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2/02 20:19:20
Name bluff
File #1 22.png (18.1 KB), Download : 61
출처 일본 웹
Link #2 https://nlab.itmedia.co.jp/research/articles/99900/
Subject [서브컬쳐] 당신이 생각하는 슬램 덩크에 등장하는 최강 플레이어는?'




서태웅과 강백호는 로컬라이징 번역해주는 갓글 ,.,



일본에서 2020 년 12 월 16 일부터 2021 년 1 월 16 일까지 '당신이 생각하는 슬램 덩크에 등장하는 최강 플레이어는? 앙케이드 투표를 한거 같습니다.


결과는

제 10 위 : 신준섭 105 표
9 위 : 김판석 126 표
8 위 : 감독겸 선수겸 김수겸 143 표
7 위 : 강백호 363 표
6 위 : 정대만 402 표
5 위 : 신현철 618 표
4 위 : 이정환 629 표
3 위 : 서태웅  657 표
2 위 : 정우성 858 표
1 위 : 윤대협 1663 표

아무래도 실 능력치는 정우성이 더 위인거 같은데 북산 산왕에서 삽질을 거하게 해서 그런가. 그런데 윤대협 자체가 인기도 많았죠..

5위까지는 이견이 없는데 전 이정환=윤대협>>정우성>>서태웅 순이라고 생각해서 의견이 갈리네요

그리고 기타순위는 11위 송태섭, 12위 채치수, 13위 이명헌, 14위 지학의 별 마성지, 15위, 대영의 이현수 16위 조기중(??그 합숙할때 북산이랑 시합했던 주장입니다.) 16위 풍전의 나대룡, 18위 남훈, 19위 변덕규, 19위 상양 센터 선현준이 투표를 받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niel Plainview
21/02/02 20:24
수정 아이콘
정우성 압도적이죠. 다음이 신현철이고.

산왕전은 전체적으로 너프를 많이 당했다고 봅니다.
포프의대모험
21/02/02 20:24
수정 아이콘
이정환
아웅이
21/02/02 20:26
수정 아이콘
신현철 순위가 좀 낮고 이명헌은 꽤 낮네요.
진건 정우성인데! 크크크
미카미유아
21/02/02 20:27
수정 아이콘
무조건 김판석
21/02/02 20:29
수정 아이콘
윤대협≥ 이정환>정우성>서태웅>신현철
유튜브
21/02/02 20:29
수정 아이콘
윤대협이 얼굴이 최강입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1/02/02 20:31
수정 아이콘
순수 1:1 서태웅 완벽제압은 정우성만이 해낸 위업이죠
각성하고도 반반싸움이었고..
21/02/02 20:31
수정 아이콘
윤대협의 평가가 높은 것은 마치 롤판에서 롤드컵 진출에 실패한 에이스가 오히려 롤드컵에서 훼손당하는 일이 없으니 높은 평가를 받는 것과 유사하네요
21/02/02 20:34
수정 아이콘
투표 자체가 올스타 투표에 가까워서.. 그리고 윤대협 자체가 인기가 꽤 높습니다. 일단 정대만 서태웅 강백호 북산 3인방이 무조건 고정픽 탑 3이고 그 담이 윤대협이거든요.
21/02/02 20:44
수정 아이콘
좋은 비유네요
양현종
21/02/02 21:03
수정 아이콘
윤대협과 정우성을 비교하면
정우성은 능력치 총합에서 1위지만 단점이 하나 있는 선수고
윤대협은 능력치 총합은 밀리지만 완벽한 육각형의 캐릭터죠.
라돌체비타
21/02/02 21:31
수정 아이콘
롤로 따지면 윤대협은 롤챔스 서부리그 중위권 정되는 팀의 AD 포지션이었는데 자꾸 아군 상체에서 터지자 감독이 미드로 포변을 시켰고 이에 완벽하게 적응하여 서부리그 미드에이스들과 자웅을 겨루며 롤드컵 진출전까지 진출하지만 결국 다른 라인 차이로 롤드컵을 못가게 되는 상황이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1/02/02 23:00
수정 아이콘
캬..
21/02/03 16:27
수정 아이콘
딱 옛날 기인 포지션이죠
뽐뽀미
21/02/02 20:38
수정 아이콘
정답! 정우성을 발라버린 이름 모를 흑인 선수.
21/02/02 21:25
수정 아이콘
현실에 가져다대면 그 흑인 선수도 nba 트라이아웃에서 뽑힐지 말지 모른다는게 레알 공포..
뽑혀도 주전으로 뛸 수 있을지도 장담 못함..
21/02/02 20:38
수정 아이콘
정우성, 신현철 > 이정환 >= 윤대협 >= 서태웅 등이죠..

