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1/30 13:00:18
Name 마늘빵
File #1 제목_없음.jpg (297.0 KB), Download : 72
출처 mlbpark
Subject [유머] 예전에 비해 결혼을 잘 안하는 이유..jpg


끄덕 끄덕..
tv 방송국 신문언론부터 좀 없애구 봐야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추리왕메추리
21/01/30 13:03
수정 아이콘
일단 결혼을 차치해도 연애부터 안되는 사람이 많아서...
아케이드
21/01/30 13:05
수정 아이콘
그쵸 결혼 이전에 연애율 자체가 낮아진 거 같은데 말이죠
21/01/30 13:32
수정 아이콘
제 생각도 비슷합니다. 연애하는 사람의 절대적인 수가 엄청 줄어든 것 같아요. 저만 해도 그렇고 뭐...
이라세오날
21/01/30 15:16
수정 아이콘
연애도 같은 원인이지 않을까 합니다
가명남
21/01/30 13:04
수정 아이콘
남자 집이 없어서 여자가 결혼 안한다는 건 저 글 쓴 사람 본인 생각 같은데..
21/01/30 13:14
수정 아이콘
Pgr에도 출산율 이야기 나오면 제일 먼저 이야기 나오는게 집값이죠
다리기
21/01/30 13:41
수정 아이콘
남자 집 얘기는 아니죠
21/01/30 2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집을 완전 사가지고 와야한다는 말이면 틀릴 수 있지만, 남자가 대부분의 지분을 져야된다는 말이면 맞죠. 신혼 부부 통계만 보셔도 50:50은 거의 없고 남자 지분이 훨씬 더 큰데요.
다리기
21/01/30 21:47
수정 아이콘
출산율 이야기에 따라오는 집값 이야기는 남자가 부담이라 결혼 안한다는 논조보다는
그냥 집값이 너무나 올라서 젊은 사람들이 부담을 갖는다는 맥락이지 않나요.
실제로 남자가 집값에 비교적 부담이 큰 사실이랑 별개로요.
21/01/30 21:58
수정 아이콘
부담을 갖는게 대부분 남자니까요. 여자는 집값 올라도 자기가 돈 모아서 보태겠다는 관념이 별로 없죠.
물론 모두가 그런건 아닙니다. 제 고등학교 동창여자애들만 봐도 알뜰히 모아서 결혼시 집값에 보태는 사람들은 있죠.
그런데 통계 보면 아시겠지만 그런 경우는 적고 대부분 남자 부담이에요. 남자 부담이 아니라 젊은 사람 부담이라고 말하고 싶으시면 여자도 돈 모았어야죠. 남자는 군대 때문에 2년 늦는데 비슷하게(여자가 남자보다 나이가 적은 경우가 많으니) 부담해야죠.
혼인적령기 여자에게 선 주선해보시면, 남자가 집 준비할 수 있다, 서로 준비해야 한다에 따라 반응 차이 많으실텐데요
티모대위
21/01/30 13:05
수정 아이콘
매체의 영향이 엄청 크긴합니다.
결혼 안하는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압축하면 대략 좁혀지는게 이거더라고요.
[남들처럼 갖추고 살지 못할것 같아서 결혼 못하겠다]
근데 그 '남들처럼'이라는 기준을 사람들 머리에 박아주는게 각종 매체와 SNS죠.
아무렴, 우리 부모님 세대가 단칸방에 애 둘 키우던 시절보다 힘들겠냐마는... 그런걸 요즘 사람들은 못 견디죠
그 닉네임
21/01/30 13:11
수정 아이콘
타 국가에 비해서 결혼을 안하는 이유는 제 생각엔
여성 임금이 옛날에 비해서 많이 올라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남자가 여자보다 능력이 뛰어난 형태의 결혼이 많다는 점입니다.
