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1/04 12:14:57
Name 파랑파랑
File #1 9bad992a34d5763c4ff464facc59804d.jpeg.jpg (1.19 MB), Download : 83
출처 개드립
Subject [유머] 각종 시험 공부량.jpg



마지막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olarBear
21/01/04 12:16
수정 아이콘
Cpa..기억폭행이네요ㅠㅠ
그랜드파일날
21/01/04 12:17
수정 아이콘
CPA만 해도 기본 인강만 듣다가 1년 다 쓴다는데 사법고시는 기본 진도만 몇 년 걸리는건가요?
일반상대성이론
21/01/04 12:20
수정 아이콘
박사졸업하려면 논문을 얼마나 읽어야할까...
공항아저씨
21/01/04 12:21
수정 아이콘
사법시험 저 사진은 두 장 다 동일인이라는게.. 저 사람이 유난히 많이 본 편이라고 밝히긴 했던걸로 기억하긴합니다
답이머얌
21/01/04 12:22
수정 아이콘
사시에 비하면 의대 교재량이 무척 적군요.

이외에도 부교재 등으로 봐야할 책이 많은가 봅니다.
Meridian
21/01/04 12:25
수정 아이콘
보니까 피피티 인쇄물로 저정도인듯 크크
교과서 쌓으면 엄청 많을거에요
요약본이 저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듯 크크
시시포스
21/01/04 12:42
수정 아이콘
교과서가 하나도 없네요. 교과서 다 쌓으면 사법고시 아슬하게 안되려나..
공항아저씨
21/01/04 12:23
수정 아이콘
저는 행시만 되어도 엄청나다는 생각을 하는데.. 100명 뽑던 시절 사시는 어떻게 합격한걸까요 다들..
다레니안
21/01/04 12:24
수정 아이콘
CPA 호기롭게 도전하는 친구들 1/5도 못 훑어보고 떨어져나가죠. 크크
21/01/04 12:33
수정 아이콘
회계원리: 쉽네!
중급회계: 재밌네!
세법: GG!
맘대로살리
21/01/04 15:58
수정 아이콘
요즘에는 IFRS에서 대부분 떨어져 나간다는 소문이...
실무와서도 IFRS좀 하다가 encharge되려고 할때 쯔음 다들 다른곳 갑니다...TAX나 Deal, Advisory....