이명헌은 일단 적게나와서 빼도
R.Oswalt
21/02/02 20:39
수정 아이콘
포워드 덩치의 노안 포인트가드 릅 정 환
요기요
21/02/02 20:44
수정 아이콘
정우성이죠.
21/02/02 20:45
수정 아이콘
윤대협 인기는 뭐 한국에서도...
동아리에서 농구할 때 땡땡고 정대만 땡땡고 윤대협 엄청 많지 않았나요
윤대협
21/02/02 20:51
수정 아이콘
정성우
아웅이
21/02/02 21:12
수정 아이콘
??? : 정우성이잖아 바보야!
밀크캔
21/02/02 20:52
수정 아이콘
윤선생
21/02/02 20:55
수정 아이콘
222
21/02/02 20:55
수정 아이콘
신현철>정우성>이정환>윤대협
21/02/02 20:59
수정 아이콘
정우성 신현철 이명헌 쓰리탑에 그 다음이 이정환 마성지 이런 순이라고 봅니다.
라돌체비타
21/02/02 21:02
수정 아이콘
뭐 윤대협이 이정환피셜로 본인과 거의 동일한 수준까지 올라갔다고 가정하면 저 순위가 이해가 안되는 건 아닌... 전국대회 준우승까지 캐리한 원맨과 동급이니 흐흐
21/02/02 21:35
수정 아이콘
윤대협의 일본이름이 센도아키라 인가 보네요.. 일본 이름도 멋있네
네오크로우
21/02/02 21:39
수정 아이콘
윤대협은 앞으로도 더 성장 가능성이 커 보이는 플레이어라 생각돼서 전 윤대협~
김연아
21/02/02 21:51
수정 아이콘
조재중
21/02/02 22:00
수정 아이콘
윤대협의 포인트가드 활약이 더더욱 1:1이 아니면 정성우에게 밀릴일이 없다고 생각하게하죠
신현철 이정환 윤대협 순으로 봅니다
한방에발할라
21/02/02 22:07
수정 아이콘
농구는 결국 빅맨의 위력이 절대적이고 신현철은 고딩 때 바로 대학리그 가도 탑3에 꼽힐 수 있다는 개사기 실력에 3번부터 5번 롤이 다 소화가능한 다재다능함까지 갖춰서 신현철이라고 봅니다.
Bruno Fernandes
21/02/02 22:21
수정 아이콘
윤대협이 너무 멋있게나와서 윤대협
올해는다르다
21/02/02 22:28
수정 아이콘
이름모를 흑인인걸로 종결된거 아니었습니까
21/02/02 22:34
수정 아이콘
압도적으로 정우성
1등급 저지방 우유
21/02/02 23:01
수정 아이콘
저도 정우성에 한표. 그다음엔 신현철, 이정환 순
서현고객님
21/02/02 23:31
수정 아이콘
윤대협 좋아하지만 윗분 댓글대로 더 상위 무대에서 훼손당하지 않고, 좋은모습만 보여주고 마무리되어 계속 언급되는 16스코어 보는 느낌이 강하네요 확실히. 스코어 최고의 해는 말할것도 없이 18인데 조사해보면 16 언급 굉장히 많이 나오는것처럼요.
21/02/02 23:48
수정 아이콘
작중에서 그 윤대협이 유일하게 자기보다 위라고 인정한게 정우성 아닌가요.

북산이 산왕 이기는게 막판 주력 스토리다보니 너프당한게 많죠..설정대로 실력 발휘하면 산왕이 당연히 이겨야 하니까..