내배는굉장해
21/01/30 13:12
수정 아이콘
매체들에 나오는 걸 봐도 이 상황인데도 딱히 결혼이나 아이 출산 이런 걸 장려하지 않죠. 지금 어린 세대들이 지금 매체들을 볼 걸 생각하면 한 바퀴 돌아서 한 삼십년은 지나야 출산율이 오르든 뭐든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1/01/30 13:12
수정 아이콘
전 좀 진심으로, 정부차원에서 나서서 결혼-출산에 대한 프로파간다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구체적으로는 결혼과 육아생활에 대한 방송에 좀더 지원을 해준다던가, 방송이 일정 퍼센트는 가정을 소재로 하게끔 한다던가요;;
방송의 영향이란게 생각 이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계층방정
21/01/30 13:19
수정 아이콘
위의 티모대위님 댓글과 함께 아우르면, '남들처럼 갖추고 살아야 함'의 기준을 낮추는 것을 유도하는 방송이나, '남들처럼 갖추고 살지 않아도 됨'을 유도하는 방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앞쪽은 사다리 걷어차기 하는 위선자들의 뻔뻔함으로 비춰지기 쉽고, 뒤쪽은 오지랖 넓은 한국 문화에 정면대항하는 거라(개인주의를 내세우는 젊은 세대들조차 다둥이 가정들에 대해선 자신들의 어릴 적에 감정이입해서 이래라저래라 오지랖이 넓죠) 둘 다 어려워 보이네요.
아케이드
21/01/30 13:25
수정 아이콘
갖추지 않은 삶은 그림이 안 나와서... 방송국이 꺼릴 거라고 봅니다
21/01/30 13:57
수정 아이콘
인간극장...
Lord Be Goja
21/01/30 13:51
수정 아이콘
그런흥행요소와 PPL을 넣기 힘든 구도는 힘들거같습니다
우결부터 최근의 관음형 방송들 보면 은근히 그런거 많이 넣더군요
김유라
21/01/30 13:28
수정 아이콘
까놓고 이야기하면, 정부도 관심 별로 없죠. 관심이 있었다면 여가부의 정책 보고 뒤집어졌을 겁니다.

뭐 하는 시늉은 하는데... 이미 외국인들 불러오는게 더 수지가 잘 맞는다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1/01/30 13:37
수정 아이콘
저도 윗분 말씀에 동의합니다. 저번에 올라온 자게글대로 정치인들은 그냥 어차피 노답이라고 판단하고 이민자 받을 생각 하고 있으리라 봅니다. 솔직히 노답이라는 것도 맞는 것 같구요.
네버로드
21/01/30 13:13
수정 아이콘
반대로 예전에는 나이 먹어서도 결혼 못한 사람에 대해 압박이 지금보다 훨씬 심했던 것도 사실이죠.
그런 사회적 압박이 심하다보니 당연히 결혼해야 되는걸로 생각하는 면도 있었고요.
스테비아
21/01/30 13:18
수정 아이콘
정책으로는 어렵고 문화적으로 접근해야 가능성이 보입니다. 문화승리가 답이다!
21/01/30 13:22
수정 아이콘
시대가 바뀐 거죠. 시류를 역행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한두명도 아니고 수백 수천만명의 생각이 바뀐 것인데, 이걸 단순한 매체, 정치, 단체 때문이다라고 생각하는 건 너무 문제을 단순화 시킨게 아닌가 싶네요. 아무리 작정하고 선동을 해도 이렇게 장기적인 추세와 극적인 모습 둘다 보여주기 어렵죠.
계층방정
21/01/30 13:2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출산장려 정책은 시기가 많이 늦었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 같기도 합니다. 늦어도 1990년대 시절부터는 시작했어야 한다고... 저출산 문화 자리잡게 한 것도 수십 년간의 정책의 결과니까요.
21/01/30 21:44
수정 아이콘
매체, 정치, 단체가 장기적으로 이 방향으로 밀어서 이쪽으로 관성이 생긴거라 봐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1/01/30 13:27
수정 아이콘
요즘은 셋방살이 결혼 이런 거 거의 없긴하져. 그냥 결혼 안하고 말지.
다리기
21/01/30 13:43
수정 아이콘
티비에 결혼하고 육아하는 프로그램 나오는 게 역효과 같아요.
집도 크고 부족한 게 없어보이는 사람들만 보다보니 눈도 높아지고..