실무하다보면 TAX까지 포함해서 넓게 아시는 audit분들이 없시요..살려줍메~
당근케익
21/01/04 16:02
수정 아이콘
저는 세법도 할만했는데
상법에서 gg
Lovelinus
21/01/04 13:32
수정 아이콘
커리큘럼 상 세법 시작 할 때 쯤...
판을흔들어라
21/01/04 12:26
수정 아이콘
행시 1차인 PSAT는 좋은 머리만 준비하시면 볼펜 하나로도 됩니다?
21/01/04 13:24
수정 아이콘
친구가 6개월 공부하고 붙었더군요.2차는 떨어졌지만..
셀트리온
21/01/04 14:52
수정 아이콘
거의 10년 전이긴 한데 친구 3일 준비하고 붙더군요
21/01/04 12:29
수정 아이콘
의대 저것만 보는게 아닐텐데...
This-Plus
21/01/04 12:31
수정 아이콘
아 보는것만으로 머리아파
이고시스POS
21/01/04 12: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사업드래군
21/01/04 12:43
수정 아이콘
일단 국시 칠 자격을 얻으면 국가고시야 그 정도만 해도 잘 하면 통과할 수도 있는데...
그 전에 의대는 매년 유급 안 당하고 국가고시 칠 자격을 얻을 때까지의 공부량 자체가 엄청나죠.
어바웃타임
21/01/04 12:36
수정 아이콘
CPA 저렇게 공부량이 많으니...
C....PA 소리가 절로 나오겠네요
공항아저씨
21/01/04 12:37
수정 아이콘
행시 사시 이런거 공부에 올인 할 수 있는 집안 환경이 부럽더라구요. 아닌 경우도 있겠습니다만
이런이런이런
21/01/04 12:41
수정 아이콘
덜덜덜...
메디락스
21/01/04 12:45
수정 아이콘
무섭다.... 책에 깔리겠다....
Scavenging Hyena
21/01/04 12:48
수정 아이콘
저런 어마어마한 공부량이 있으니까 법조인, 의사는 고소득 버는거는 인정해 줘야죠.
돈 잘버는 기득권, 적폐로 몰지 말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1/01/04 13: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법조인 의사가 고소득인건 수요공급 문제지 공부량이 다른 학문보다 많아서가 아니져 의사 법조인이 지금의 세배쯤 늘어나면 지금 만큼 못법니다 로스쿨 이후 변호사 평균 수입이 줄어든건 머 잘알려져잇져
Scavenging Hyena
21/01/04 14:10
수정 아이콘
그런 고소득이 보장되니까 저런 어마어마한 공부량을 버티고 하는거죠. 경쟁률도 높고
어떻게 봐도 문과에서 공부량 탑은 사법고시고 이과 공부량탑은 의대가 맞습니다.
고소득 보장이 안되면 그에 맞춰서 경쟁률 낮아질거고 경쟁률 낮아지면 공부 덜해도 되겠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1/01/04 14: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법조계랑 의료계가 경쟁률 낮아진다고 공부 덜해도 된다는게 말이 안되죠. 특히 의료계는 사람 생명을 다루는데 공부덜해도 국시 합격시켜주지 않을텐데여. 의사 판검사는 사회 필수직으로써 다른 직업군에 비해 직업 안정성이 높고 아무리 그래도 소득도 높을테니 경쟁률이 공부덜해도 될 정도로 낮아지지 않아여. 공무원이 고소득이어서 경쟁률 높은게 아니듯이여. 사법고시와 의사가 공부량이 많아 보이는건 면허때문에 한정된 기간에 공부를 몰아서 집중해서 하는 것 때문이지 다른 학문들도 전체 공부량은 못지 않습니다. 본문 사진에 책이랑 노트 쌓아놨던데 석박사들 다 저정도 이상은 공부해여 하지만 그들이 의사 법조인 만큼 벌지는 못하져. 왜냐면 사회에 그만큼의 수요가 없으니까.
Scavenging Hyena
21/01/04 14:38
수정 아이콘
사법고시야 이제 없어졌으니 로스쿨로 보자면 이미 사시시절보다 공부량도 줄었고 실제 합격자 수준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기대소득이 줄었으니 당연한 현상이죠.
의대는 국시가 문제가 아니라 유급이 문제인데 지금보다 의사수 2배로 늘리면 당연히 입학생 수준이 낮아질거고 유급컷은 내려가겠죠.
마그너스
21/01/04 14:44
수정 아이콘
로스쿨 생기고나서 절대적으로 봐야되는 책 자체가 줄어든건 아닌데요 오히려 사시때는 안 보던 후4법 객관식이랑 각종 기록형 시험에 선택법 시험 생각하면 봐야될 양이 줄었다기보다 경쟁 정도가 약해져 공부를 덜하고 합격할 수 있다는거겠죠 아무리 봐도 선후관계가 바뀐 주장 같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1/01/04 15:16
수정 아이콘
공급이 늘었으니 소득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겁니다. 수준이 낮아지는 이유는 소득 때문이 아니라 아니라 제도 문제구여. 현재 로스쿨 돌아가는거 보면 수준이 낮아질 수 밖에 없져. 의대는 유급이 문제라는 건 어차피 국시는 통과한다는건가여? 국시 통과하면 됐지 다른게 더 필요한건지 모르겠네여. 아님 국시에 무슨 문제라도 있는건지.. 사시 1000명 시대의 법조인은 과거 50명100명 할때보다 공부량도 적고 수준도 낮을까여?
양파폭탄
21/01/04 14:08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걍 각종 면허제와 공급조절 때문입니다. 노력대비 수익은 당사자의 보상심리일 뿐이죠.
Chandler
21/01/04 12: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공인노무사는 함정이 좀 있네요 크크

한과목에 관련된 책이 중복으로 흠흠...경영학쪽 과목이 책 하나만 보긴 좀 불안하긴합니다만.. 사실 전 수험서 하나로만 돌리고 교수저는 한개만 딱 한번 봤습니다. 그리고 중간에 스프링노트들은 아마도 학원실전모의고사 자료들인거같네요.

저도 공부했지만 솔직히 양심에 손을 얹어서 공인노무사는 절대적인 공부양자체가 많은 시험은 아닙니다.사실 절대량자체는 제일 적은 편인 전문자격사가아닐지...대신 경쟁률이 치열해서 어디서 짱돌이 날라올지 모르는 시험..
21/01/04 13:04
수정 아이콘
저도 사진 보면서 뭔가 이상한데..? 했네요 크크
중복되는 책도 많아보이고, 반대로 거의 필수지 않나 하는 책들이 없는거 같기도 하고
Chandler
21/01/04 13:08
수정 아이콘
1차때 과몰입한 흔적들이 보입니다 크크..
EffortLucks
21/01/04 13:23
수정 아이콘
통노가 없다니! 로노해가 없다니! 크크
21/01/04 14:43
수정 아이콘
통노가 방강수저 인가요?
저는 노동법은 임종률+로노해 두권만 봐서..
Chandler
21/01/04 16:42
수정 아이콘
넵 방강수박사님책이요.

