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3/31 01:07:48
Name 고쿠
File #1 1.jpg (67.7 KB), Download : 34
출처 https://www.facebook.com/106273441303939/posts/182934530304496/
Subject [서브컬쳐] 귀멸의 칼날 극장판 근황.jpg


국내 역대 개봉 일본 애니 5위에 등극
4위는 151만명의 벼랑위의 포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깃털달린뱀
21/03/31 01:11
수정 아이콘
포뇨라니 그립네요
21/03/31 01:1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솔직히.. 별루였음.... TV판이 훨씬 나았음. 마지막 30분이 끝내준다고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데... 염주건 주인공이건 너무 오버하는게 눈에 거슬렸음.
12년째도피중
21/03/31 01:13
수정 아이콘
그... 라이너였나 어느 리뷰어 분이 딱 짚어 주셨습니다. 신파의 원조는 일본이다.
저도 줄줄 흐른 사람입니다만 구구절절 맞는 말 같더군요. 넘치는 자기연민은 신파의 핵심.
21/03/31 01:16
수정 아이콘
TV판도 케릭터들이 오바하는 것이 많았지만.. 작은 화면으로 봐서 그런가.... 그럭저럭 신경 많이 안쓰고 넘어갈 수 있었는데요...

영화관에서 보니깐 그런 부분이 눈에 확띠고 거슬리더라고요......
HealingRain
21/03/31 01:19
수정 아이콘
음... 감동없이 본 사람중 하나로서 왜 그런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제가 신파 극혐하는데... 신파였던거군요.
어바웃타임
21/03/31 01:46
수정 아이콘
딱히요. 제가 눈물 많아서 신파보면 질질짜는 사람인데

진심 물기도 안생겼습니다.
21/03/31 01:15
수정 아이콘
저도 좀... 작화야 극장판이니까 좋은거고 연출같은건 음악은 좋은데 다른건 잘 모르겠다 싶었어요. 음악은 인정.
21/03/31 02:13
수정 아이콘
뭐 원작부터가 신파범벅이긴 하죠 크크
삼성전자
21/03/31 06:26
수정 아이콘
다들 마지막 30분 외쳐서 엄청 기대했는데 좀 지겨웠어요. 번외편 같은 느낌도있고,
전 치열했던 기차내 혈투가 더 재밌었어요.
스덕선생
21/03/31 01:12
수정 아이콘
포뇨에 대해 평론가들이 그 미야상도 늙었다고 엄청 디스했는데 신기하게 흥행은 잘 되었군요.

역시 애니메이션은 괜히 성인들 입맛 맞춘다고 용쓰지말고 미성년자 코인을 타야합니다?
HealingRain
21/03/31 01:18
수정 아이콘
유포터블답게 작화 및 동화의 품질은 엄청났지만.... 나이를 먹어서 그런지 스토리에서 남들이 느끼는 그 감동이 그닥 안올라오더군요.
최근 극장에서 본 제일 좋았던 일본애니는 '너의 이름은'이었는데 그 이후론 그만한 여운을 주는 애니가 없네요.
기술적트레이더
21/03/31 01:20
수정 아이콘
날씨의 아이도 보세요 작화 좋아요
HealingRain
21/03/31 01:22
수정 아이콘
신카이 감독 팬이라 당연히 봤죠. 근데 좀 당혹했습니다. 너무 급하게 예전 신카이 감독 감성이 나오니까 제가 적응을 못하겠더군요.
결론은 살짝 심심했던 영화였습니다. 작화야 이제는 뭐 워낙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는지라....
내맘대로만듦
21/03/31 09:00
수정 아이콘
크크크 초딩이 막 총쏘고
기술적트레이더
21/03/31 01:21
수정 아이콘
그리고 오코는 초등학생 사장님 이것도 추천해요
HealingRain
21/03/31 01:24
수정 아이콘
처음듣는 애니네요.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해요~
포프의대모험
21/03/31 01:26
수정 아이콘
그냥 마지막 전투씬 작화만으로 다 용서가 됨
다레니안
21/03/31 01:27
수정 아이콘
전 극장판 3번 봤어요.
1번은 제 친구랑, 2~3번은 제가 오따꾸영업(?)한 지인들과....
특히 3번 지인은 일본애니메이션 1도 모르던 친구인데 귀멸 소개시켜준 뒤 4일만에 다 보고와선 무한열차 보러가자고 징징대더니 이제는 완전히 오따꾸 다 되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다 털어먹을 기세더라구요. 크크크
파랑파랑
21/03/31 01:2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재밌습니다!
얼척없네진짜
21/03/31 01:35
수정 아이콘
엄청 재밌게 봤는데
BBangDDuk
21/03/31 01:38
수정 아이콘
슬픈영화봐도 꽤 무덤덤한데

귀칼은 슬프더라구여.. 살면서 만화나 애니 정말 몇개안봤는데 내면에 오따꾸 감성이 숨어있나봐요 크크
어바웃타임
21/03/31 01:4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렌고쿠에 대한 서사가 그리 길지 않아서 별로 감정 이입이 안되더군요

티비판에서도 잠깐 나온게 다고....극장판에서 열심히 회상하면서 빌드업 하는데 딱히? 라는 느낌이....


