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2/11 10:12:36
Name Leeka
출처 https://www.fmkorea.com/3384350169
Subject [LOL] 레딧에서 진행했던 역체라인 투표
월즈 우승자 대상으로만 진행.


TOP
1위 - TheShy (55.7%)

2위 - MaRin (27.5%)
3위 - Nuguri (5.9%)

JGL
1위 - Bengi (34.2%)

2위 - DanDy (21.4%)
3위 - Caynon (19.7%)

MID
1위 - Faker (88.3%)

2위 - Rookie (5.3%)
3위 - Shushei (1.9%)

BOT
1위 - Ruler (41.9%)

2위 - Imp (19.5%)
3위 - Bang (18.5%)

SPT
1위 - Mata (66.1%)

2위 - CoreJJ (10.7%)
3위 - Wolf (10.1%)


통합
TheShy (55.7%) - Bengi (34.2%) - Faker (88.3%) - Ruler (41.9%) - Mata (66.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츠씽
21/02/11 10:13
수정 아이콘
저랑 같네용
김연아
21/02/11 10:14
수정 아이콘
이게 마타
21/02/11 10:14
수정 아이콘
뱅이3위군요
Nasty breaking B
21/02/11 10:17
수정 아이콘
폰 도인비를 제친 슈세이
스덕선생
21/02/11 10:19
수정 아이콘
만약 준우승자까지로 했으면 봇은 우지가 차지했을텐데, 그 표가 룰러한테 갔군요.
나머지는 딱히 이상하다고 볼 건덕지가 없고...
볼레로
21/02/11 10:19
수정 아이콘
LCS 시청자가 많아서 그런걸까요.
룰러가 뱅보다 두배 이상 표를 받은건 의외네요.
larrabee
21/02/11 11:00
수정 아이콘
원딜메타 그 자체에서 원딜러로 우승했으니 무리는 아니라고 봅니다 크크크
코우사카 호노카
21/02/11 10:20
수정 아이콘
슈세이는 누구여 했는데 시즌1 우승자군요 상근본이네;
스위치 메이커
21/02/11 10:21
수정 아이콘
LCS에서 하위권 박은 게 컸네요...;;
21/02/11 10:22
수정 아이콘
뱅이 임프한테 밀리는건 좀 충격인데요;;
거짓말쟁이
21/02/11 10:25
수정 아이콘
뱅이 해외에서 저평가가 심합니다. 해외 진출 후 똥을 싸서 더더욱..근데 해외 진출 전에도 그랬음.
뱅울프 = 페이커 버스탄 애들 이라는 인식이 컸어요
21/02/11 10:33
수정 아이콘
보통 저평가를 당해도 상대가 프레이 데프트 우지인데
임프보다는 고점도 누적도 앞서지 않나요;;
댄디팬
21/02/11 10:42
수정 아이콘
누적 평균은 뱅이 앞서는데 한표인데 고점은 임프라고 생각합니다. 글골 1만이 밀릴때 이니시 딜 다 넣어서 역전하거나 베인으로 케틀 라인전이기는 퍼포먼스는 정말 어마어마했죠. 물론 감독으로서 내 선수 뽑는다면 뱅을 뽑겠지만 임프가 정말 대단하긴했어요.
은은한페브리즈
21/02/11 11:25
수정 아이콘
저도 고점은 임프.
임프시절엔 라인전 자체를 진적도 거의 없고 mvp시절엔 임프3밴도 나올정도였고 임프 캐리 경기도 셀수 없이 많았죠.
중국가서도 우승시켰고 꾸준히 정상급 원딜이었습니다.