수업을 안들어도 수험서론 통노가 괜찮죠. 김기범들으면서도 통노책으로 듣는분들도 많이봄.
Chandler
21/01/04 16:41
수정 아이콘
통노는 7판이 보이네요 흐흐

지나놓고 생각해보니 로노해는 굳이 왜봤나 싶기도 해요 크크 더럽게 안읽히는데
마그너스
21/01/04 13:27
수정 아이콘
사시도 중복되는게 많을겁니다 아마 조금씩 다른 부분들이 있으니 참고하고 단권화하는거겠죠?
Chasingthegoals
21/01/04 12:51
수정 아이콘
원희룡이 그랬었나요..
운동권에 오래 있다가 마음 잡고 2년 만에 최상위권 성적으로 사법고시 합격한게 진짜...
꾸라사랑
21/01/04 12:59
수정 아이콘
그래도 공부할때가 더 좋았던거 같군요 허허...
술라 펠릭스
21/01/04 13:03
수정 아이콘
행시분은 피지알러이셨습니다. 피쟐에 올란 인증샷이네요
너도그렇게생각하지?
21/01/04 13:05
수정 아이콘
Cpa가 중복없이 저렇겠나 많나요???
와 한번 도전해보고싶었는데 꿈도 꾸지말아야겠네요
21/01/04 13:36
수정 아이콘
최근 트렌드는 잘 모르지만 스탠더드가 기본서(강의노트) + 1차 대비 객관식 + 2차 주관식 인데 크게 중복은 없어 보입니다.
셀트리온
21/01/04 14:53
수정 아이콘
cpa는 저도 쌓아봤었는데 막상 쌓고 보니 좀 심하더군요 저 정도면 맞을 듯
유목민
21/01/04 13:06
수정 아이콘
의대는 교재 빼고 써머리만 모아논듯
그나마 이과쪽이라 문과보다야

다른 직역은 안겪어봐서 난이도 상상이 잘 안됨.
친구들 중 저 시험들 중에 한 곳들에 끝끝내 안되서 연 끊고 은둔한 친구들이 한둘씩은 꼭 있음.
AraTa_Justice
21/01/04 13:21
수정 아이콘
아 역시..
공부가 유전이 아니라면, 난 정말 자신이 없다아...............
21/01/04 13:24
수정 아이콘
저렇게 치면 각종 전공 공부량 따져야죠..
대학 4년 교재 다 모아두면 저 정도는 가볍게 넘을듯
마그너스
21/01/04 13:32
수정 아이콘
책의 양이 중요한건 아니긴 하죠 학부 교수님이 우리 전공책은 진도 나가기 가장 힘든 책이라서 가성비가 좋다고 농담하던 기억이 나네요