Lord Be Goja
21/01/30 13: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학재수해서 들어가고 ,그 대학에서 다른 대학으로 편입한후에 공무원공부하던 제 친구가 연예관계가 저 단계마다 한번씩해서 세번깨졌는데 결국 만35살에 공무원 붙고나니 3달사귄사람이랑 결혼을 하더군요.
사랑해서 결혼하는 사람이많다만큼 추상적인게 어디있나 싶습니다
경제적격차나 원하는 조건의 문제로 사랑이 흔들리거나 구성을 못할수도 있는건데요.
짝의 능력을 보는건 짝을 짓는 다른 동물들도 (싸튀 말고 같이 육아하고 살아가는) 많이 보여주는거라 속물적인게 아니라 본능적인겁니다.

집이야기도,40년전에 정릉 달동네에 살던 커플은요 7년 고생하면 전세로라도 단독주택,3년더 고생하고 작은 아파트갈수 있었습니다.
이 남자와 결혼하면 10년 20년후에도 그러고 살거라고 생각했다면 장인어른이 허락했을까요?
10년전에 서울 바깥에서 출퇴근 하던 커플이면 10년 맞벌이하면 서울의 직장근처에 마련할수 있었겠죠.
하지만 요즘 이 추세가 계속되면 처음 스타팅을 벗어날수가 없을거에요.
댓글자제해
21/01/30 13:57
수정 아이콘
한때 이혼율 엄청 높았잖아요 그때 다들 안거죠
그리고 결혼을 꼭 해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이제 없죠
스덕선생
21/01/30 14:01
수정 아이콘
정부가 걱정하는건 엘리트 계층의 출산율이지, 저같은 일반인들의 출산율은 솔직히 강건너 불구경하고있죠.
적당히 외국인들 데려와서 단순노동계층만 당기면 된다는 마인드인데요 뭐.
21/01/30 14:05
수정 아이콘
마인드는 왜 바뀌었을까요 크크
제 주변에 20대 후반에 오래사귄애들이 갑자기 깨진 케이스 많이봤습니다 실제로는 더 심해요
21/01/30 14:07
수정 아이콘
형주가 위험합니다!
MissNothing
21/01/30 14:35
수정 아이콘
좋든 나쁘든 예전엔 정보도 부족햇고 선택지도 적었으니까요. 안그래도 예전부터 주변 오지랖때문에 결혼 파토나는게 우리나라였는데 정보가 넘쳐나니 오지랖 수준도 올라가는거죠 크크
21/01/30 14:36
수정 아이콘
결혼 안해도 섹스가 가능하니까요. 예전에는 그게 쉬쉬하거나 터부시하는 분위기였구요. 단순한거 아닌가요?
가만히 손을 잡으
21/01/31 10:52
수정 아이콘
일리가....있어!
21/01/30 14:36
수정 아이콘
남자여서 여자 입장은 모르겠고 제 경험에 비추어보면 결혼 할 시기에 깨지는 이중 7~8은 돈 때문 입니다.
그 중에 9는 남자가 가진 경제력이 부족해서였구요.
알라딘
21/01/30 14:57
수정 아이콘
돈때문이죠.. 사실.. 가정불화의시작은 돈
내맘대로만듦
21/01/30 14:48
수정 아이콘
근데 인터넷만 들어오면 '요새는 반반'이니..'사실은 돈문제가 아니'니..하는데
제 주변에 결혼하는 사람중에 남자가 집값 대부분 부담 안하는 경우 한번도 못본거같아요.

하긴 수십만명 모이는 인터넷에서 박박 긁어야 두세건 나오는 경우니까 당연히 그러려나요 크크
경제적부담 반반이나 그 이하로 결혼하신분들은 진짜로 사랑이 넘치는 부부라고 봐야죠.