저는 설정이나 작중에서 보여준거나 신현철 뽑습니다.
와신상담
21/02/02 23:52
수정 아이콘
만화 내 직접적인 설명 보면 닥치고 신현철이랑 정우성 투탑이고 이 둘 우위는 모르겠습니다. 한 명은 일본판 ad고 또 한 명은 그냥 작가가 써놨잖아요 최고라고.
근데 작품이 꼭 작가의 의도대로 흐르지도 독자가 받아들이지도 않아서 위의 설명에 균열을 주는 인물이 있죠. 이정환은 생각보다 해남 나머지 묘사가 구려서 본의아니게 슈퍼 크랙이 됐고(+전국대회 준우승이라는 커리어) 그 이정환이 나랑 비슷한가? 의문 품는 윤대협도 그러했구요. 거기에 이건 그냥 제 근거없는 개인 감상인데 강백호가 벽을 느끼고 패배후 성장의 발판이 될 인물로 김판석 나온 것 같거든요? 완벽한 강백호 판박이라서.
21/02/03 02:44
수정 아이콘
만화상 직접적 설명은 정우성 압도적 원탑이고 심지어 2인자도 최동오죠. 정우성만 없었으면 어느팀을 가더라도 에이스라고 만화상에 언급이 되니까요.
이정환이 실제 의도와 달리 사기 유닛처럼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현철도 그렇게 보이는 거죠.
심지어 만화상 스탯 따져보면 신현철은 후반 2득점에 불과하고 전후반 합치면 채치수랑 스탯이 비슷합니다.
한방에발할라
21/02/03 11:12
수정 아이콘
최동오는 고교 어느 팀에 가도 에이스지만 신현철은 지금 그냥 당장 대학리그 가도 탑3라는 국가대표의 평가가 나옵니다. 정우성 아버지도 정우성이 산왕에 와서 신현철이나 이명헌 같은 애들이 있어서 중학생 때처럼 고독하지 않아서 좋다고 하고요.
21/02/03 21:50
수정 아이콘
최동오가 산왕에서 에이스가 아닌 이유는 신현철 이명헌 때문이 아니라 정우성 때문이라고 나오니까요
배경설정만으로는 최동오가 신현철 이명헌보다 윗급이란 말이죠.
대학 top3 센터라는 말은 산왕의 타 포지션 선수들이 대학가면 어떨거란 언급이 안나왔고요.
한방에발할라
21/02/03 22:0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최동오 포지션이 정우성이랑 같은 가드고 학년도 같으니까요. 최동오는 정우성에 밀렸지만 이명헌 신현철은 정우성이랑 나란히 언급되면서 이런 애들이 있어서 정우성이 중학생 때처럼 엇나가지 않을 수 있었다고 나옵니다. 그냥 작중 언급만 봐도 신현철 이명헌 정우성은 산왕에서도 특별한 케이스에요.
21/02/03 22:47
수정 아이콘
포지션은 상관이 없죠. 센터나 포워드는 에이스 하면 안되나요? 더군다나 정우성이 가드라고 어디 나와요?
특별하다 같은 두루뭉실한 표현이랑 직접적으로 정우성만 없으면 에이스다는 다르죠.
한방에발할라
21/02/03 23:02
수정 아이콘
정상적인 독해를 한다면 그 문장을 누구도 최동오가 산왕 2인자라고 읽지 않죠. 아래 초록님 말처럼 정우성이 있어서 에이스가 못되는 포지션 2인자, 하지만 작중 나온 말처럼 다른 학교 가면 에이스 할 수 있는 실력자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이미 작중에서 신현철 이명헌은 정우성이랑 같이 엮여서 취급 받았고 신현철은 거기에 그냥 현재 대학가도 top3라는 말까지 나왔는데 최동오는 대학은커녕 그냥 고교리그만 봐도 자기 포지션에서 top3 못됩니다. 얘가 이정환이랑 윤대협, 마성지, 이현수보다 위긴 힘들죠. 그리고 참고로 슬램덩크 저 시기에는 일본에 프로농구가 없을 때입니다. 그러니까 저 말을 지금 기준으로 보면 신현철은 당장 드래프트 나가도 1순위 경쟁이 된다는 말이나 다름없는 말이에요....;;;;;
21/02/03 23:31
수정 아이콘
프로는 없었지만 실업은 있었는데 뭔 소립니까;;;
그럼 97년 이전까지 프로농구 없었으니까 농대나 대통령배가 있든 말든 고교 상위랭커가 드래프트 1순위에요?
심지어 작중에 제대로 묘사도 안되고 고작해야 경태가 윤대협 비슷한 느낌이라 말한게 고작인 이현수까지...

이 문제 떠나서 정상적 같은 말은 절대 하면 안되는 표현 같습니다
그 말은 너는 정상이 아니라는 말이잖아요.
님 생각처럼 제가 정상적 독해도 못하는 놈이면 왜 상대를 하고 게신데요?
말 좀 가려서 합시다.
21/02/03 13:54
수정 아이콘
전 만화 배경적 설정으로는 최동오보단 신현철이 우위죠,

안감독이 센터 - 포워드 - 가드에서 에이스급 선수들이 있다고 얘기한 것도 신현철 정우성 이명헌이고
정우성이 중학교땐 쓸쓸했으나 고등학교 때 와선 괴물들이 있다고 좋아했던 실루엣도 신현철 이명헌이죠.
신현철은 대학에서도 탑이라는 평가도 있고

전 최동오 에이스드립은 이 놈이 산왕 2인자다가 아니라 산왕이 아니면
다재다능해서 어디가도 남훈처럼 에이스 가능한데
여기라서 교체도 당하고 쩌리로 보인다라는 작가의 쉴드처럼 해석했습니다.
이웃집개발자
21/02/02 23:55
수정 아이콘
신현철 아닐런지
21/02/03 02:42
수정 아이콘
정우성을 쳐바른 흑인 vs 채치수 스카우트 하러 온 국대 센터 심강훈

