 의견을 드려본 것 입니다.
우울한구름
21/05/10 15:42
수정 아이콘
저 자료만 보면 소득은 그게 맞는데 자산갭이 크긴 하네요.
문문문무
21/05/10 15:33
수정 아이콘
뭐 꾸준히 자연선택이 이뤄지는 중이죠
하루 빨리 특이점이와서 자연선택이 좀더 인격적인 선택이 되어지길 바랍니다
플리트비체
21/05/10 15:36
수정 아이콘
20-30대 기혼 집단 자체가 엄청난 우월집단인 것으로 보이네요 거기서 상위 20프로면 전체로 따졌을때 5프로쯤 되지 않을까
wannaRiot
21/05/10 15:37
수정 아이콘
20대 미혼 상위 20프로 자산이 2억 3천이 말이 되나요?
마갈량
21/05/10 15:37
수정 아이콘
급여보다 평균자산이 엄청나네요
비후간휴
21/05/10 15:38
수정 아이콘
집값올라서 결혼으로 집산게 어쩌다보니 성공?!
피식인
21/05/10 15:42
수정 아이콘
요즘 분위기가 나는 내 자식들에게 가난을 물려주기 싫으니까 자식 안 낳을거야, 내 한 몸 책임지는걸로 족하니까 결혼 안 할 거야. 이런 20~40대가 주변에 굉장히 증가하고 있는 듯한데요. 만약 혼인율/출산율에 생활 수준이 영향을 미친다는게 통계적으로 증명이 되었다면(물론 고학력으로 인한 평균 혼인 연령 증가, 여성의 사회 생활 증가로 인한 가정 내 육아의 어려움 등 다른 요인들도 영향이 있겠습니다만), 교과서적인 해결책은 서민들 주거 안정성을 높여주거나 서민들 생활 수준을 중산층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정책을 펼치는 것이겠죠. 사실 지금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는데(실직적으로는 모르겠으나 표면상으로는) 잘 안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역발상으로 그러면 먹고 살만한 부자들이라도 애 좀 많이 낳아라는 정책은 어떨까 싶습니다. 부자들 증여/상속세 기본 50%에서 자녀를 많이 낳을수록 세금을 감면해주는거죠. 세금으로 낼 바에야 자식 하나라도 더 낳아서 조금이라도 더 물려줘야지 하게 만드는 겁니다. 결과적으로 세금으로 내는 것보다 물려주는게 많아지지만 여러 자식에게 나눠지면 개인이 증여/상속 받는건 줄어드니 자산 재분배 효과도 있죠. 실현 가능성도 없고 논란이 클만한 방향이라고 봅니다만 어찌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적자생존에 가까운 방향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나주꿀
21/05/10 15:44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낫다고 봅니다.있는 사람에한해서라도 아이를 많이낳게 만들어야죠
성큼걸이
21/05/10 15: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아이디어를 PGR에서도 여러 분이 내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굉장히 좋은 의견이라 생각합니다.
기본 상속세를 지금보다 높게 잡되, 자녀 한명당 줄여줘서 넷 이상 낳으면 10% 미만까지 줄여주는 거죠. 혹하는 부유층 많을 겁니다
확실하게 출산률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지만 정부가 절대로 시행하지 않을 이유는, 정부의 최우선 관심사는 세수 증가이기 때문이겠죠
21/05/10 19:09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하고 굉장히 좋은 안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증여/상속/자본소득을 타도 해야될 사회악으로 보는 대한민국 분위기상 쉽지 않을거 같습니다
민주당이 30년쯤 정권을 못잡으먼 가능할지도요
반성맨
21/05/10 16:19
수정 아이콘
마이클 조던 어서 등장해주세요
양파폭탄
21/05/10 17:17
수정 아이콘
제발 중간값좀
아 어차피 3구간 보면 되는구나
interconnect
21/05/10 17:26
수정 아이콘
통계해석이 잘못될 수 있는게 결혼해서 부자가 된 것도 있죠.