저도 몇번 좀 만남이 진지하게 진행된적 있었는데 저는 딱히 '빚은 없지만 집에서 줄것도 없다. 우리 둘이서 처음부터 해야됨'이라고하면 대부분 그때부터 관계진전 더이상 안되다가 깨지게 되더라고요. 제가 못나서 그런거일수도 있고..
pc방 점장
21/01/30 15:02
수정 아이콘
결론은 돈
묘이 미나
21/01/30 15:17
수정 아이콘
출산율 대책으로 왠지 사유리 푸쉬 들어갈거같은 예감
라프로익
21/01/30 15:17
수정 아이콘
양극화심화,미디어,sns로 돈,조건 보는게 더 심화되고 있는데 끄덕끄덕이라뇨. 이미지관리에 목숨걸고 있어서 티안내려 노력하는거 뿐입니다.
꽃돌이예요
21/01/30 15:20
수정 아이콘
핸드폰으로 보는데 제가 눈이 나빠진건가 글씨가 작은건가 진짜 안보이네요
라라 안티포바
21/01/30 15:24
수정 아이콘
연애 자체가 줄어든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봅니다. 굳이 사람 장단 맞춰주지 않아도 재밌게 놀 수 있는 컨텐츠가 많아요.
점점 개인주의가 퍼진 몫도 있다고 보구요. 집안, 조직의 구성원이기보다 한 개인에 초점을 맞추는 사고가 늘어났습니다.
국가적 프로파간다가 어쩌니해도 대세를 역행하긴 어려웠을거라고 봅니다.
돈, 집 이런 얘기는 일단 결혼 생각이 있는데 못하는 사람들 얘기기도 하고, 이 부분도 결국 앞서말한 부분으로 기회비용이 커지게되면서
'어중간한 조건에 타협할바에 그냥 혼자로 지내지 뭐'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문턱이 낮아진 셈이고요.
이혜리
21/01/30 15:27
수정 아이콘
월급이 많지 않은 사람은 삶이 더 퍽퍽 해지고,
월급이 많은 사람은 혼자서 더 재밌는 일이 많은데 굳이 해야 하나 싶고.

일단 세상에 재밌는 일이 너무 많아요.
결혼, 육아라는 건 진짜 나를 어느정도 내려놓고 포기해야 하는거라.
플레인
21/01/30 15:27
수정 아이콘
돈문제야 뭐 당연한거고.. 비교가 너무 쉬운 환경이 됐어요. 방송과 sns는 화려한 결혼생활과 육아만을 보여주니 내가 저게 될까 생각하면 한숨나오죠.
인터넷 커뮤니티는 그 생각을 더더욱 부추겨요. 일단 결혼에 부정적인거는 깔고가고 사정이 좀 어렵거나 빠듯하다 싶으면 비난을 넘어 멸시 수준..
21/01/30 15:39
수정 아이콘
결혼율, 출산율 떨어지는 걱정은 정작 결혼 안 하는 사람들이 한다는 아이러니가..
유념유상
21/01/30 15:40
수정 아이콘
한동안 유행한 유아방송이 독이 된거죠.. 너무 비교가 되서.
21/01/30 15:42
수정 아이콘
부모님 세대는 어머니는 육아에 몸을 갈아넣고
아버지는 가족부양에 몸을 갈아넣었지만,
그때는 고도성장기라 이러다보면 좋아진다는 희망이 있었어요.
하지만 이제는 그런게 없죠.
희망이 없으니 현재 넉넉하지 못하다면 그냥 포기하는 겁니다.
계층 사다리는 사라지고, 좋은 직장은 부족하고,
젊은세대는 돈없이 시작해도 뭔가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이 전혀 안보입니다.
결국은 돈이 없고 희망이 단절된 세대에게 결혼과 가정은 남의 이야기죠.
어바웃타임
21/01/30 15:55
수정 아이콘
요즘이 무슨 독재시대도 아니고

티비는 원인이 아니라 결과죠
당근케익
21/01/30 16:42
수정 아이콘
이걸 매체탓 하는 것도 웃깁니다
부모세대는 잘만 단칸방에서 시작했는데~ 이런 얘기에 동의할수없는게,
그 시절엔 그래도 원래 부모랑 살때랑 다를바가 없었거든요 그 생활이
오히려 그땐 형제도 많으니 단칸방에 부모+형제 옹기종기보다 와이프+아이 이렇게 시작하는게 오히려 낫다?고 볼 점도 있겠죠

근데 지금 세대, 80년대생 이후?를 보면
부모님과 떨어지는 순간 생활수준이 떨어집니다
지금 집값이 올라서 더 뚝뚝 떨어지겠죠
물론 결혼하면서 부모님이 집이며 혼수며 멋진 결혼식이며 다 도와줄 수 있으면 다른 얘기겠지만
평범한 중산층 이하부터는 아니잖아요
계산기를 두들겨보니 답 나와서 안 하는건데, 매체가 부추겼다는건 너무 사람들을 바보취급하는게 아닌가..