뱅은 해외가서 똥을 싼게 좀 크게 작용한거 같기도하구요.
21/02/11 10:3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울프 페까 해도 인정합니다 크크크
21/02/11 1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레딧에서는 원래도 SKT 선수들의 평가지분은 페이커에게 몰빵돼있어서... 뱅/울프가 한참 잘할때도 어차피 LCK는 잘 보지도 않는 팬들도 많고, MSI에서의 활약도 좀 휘발성이 크다고 해야 하나. 월즈에서도 15년엔 솔리드했지만 상대적으로 받아주는 포지션이었고 16, 17년에는 상대 바텀에게 임팩트있게 당하는 장면도 있다보니... 벵기도 사실 입지가 비슷했는데 16년 3회 우승 달성하면서 그 상징성 때문에 범접할 수 없는 기준이 생겨버린게 크죠. 1옵션을 중요시하는 스포츠를 자주 접하는 판이다보니 쓰리핏 내지는 더블이 없는 상황에서 3회 우승이라는 독보적인 기록이 가지는 파급력을 더이상 무시하지 못하게 된게 크다고 봅니다.
21/02/11 10:39
수정 아이콘
레딧은 저도 지겹게 많이 가봐서 알고 있습니다 크크
21/02/11 10:33
수정 아이콘
뭐든지 말년이 좋아야 평가도 떡상하는데
평가가 박할수밖에없죠
21/04/03 14:28
수정 아이콘
일찍 죽은 알렉산더와 추한 꼴이란 꼴은 다 보이고 죽은 마오쩌둥의 차이죠 크크
북극곰이크앙해따
21/02/11 10:23
수정 아이콘
룰러가 1등인 건 뭐 향로메타때라서 관점에 따라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쳐도 뱅이 임프보다 낮다니 ㅠㅠ 북미에서 얼마나 싼거야..
21/02/11 10:23
수정 아이콘
서구권 특유의 SKT에 대한 페이커 몰빵을 고려해도 [3회 우승]이라는 타이틀의 가치는 어마어마하다는게 벵기에게서 느껴지네요. 마린이야 MVP 박았으니 저정도라도 나온거지만... 뱅-울프도 17년에 폼을 끝까지 유지해서 15-16-17 쓰리핏을 달성했다면 아마 레딧에서도 그 상징성 때문에라도 30-40% 정도의 득표율로 바텀도 1위를 차지했을듯.
21/02/11 10:27
수정 아이콘
북미의 뱅혐이 인상적이네요. 억울하면 본인이 잘했어야..크크
21/02/11 10:27
수정 아이콘
뭐 1위만 보면 전 괜찮다 보네요. 전 커리어라는게 +만 있는게 아니라 -도 적용해야된다고 생각하는쪽이라서.
21/02/11 10:31
수정 아이콘
비우승자만 모아서 투표해봐도 재미있을듯
21/02/11 10:31
수정 아이콘
15명 중에 14명이 한국인..
라쿤맨
21/02/11 10:33
수정 아이콘
유일하게 한국인이 아닌 미드라서 몰빵받은거 아닐까요. 아무리 봐도 폰/쇼메/도인비가 들어갔어야...
라쿤맨
21/02/11 10:32
수정 아이콘
MVP먹고도 역사에서 사라진 티안과 닝의 위엄인가요. 플루크 시즌에 우승하고 MVP 가져가고 모두의 기억에서 지워져버린...
서린언니
21/02/11 10:3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뱅이 더욱 불쌍해보이네요... 뱅 오늘 완전...
안철수
21/02/11 10:32
수정 아이콘
15년은 마린 페이커가 공동 1옵션? 이니 뱅울프 3,4옵션
16년은 프릴라에게 지고 페이커빨로 이겼으니 롤드컵 기준 저평가는 어쩔수가 없음