이둘이 1~2위죠.
아저게안죽네
21/02/03 13:16
수정 아이콘
능력치를 게임처럼 수치화 하면 종합 1,2위는 신현철 윤대협이겠죠.
21/02/03 16:28
수정 아이콘
수치화하면 정우성 아닌가요? 만화니까 진거고 게임처럼 능력치로하면 설정상 수치인데?
아저게안죽네
21/02/03 19:20
수정 아이콘
게임 밸런스상 아무리 정우성의 1대1 능력이 압도적이라고 해도 서태웅 윤대협에게
1대1 능력치를 80 밑으로 줄순 없으니 정우성이 100이면 윤대협은 못해도 80 중반에서 90은 되겠죠.
반면 패스와 팀플레이 관련 능력치가 아예 없는 정우성이
종합 능력 수치에서 우위를 점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더해서 멘탈 관련 능력도 정우성은 바닥이라서요.
21/02/04 03:42
수정 아이콘
그냥 작가공인 최강자인데 게임상 수치가 더 낮을수가 있나요? 작중 패스와 팀플레이를 안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죠
애초에 농구게임이라치면 팀플레이가 선수 개인 능력치에 들어갈게 있나 싶기도하고 패스를 못한다는설정이 아닌데요
아저게안죽네
21/02/04 10:29
수정 아이콘
패스와 팀플레이를 하냐 안 하냐는 대부분의 농구게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요.
어시스트 수치나 패스 성공 홧수 같은 패스 관련 스탯이 패스 능력치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패스를 안하는 정우성이 해당 능력치가 높을 수가 있을까요?
실제로 패스를 제법 할줄 아는데 성향상 안하는 거다는 게임상으로는 패스능력이 없다와 동일한 의미라고 봐야죠.
21/02/03 21:52
수정 아이콘
정우성이 패스를 못하는게 아니죠
패스 할 필요가 없는 거지. 더군다나 작중에서도 패스를 아얘 안하는건 아닌데...

정우성이 플로터만 쏴도 막질 못 하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326 [서브컬쳐] [슬램덩크] 의외의 사기 캐릭터 [41] roqur6431 24/04/11 6431
484981 [서브컬쳐] 마이클조던보다 농구 잘함 [29] roqur12164 23/08/14 12164
474948 [서브컬쳐] 30초 늦었다고 게임 던지는 선수 [33] 피죤투9217 23/03/03 9217
474542 [서브컬쳐] 부기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 리뷰 [33] 제가LA에있을때9949 23/02/25 9949
473149 [서브컬쳐] 채치수 변덕규 때문에 빡친 서장훈 [37] KanQui#19012 23/02/06 9012
471200 [서브컬쳐] 잊을만 하면 나오는 슬램덩크 최대 논쟁 [116] Karolin13438 23/01/09 13438
470794 [서브컬쳐] 슬램덩크 극장판 빠진 장면 모음 [47] roqur9051 23/01/04 9051
468219 [서브컬쳐] 슬램덩크 극장판 산왕전 확정 [33] Fin.11214 22/11/30 11214
466699 [서브컬쳐] 일본 소년점프 최신판 근황 [28] 아케이드12151 22/11/09 12151
466275 [서브컬쳐] 극장판 슬램덩크 예고편 [35] 껌정8724 22/11/04 8724
465478 [서브컬쳐] 번역을 빼앗긴 자들 [13] 세츠나10266 22/10/25 10266
463880 [서브컬쳐] [슬램덩크] 실제 경기에서 이러면 퇴장감 아닌가요? [21] 베라히10375 22/10/03 10375
463361 [서브컬쳐] [만화] 슬램덩크 최고의 무리수 [22] 이탐화11494 22/09/26 11494
462120 [서브컬쳐] 새로 나온 슬램덩크 밸런스 게임 [51] 닭강정10298 22/09/10 10298
454896 [서브컬쳐] (스포주의) 프로야구생존기 근황 [187] roqur7800 22/05/25 7800
448061 [서브컬쳐] 반지의 제왕 드라마에 대해 현재까지 밝혀진 이야기들 [36] EpicSide9847 22/02/11 9847
435749 [서브컬쳐] 표절 시비를 벗어나는 완벽한 표절 방법.jpg [23] 삭제됨9018 21/10/07 9018
432355 [서브컬쳐] 모 영화평론가, 르브론이 조던을 뛰어 넘었다고 평해.. [17] 길갈8264 21/09/05 8264
412242 [서브컬쳐] 당신이 생각하는 슬램 덩크에 등장하는 최강 플레이어는?' [55] bluff9948 21/02/02 9948
408927 [서브컬쳐] [슬램덩크] 북산에서 가장 평범한 남자 [57] roqur10448 21/01/01 10448
388968 [서브컬쳐] 하승진의 쿠로코의 농구 리뷰 [6] 이호철10272 20/06/14 10272
376219 [서브컬쳐] 흔한 카드 구매 인증 [41] terralunar9168 20/02/06 9168
370350 [서브컬쳐] 슬램덩크 떡밥 [49] 키류11377 19/11/27 113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