결혼해서 집을 샀고 그래서 자산이 오른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결혼해서 아이낳고 청약 넣어서 집 장만한 친구들은 죄다 평균 이상은 되었습니다. 같은 대학 비슷한 직장을 다녀도 결혼도 안하고 주식.코인하다 말아먹고 인생 비관적으로 된 친구들도 많고요
지금만나러갑니다
21/05/10 17:57
수정 아이콘
정답!~
결혼하면서 조금 무리해서 집을 구매한사람들이 부동산 상승에 의해 자산이 늘어났기에
부자라서 → 결혼했다 가 아니라
결혼해서 → 부자되었다(여기서 부자는 진짜 부자가 아니라 그냥 자산이 몇억이 된 경우) 인 경우도 꽤나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21/05/10 19:10
수정 아이콘
이런 경우 상당히 많습니다
같은 경제적 능력이더라도 결혼이라는 이벤트없이 큰 대출내서 집사는 경우는 드물죠
더파이팅
21/05/11 00:32
수정 아이콘
그리고 아기 생기면 가장으로서의 마음 가짐도 굉장히 달라지죠. 솔로 일때와는 비교도 안되는 헝그리 정신과 소득에 대한 무한한 갈증으로 가득차게 되니까요.
혼자서 살 때야 적당히 벌고 적당히 쓰자 주의라면 결혼하고 아기가 생기면 아둥바둥 생산적인 일에 몰두하고 불필요한 소비는 최소화하면서 자본소득 증진에 꽤나 신경 쓰게 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1373 [텍스트] 이사도우미가 쓴 시간별 정리글.txt [7] 14086 21/11/28 14086
440085 [유머] (MCU) 토니의 빈자리가 유독 크게 느껴지는 히어로.jpg [38] 캬라12351 21/11/17 12351
439366 [기타] 포르쉐 타이칸 구매자 평균 소득 [29] arumi13235 21/11/10 13235
437662 [서브컬쳐] 일본 프로 일러스트레이터의 수입 [5] 10845 21/10/25 10845
437539 [유머] 펌)블라인드에 올라온 설거지론 분석글.txt [75] 딸기16154 21/10/24 16154
435465 [기타] 코인판특 ) [30] Lord Be Goja11433 21/10/05 11433
434821 [유머] 넷플릭스에 깜짝 선물을 받은 현우진 수학강사 [12] 나주꿀11776 21/09/28 11776
434271 [유머] 보기와 달리 진지한 협회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8835 21/09/23 8835
432382 [유머] 서울과 수도권의 5차 재난지원금 비율 [24] Leeka14421 21/09/05 14421
431912 [기타]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年 900만원까지 높이나 [15] 비타에듀8858 21/09/01 8858
431177 [기타] 40대 금퇴족(예정)들의 평균자산규모.TXT [15] 비타에듀12668 21/08/25 12668
430885 [유머] 행복은 소득순이 아니잖아요.jpg [39] VictoryFood12692 21/08/22 12692
430247 [기타] 노령연금 받을 때 꼭 빼먹지 말아야 할 것.credit [11] VictoryFood12089 21/08/15 12089
429676 [기타] 중고 구입 김치 냉장고 안에 ‘현금 1억’… 경찰 수사 [2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005 21/08/09 10005
429089 [유머] 온라인 오프라인 공간과 소득과의 관계.jpg [60] 삭제됨14293 21/07/31 14293
427832 [기타] 요즘 노오력을 하면 된다는 댓글이 많이 줄어든듯한 기분이 드는 이유 [99] 나주꿀15427 21/07/16 15427
426912 [유머] 가위바위보 국내 1인자 [23] 아몬10155 21/07/07 10155
426909 [유머] 한남더힐 커뮤의 중산층 기준 [37] 훌게이12108 21/07/07 12108
426559 [기타] (공포주의/깜놀x) 일본 공포 전성기 시절, 영화 '회로' 에서의 한 장면 [31] 타란티노12843 21/07/03 12843
424653 [기타] 북한 2030세대 근황.jpg [51] TWICE쯔위14433 21/06/11 14433
423642 [기타] 국가장학금 못 받아서 빡친 에타.jpg [24] 추천11576 21/05/30 11576
423625 [기타] 2019년 기준 연령별 평균/중위 연봉.jpg [20] VictoryFood10758 21/05/30 10758
422336 [게임] 플레이스테이션 5 중국 런칭 현황 [16] Heretic11540 21/05/15 115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