이후에도 뱅은 북미에서 똥싸고 울프는 터키에서 잘했지만 현지수준이라서..
21/02/11 11:30
수정 아이콘
16년 4강은 노페나 클템도 이야기했지만 이긴 세트는 뱅울프가 이겼죠 그냥... 2, 3경기 애쉬-미포 임팩트가 워낙 강렬해서 그렇지 크크
21/02/12 11:41
수정 아이콘
글쎄요. 1세트는 용 앞에서 “페이커 쇼크웨이브!” 나오기 전까지 락스가 리드하고 있었고 바텀 라인전도 프릴라가 이겨줬던 걸로 기억하는데요.
5세트도 피넛이 벵기 페이커에 줄타기 점멸 반응 못하고 터져서 바텀까지 밀리기 전까지는 프릴라가 근소우위였던 걸로...
뱅이 후반부에 cs 몇십개씩 앞서고 그랬던 건 라인전 이후 단계에서 뱅에게 빈 라인 몰아주면서 라인관리했던 슼 특유의 운영 덕이 컸다고 보고요.
21/02/12 19: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4, 5세트는 초반 라인전도 뱅울프가 우위였죠. 5세트는 초반 딜교에서 뱅울프가 리드했는데 바로 쿠로가 텔로밍 와서 울프 나미 플을 빼버렸고, 잠시 후 피넛이 다시 라인 개입해서 울프 나미 따냈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벵기 리신이 다시 개입해서 고릴라 자이라 따내고 그 후에 벵기가 다시 합류해서 바텀 포탑을 SKT가 밀었습니다. 5세트는 그래서 다른 라인 개입 대비 딜교+주도권은 SKT쪽이 가지고 있었죠. 1세트는 라인전구도가 바텀 승패를 따질 수준이었는지는 기억이 자세히 나지 않았지만 라인전에서는 별 차이 없었던걸로 기억하구요. 이후 교전에서는 뱅울프쪽이 좀더 나았다고 봅니다. 당시 클템 유튜브 리뷰보면 애쉬-미포가 없던 판은 뱅울프가 더 나았다고 이야기 하기도 했습니다. 실제 당시 코멘트가 [밴픽으로 뭘 하지 못하면 SKT 바텀이 약간 더 센거 같다]. 노페도 고릴라가 당시 주류픽이었던 자이라에 자신이 없어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4, 5세트 고릴라는 자이라를 픽했었죠.

확실히 하기 위해서 1, 4, 5세트 초반구도를 다시보고 왔는데, 1세트는 cs는 반반수준에 주도권은 애쉬-자이라인 뱅울프가 케틀-카르마인 프릴라한테 초반 주도권을 쥐고 있었던게 딜교 하다가 포션(비스킷)이 프릴라쪽이 먼저 다빠집니다. 라인 구도도 뱅울프쪽이 좀더 유리하구요. 그러다가 바텀 합류전 벌여져서 3 대 2로 킬교환하고 슼쪽에서 바텀 1차를 먼저 미는데 이정도면 주도권이 뱅울프에게 있었지만 바텀 라인전은 딱히 승패를 나눌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4세트는 초반 딜교에서 뱅울프가 역시 주도권을 잡았지만 이후에 초반 운영 단계에서 락스쪽이 인원배치를 통해 바텀 타워를 먼저 밀구요. 라인전만 봐도 1세트는 반반 내지는 뱅울프 미세 우위 / 4, 5세트는 그냥 뱅울프 우위가 맞다고 봅니다.
모래알
21/02/11 10:36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88퍼센트도 약간 낮은 느낌이네요 크크
봄날엔
21/02/11 10:40
수정 아이콘
롤드컵 우승자 중에서라면 제 생각과 1위는 같네요
오늘하루맑음
21/02/11 1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뱅은 LCS가서 박은게 너무 크죠

4부리그와서 올프로도 간당간당한데...

울프도 LCS 진출을 못 하기도 했고 터키에서도 롤드컵 못 가벼서...