시린비
21/01/30 16:52
수정 아이콘
육아방송 하나도 없었으면 추세가 달랐을것인가?
전 아니라고 봅니다.
바알키리
21/01/30 18:02
수정 아이콘
얼마전 월소득 천만원도 쓸게 없다는 글에 댓글 달리는거보니 젊은 사람들 결혼하기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21/01/30 18:14
수정 아이콘
매체탓이라고 느낄수도 있습니다
매체는 세대를 반영하니까
하지만 매체가 세대의 경향을 더 부추기는것도 확실합니다.
21/01/30 18: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거 자체가 옛날 생각이죠. 안할 이유 찾자면 한도 끝도 없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3473 [유머] 개자지 [13] 이호철10706 21/02/15 10706
412363 [기타] 통계청이 인증한 한국 세대 구분.jpg [71] VictoryFood13420 21/02/04 13420
411904 [유머] 예전에 비해 결혼을 잘 안하는 이유..jpg [54] 마늘빵15815 21/01/30 15815
411589 [스포츠] 의외로 한국의 보물 [21] 추천11019 21/01/27 11019
409052 [텍스트] 5ch 번역-넷우익이었던 나의 대학 청춘 시절wwww [18] 추천10852 21/01/03 10852
408828 [기타] 손바닥만한 E-ink는 가라 25인치 e ink모니터 [17] Lord Be Goja12160 20/12/31 12160
407776 [서브컬쳐] 옛날 여학교의 낭만 [5] 드라고나12733 20/12/20 12733
404971 [유머] 런던을 공황상태에 빠트린 라디오 방송 [2] ESBL11805 20/11/24 11805
404611 [유머] 90년대 학교.. 자발적 구매 3대왕 [77] 끄엑꾸엑13189 20/11/20 13189
402914 [유머] 15살.. 걸그룹..합성사진....jpg [34] 끄엑꾸엑16386 20/11/05 16386
402677 [기타] 당신의 선택은? [15] 집돌이10787 20/11/02 10787
401453 [유머] 어느 신문사의 아이린 기사에서 생략된 부분.jpg [6] TWICE쯔위13134 20/10/22 13134
400941 [유머] 우리나라 사기 1위인 것이 사기 [16] 모쿠카카13636 20/10/18 13636
400466 [유머] 오늘 신문기사를 도배할 뉴스입니다. [28] 끄엑꾸엑12164 20/10/14 12164
400458 [동물&귀욤] 15살 신문배달부 [3] 흰긴수염돌고래8093 20/10/14 8093
399951 [유머] 가장 신뢰하는 언론매체로 ‘유튜브’가 꼽혔다 [69] 와칸나이12822 20/10/09 12822
399367 [서브컬쳐] 1권 임팩트 한정, 역대 최고 만화.jpg [62] TWICE쯔위14155 20/10/03 14155
398608 [기타] 외면받는 우익교과서 [19] 불행14964 20/09/25 14964
397746 [게임]  2년만 구독 해주시면 게임기 드립니다.!(신문광고X) [25] Lord Be Goja10791 20/09/16 10791
396713 [유머] 어릴때 수집하고 싶었던 만화책.jpg [18] 꿀꿀꾸잉10616 20/09/06 10616
396267 [기타] 장기 집권후 퇴출.. [10] Lord Be Goja10820 20/09/02 10820
395810 [기타] 1930년대 동아일보의 Q&A 코너.txt [42] 피잘모모15754 20/08/27 15754
395791 [기타] 금요일 3시 (신대륙기준)에 발표한다는 신 사업 [27] Lord Be Goja11873 20/08/27 118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