아 물론 작화 쩔고 그냥 스토리가 궁금해서 전체적인 평은 재밌게 본거 맞는데

뭐 염주가 죽을때 눈물을 질질 짜고...역대급 애니고 이런거에는 공감이 안가더라구요
황금경 엘드리치
21/03/31 01:58
수정 아이콘
걍 쩌는 작화 하나만으로 가서 본 값은 했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역대급 애니는 아닌거같고..
덴드로븀
21/03/31 02:09
수정 아이콘
마지막 전투 전 : 별 2개
마지막 전투 : 별 5.5개
평균 3.75점에 극장 뽕 살짝 더해서 별 4개 줬습니다.

드라이하게 보면 딱히 재미있는 영화는 아니죠. 그런데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무언가가 분명 있습니다. 렌고쿠도 그렇고 탄지로도 그렇고...
질질짜는 신파에 꼭 몸던져 죽어야하는 전형적이고 뻔한 서사에 틀에 박힌 시끄러운 서브캐릭터 등등 클리셰 범벅이지만
사실 그게 바로 열혈성장소년만화의 참맛(?) 아니겠습니까? 크크크
21/03/31 02:09
수정 아이콘
저 노랑머리 너무 시끄러워요.. 계속 잠만 잤으면
21/03/31 02:30
수정 아이콘
영화자체는 재밌게 봤는데 9주차 특전까지 뽑아먹는게 징하더라구요
21/03/31 03:05
수정 아이콘
4위 까지는 가능하겠지만, 3위 부터가 200만 클럽이라...
일단 4위로 만족해야겠네요.
야크모
21/03/31 06:58
수정 아이콘
노랑머리가 오바해도 너무 오바해서 보는데 힘들더군요.
개맹이
21/03/31 07:05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 귀칼을 최근에 완주했는데 극장판 보러가야지 생각이 바로 들더라구요. 다른 애니에 비해서 이야기가 부족한 부분이 아쉽지만 그만큼 빠르게 전개되는 스피드가 좋았어요. 서사와 빠른 전개 떡밥회수까지 갓벽하게 끝낸 아라카와여사를 다시한번 존경하게되네요.
오우거
21/03/31 07:47
수정 아이콘
뭐 사실 tv판이든 극장판이든 원작의 부족한 서사를 온갖 양념으로 화려하게 만들어 초대박 쳤는데 앞으로는 그런 단점도 사라지기 때문에 점점 기대가 올라갈수밖애 없습니다. 빨리 2기 나와라
섹무새
21/03/31 08:15
수정 아이콘
만화책만큼은 아니었지만 충분히 재미있었어요.
꺼지지 않는 신념같은 소년만화의 정통성을 보여줘서 좋았어요.
바카스
21/03/31 08:19
수정 아이콘
어머니 저는 책무를 다하였습니까에서 잘 참고 있던게 울컥..
단비아빠
21/03/31 08:4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소년만화를 보면서 신파니 뭐니 해봐야..
성인기준에서의 작품평가는 사실 큰 의미가 없죠.
어차피 성인들 보라고 만든게 아닌데.
본인이 동심을 잃어버린 어른이라는 새삼스러운 증명일뿐.
어바웃타임
21/03/31 14:57
수정 아이콘
근데 19세 아닌가요?
단비아빠
21/03/31 15:20
수정 아이콘
엥 그러네요?
소년점프 연재작인데 19세 제한?
검색해보니까 일본 극장판 귀멸의 칼날은 12세 제한인데...
우리나라하고 일본하고 심의의 차이가 굉장히 크군요...
일본은 칼싸움에 굉장히 심의가 너그롭나봅니다.
묵리이장
21/03/31 10:01
수정 아이콘
신파로 봐야하냐? 아닌 듯 한데요.
마카롱
21/03/31 10:15
수정 아이콘
TV 판도 젠이츠 너무 시끄러워서 못보겠습니다.
이쥴레이
21/03/31 10:20
수정 아이콘
하지만 저 노랑머리가 인기순위 1위 입니다. 여러분.. 저도 잘 이해가 안되지만.. 인기가 높아요.. 인기가....
이쥴레이
21/03/31 10:26
수정 아이콘
최근 애니보면서 연출이 좋은 장면은 정말 음악이 중요한 역활을 하는거 같습니다.
귀멸의칼날 극장판도 중요할때 터지는 음악이 감성을 잘 자극하죠. 탄지로가 우리가족이~ 라는 대사도 음악과 어울려서 감성이 터지고
마지막 전투는 연출도 등장씬부터 마무리까지 쩐다고 느끼는게 음악을 정말 잘 썼다고 봐서..