미국 친구들은 농구 영향으로 옵션 많이 따질겁니다

몇 옵션으로 대권 먹었냐가 중요하죠

원딜이 1옵션 해야되는 17 Worlds에서의 모습이 저 퍼센트로 나타났다고 봅니다

그 때 잘한 룰러가 높구요
피우피우
21/02/11 10:50
수정 아이콘
미드야 당연히 확고하고, 서폿도 저 정도면 압도적이네요.
정글은 아직까지는 벵기가 가장 낫다는 의견이 다수지만 표 비율만 보면 확고하다는 느낌은 없어서 바뀐다면 가장 먼저 바뀔 포지션 같고요.
전체적으로 제 생각이랑 비슷하네요.
올해는다르다
21/02/11 10:54
수정 아이콘
페이커 88퍼센트에서 신뢰도가 내려가는 투표
크크
21/02/11 11:00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99%는 찍어줘야...
아님 역체롤로 따로
하얀마녀
21/02/11 11:15
수정 아이콘
제 마음 속 역체폿은 매라.... 건웅 로코도코 데리고 그 정도 해줬는데.....진정한 서포터의 귀감....
내맘대로만듦
21/02/11 11:44
수정 아이콘
룰러는 오히려 국내보다 해외에서 인정받는 느낌
21/02/11 11:45
수정 아이콘
슈세이가 누군가 했네;;
21/02/11 11:47
수정 아이콘
Lol 1도 모르는 사람인데 페이커 선수의 위상이 이정도네요~ 대단하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1/02/11 11:54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 룰러보단 뱅이요.
룰러는 일단 리그 트로피가 없자나요.
Bronx Bombers
21/02/11 11:55
수정 아이콘
슈세이가 누군가 찾아봤더니 시즌1 롤드컵 MVP네요. 그나마 넘버3를 준다면 폰이나 도인비한테 주는게 마땅하거늘
퍼리새
21/02/11 12:15
수정 아이콘
eu메타 만든팀의 mvp 가산점이 있지 않았을까요? 못 봐서 모르지만 임팩트가 엄청났을 수도 있고... 그래서 루키보단 슈셰이가 이해가 갑니다
예킨야
21/02/11 13:00
수정 아이콘
당시에 페케 한번씩 똥싸는거 다틀어막는게 쩔긴 했습니다.
위르겐클롭
21/02/11 12:04
수정 아이콘
대충 보고 한국인 대상으로만 뽑은건줄...
애플리본
21/02/11 12:22
수정 아이콘
역시 SKT 저평가.. 사실은 다 이기고 월즈 먹음
오늘하루맑음
21/02/11 13:54
수정 아이콘
저평가라고 하기에는 뱅기와 페이커가 당당히...
다이어트
21/02/11 14:24
수정 아이콘
페이커 88퍼라서 이상....이라고 하기에는 그 밑에 선수가 역체롤 2위 다투는 선수....
shadowtaki
21/02/11 14:36
수정 아이콘
담원 선수들은 현재진행형이니까 아직 더 봐야 하는거고 페이커, 룰러, 더샤이의 원팀 커리어, 나머지는 다들 두개 리그를 경험한 선수들이죠. 커리어에 비해 평가가 좋은 선수들은 다들 두번째 리그에서 평가가 높은 선수들이죠. 반대로 커리어에 비해 평가가 박한 선수들은 두번째 리그에서 평가가 박한 선수들이죠.
좋은데이
21/02/11 15: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시생각해보니 다른라인은 우승횟수+퍼포먼스+팀의비중
적절히 반영된것같은데 원딜이 애매하네요
14삼화는 바텀/정글이 1옵션
15슼은 탑/미드가 1옵션
16슽은 미드/바텀이 1옵션, 16삼성은 바텀 1옵션
17슼은 미드 1옵션, 17삼성은 바텀 1옵션

총 성적 : 뱅>룰러>임프
팀 비중 : 룰러>임프>=뱅
퍼포먼스만 보면 셋 다 좋았지만, 우승당시 롤드컵 대진표중
어떤팀하고 붙었어도 우승했을거같은 14,15 빼면 16,17은 대진운도 어느정도 작용했다고 보거든요.