최근 방영된 리제로 2기 23화도 창자사냥꾼 Vs 가필 대결씬 보면 짦은 음악 1분인데 그 1분 음악템포에 맞춰 전투가 이어지는
연출 보면서 아 이런게 노하우인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는게젤힘드러
21/03/31 11:49
수정 아이콘
신파란게 대체 뭔가요
아이폰텐
21/03/31 12:22
수정 아이콘
말그대로 J신파였는데 빌드업은 차근차근 한 신파라 좋았네요
ArcanumToss
21/03/31 19:42
수정 아이콘
저는 오버가 너무 심해서 별로였습니다.
신파도 너무 심하고.
다만 작화는 인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2885 [서브컬쳐] 일본 탑급 만화가들의 수입.jpg [24] 추천10776 21/05/21 10776
422756 [서브컬쳐] 일본 SNS 근황.twitter [12] 개맹이9853 21/05/20 9853
422753 [서브컬쳐] 일본 게임 명가 사이게임즈 월별 매출 [21] 류지나6884 21/05/20 6884
422372 [서브컬쳐] [스포] 고지라 VS. 콩 스포일러 당한 일본관객들의 분노 [3] TWICE쯔위8399 21/05/16 8399
422012 [서브컬쳐] 일본 만화 시장에 진출한 국내 기업 근황.jpg [26] 고쿠14027 21/05/11 14027
421716 [서브컬쳐] 합리적으로 일본도 한국인 세라복 미소녀를 등장 시키는 법 [3] 추천7251 21/05/07 7251
421681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 천리마뾰이 [2] 잠이온다5670 21/05/07 5670
421613 [서브컬쳐] 드래곤볼) 일본이 한국어를 뺀 이유 [4] 고쿠8892 21/05/06 8892
421445 [서브컬쳐] 영화 바람의 검심 최종장 액션 트레이닝 영상 [16] 라쇼7829 21/05/04 7829
421323 [서브컬쳐] 귀멸의 칼날 미국 근황.jpg [3] 오우거9053 21/05/03 9053
420730 [서브컬쳐]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실사판 [6] 라쇼6367 21/04/27 6367
420547 [서브컬쳐] 일본 게임에 나온 한복의 상태가...jpg [14] TWICE쯔위11181 21/04/25 11181
420489 [서브컬쳐] [말딸] 신비한 골드쉽 근황 [3] 추천6927 21/04/24 6927
419851 [서브컬쳐] 스타크래프트 선수에 비유해본 우마무스메 [11] 류지나7511 21/04/18 7511
419835 [서브컬쳐] 제목에 최● 단어 사용을 금지한 일본.manga [17] 삭제됨9247 21/04/18 9247
419807 [서브컬쳐]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에겐 추천하지 못하는 애니메이션 [10] 한뫼소8298 21/04/18 8298
419616 [서브컬쳐] 2012년~2020년까지 일본 만화 단행본 판매량 TOP6 [30] 성아연7225 21/04/15 7225
419445 [서브컬쳐] 요즘 아이돌마스터 노래 장르 [19] 하뮬7288 21/04/14 7288
418890 [서브컬쳐] 진격의 거인 충격적 결말.... 일본 현지 반응 [14] 추천10707 21/04/08 10707
418568 [서브컬쳐] 일본 최대 캐릭터 기업 10년간 캐릭터 매출.jpg [20] 고쿠8420 21/04/05 8420
418119 [서브컬쳐] 일본 데드풀 만화 근황 [9] roqur6018 21/04/01 6018
417948 [서브컬쳐] 토리야마 아키라 원화 사인을 세점이나 보유한 루리웹 아재 [18] 고쿠11963 21/03/31 11963
417946 [서브컬쳐] 귀멸의 칼날 극장판 근황.jpg [42] 고쿠11098 21/03/31 110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