룰러가 가장 애매한데 20서머같은 경기력으로 17우승 먹었으면 제가생각하는 롤역사상 최고 원딜 퍼포먼스라고 볼텐데,
17룰러는 탑티어원딜들하고 비교해도 확 더 잘한다고 생각안될때였어요. 리그는 빼더라도 특히 vsRNG전은 상위라운드에서 안붙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할정도였구요.
근데 또 전성기 페이커팀을 상대로 결승두번해서 세트전적 5:3 인건 분명히 대단한 업적이고..
리그빼고 롤드컵만 쳤을때 퍼포먼스, 성적, 팀상황 다 고려하면
저 세원딜 순위는 어떻게 나와도 이해될만하다 정도가 결론이네요..
구승빈과김종인
21/02/11 16:28
수정 아이콘
임프가 뱅보다 고평가라는게 충격적인 수준은 아니죠. 임프의 전성기 고점과 무엇보다 임프는 마타빨이라는 그 이상한 프레임을 LPL가서 스스로 증명 해냈습니다, 반면 뱅은 커리어에 걸맞는 실력과 당시에 SKT 중요옵션 이었단 점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지만 SKT의 우산밖에서도 뱅이 증명할 수 있었을까? 하는 물음은 항상 따라다녔죠.
LacusClyne
21/02/12 04:53
수정 아이콘
저도 순수기량역체는 임프요. 피지컬 신급이었는데 중국가서 로지컬까지 마스터했죠
Janzisuka
21/04/03 13:36
수정 아이콘
현시점까지 포함인가..전 룰러보단 뱅이 임팩트가 더 컸었는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8695 [LOL] 테디 퍼스트 투표해도 논란없는사람.jpg [5] Starlord7396 21/04/06 7396
418654 [LOL] 빛돌이 말하는 "LCK 올프로 투표 이유. 그리고 개선점." [18] 예킨야10498 21/04/06 10498
418641 [LOL] 페이커의 스프링 올프로 픽.txt [39] Hestia9961 21/04/05 9961
418637 [LOL] 재밌게 볼 수 있는 정글/미드 표 근황 [6] Leeka6914 21/04/05 6914
418632 [LOL] 롤 스프링 퍼스트팀 투표결과 세부내역 [116] 껌정12441 21/04/05 12441
418629 [LOL] 펨코 롤갤도르 올프로팀 [33] 따라큐7329 21/04/05 7329
418286 [LOL] ???: 흠..정규시즌 mvp라 누굴 뽑아야되지.jpg [9]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7665 21/04/02 7665
414597 [LOL] 역대 페이커의 가장 인상적이었던 순간들 투표 진행해봅니다. [59] 요한슨9387 21/02/26 9387
413083 [LOL] 레딧에서 진행했던 역체라인 투표 [55] Leeka11098 21/02/11 11098
411368 [LOL] 표식의 우디르가 처음 등장한 날 해설진들 말말말 [10] 카루오스11383 21/01/24 11383
404955 [LOL] 현재 LPL 올스타 투표 전포지션 탑3.JPG [15] Rain#18460 20/11/23 8460
404655 [LOL] 힐다가 루키 투표 독려 글을 올렸네요. [6] Rain#19047 20/11/21 9047
402491 [LOL] 다데상 투표 in 레딧 [37] 유니언스11254 20/11/01 11254
396532 [LOL] 롤연시... 인기 투표결과 [17] 불행8935 20/09/04 8935
396380 [LOL] 대충 명단만 봐도 누가 투표했을지 알 거 같은 느낌 [36] 스니스니9964 20/09/03 9964
395009 [LOL] 담원 누가 막을지 투표중인 LPL [47] 퇴사11238 20/08/18 11238
393712 [LOL] 투표 결과를 본 네네누나.jpg [21] 감별사11653 20/08/02 11653
390714 [LOL] 3표씩 갈린 DRX VS DYN 1세트 pog 투표 [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7281 20/07/02 7281
384520 [LOL] 손대영 올프로팀 투표 근황 [22] Leeka11996 20/04/29 11996
380632 [LOL] LCK PoG 투표인 실명 유출 [23] 다크템플러10162 20/03/22 10162
377099 [LOL] 어제 그리핀 vs 샌박 2경기 POG 관련 촌극.jpg [36] 감별사7878 20/02/13 7878
373274 [LOL] 2019 LCK 선수들 투표 [51] Leeka10024 20/01/03 10024
371623 [LOL] 연예인급 인기의 프로게이머들 [31] 신불해16407 19/12/13 164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