대학원에서 전공을 바꿨는데 학부때랑 시간당 읽는 페이지 차이가 5배쯤은 되는거 같네요 크크
셀트리온
21/01/04 14:54
수정 아이콘
근데 그게 상대평가로 2차 60점 맞아야 통과하는 게 아니라는 게 결정적 차이라... 그리고 그 경쟁자들의 질도 통상적으로는..
사신군
21/01/04 13:25
수정 아이콘
저놈의 지원림책은 크크크 사법시험 1차만 따지면 저거 반도안되긴합니다
됍늅이
21/01/04 14:21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서 두번째 사진은 흐려서 잘 모르겠지만 마지막 사진은 사법연수원 교재도 상당히 섞여 있는데다가 민법도 박승수 민법에 한때 유행하던 정일배 객관식 문제집에 애초에 책 자체를 좀 많이 사서 공부하는 스타일이었던 거 같네요.
Lovelinus
21/01/04 13:31
수정 아이콘
아 CPA ... 세법 공부 하면서 제 머리는 리얼 돌대가리 구나 라는 걸 느꼈습니다.
분명히 답을 보고서 다시 풀었는데 또 틀려......
계란지단
21/01/04 13:41
수정 아이콘
사시가 어마어마하긴 하군요. 저러니 사시낭인들은 옷차림새가 말이 아니었던듯. 수년을 저걸 파고드는데 관리할 시간이 있어야....ㅠㅠ
21/01/04 13:41
수정 아이콘
IT쪽 하다보면 토익 단어 외우기도 짜증나던데, 대단하네요.
고기반찬
21/01/04 13:45
수정 아이콘
맨 아래에 지원림이 있는데 김혁붕이 없어...? 다시 보니 지원림 옆에 있네요.
빵시혁
21/01/04 13:47
수정 아이콘
저정도로 공부할필요가 있는것인가???
아님 쳐낼거쳐내고 정말 중요한것들이 저정도인가??
긴 하루의 끝에서
21/01/04 14: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딱히 대단하다 여길 필요 없는 게 일반적인 수능이나 학부 공부만 하더라도 자기가 쓰던 교과서, 문제집, 유인물(필기 자료), 자습 노트 등 하나도 버리지 않고 모아서 쌓아 보면 본문 못지 않거나 그 이상일 수 있습니다. 공부하는 내용의 난이도가 다를 뿐 공부하는 시간으로 보면 사실 고등학교 공부라는 게 고시 이상이에요.
됍늅이
21/01/04 14:19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죠 저도 고3때 여름방학 때 각종 재수학원들이 각자 사설 모의고사 모아놓은 문제집 갖다가 풀었는데 그렇게 종이 아까울 수가 없었던....
셀트리온
21/01/04 14:5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단순히 난이도만 본다면 고등학교가 더 어렵지 않나 생각
대학교 와서 치는 문과 시험들은 하나하나 문제의 난이도가 높다기보단 그 암기량에 압도되는 것에 가깝죠 괜히 뜬금없이 운동선수 출신들이 합격하는 게 아니라 생각..
됍늅이
21/01/04 14:18
수정 아이콘
맨 마지막 사진은 사법연수원 교재와 프린트도 상당히 있는 거로 봐서 실제 사법시험 공부량이라는 짤로 쓰려면 좀 걷어내야겠네요.
다람쥐룰루
21/01/04 14:20
수정 아이콘
졸업전에 사법고시 합격하는사람들은 대체 뭐죠 그럼... 중고등학교때부터 이미 공부를 시작했나?
2021반드시합격
21/01/04 14:22
수정 아이콘
윽......
21/01/04 14:36
수정 아이콘
사시는 오히려 보는 책의 양을 줄이는 게 왕도라고 봅니다.
많은 책을 보는 것보다 효과적인 단권화와 단권화 교재의 회독수를 늘리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중요한 개념과 판례를 헷갈리지 않게 정확히 아는 상태에서 알고리즘에 끼워맞추는 것이 핵심이라서....

.....뭐 어차피 시험 자체가 없어져서 의미가 하나도 없는 얘기네요.;;
데오늬
21/01/04 14:51
수정 아이콘
사시는 책 적게 보고 합격하는게 진짜 플렉스 아닌가요 키키키
농담이고 성실하고 훌륭하네요 ^^
후배위하는누나
21/01/04 15:53
수정 아이콘
C PA 크크크
옛날생각나네요
21/01/04 15:59
수정 아이콘
막짤 보면 기본서라고 할 만한 게 소송법 책들하고.. 굳이 꼽자면 지원림 저 민법강의 정도네요. 연수원 교재 몇 권 보이고요.
형법은 형법요론(요약서) 보신 듯 하고... 나머진 요약서나 유인물 같은 걸로 보입니다.

그런데 진짜 플렉스는 책 적게 보고 합격하는 거죠.
아는 선배 한 분은 요약서 없이 기본서 정독과 학교 강의 그리고 판례집만으로 사시통과하셨는데, 진심 천재라고 생각했습니다.
antidote
21/01/04 16:01
수정 아이콘
사시는 2000년대 초반쯤인가부터 변별력 낸다고 8지선다형에 복수정답 같은 미친 문제들을 막 풀어놔서 정말 공부량이 폭주할수밖에 없었습니다.
당근케익
21/01/04 16:03
수정 아이콘
cpa...공인'회계사'
오히려 회계 괴목은 재밌기라도한데
나머지가 하오....
켈로그김
21/01/04 17:03
수정 아이콘
다른거보다 행시가 위엄쩌네요.
책 많은거야 그냥 쌓으면 그만인데 볼펜을 저렇게 썼다는건 덜덜덜..
이혜리
21/01/04 18:04
수정 아이콘
CPA가 4대고시(사법고시, 행정고시, 기술고시, 외무고시) 급으로 취급 받는 이유가 저 개토나오는 공부량 때문이죠.
다들 회계원리에서 재능을 찾고, 중급회계까지 즐겁게 했다가
궤를 달리하는 세법, 재무관리, 원가관리 이 세개 중 하나에서 구토를 뿜으면서 떨어져 나갑니다.

저도...세법 때문에 2년을 더했네요. 핡.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8709 [유머] (실화) 두줄로...희망과 절망편 [20] 츠라빈스카야8310 21/04/06 8310
417442 [유머] 폐지되는 역사왜곡 드라마의 또 다른 역사왜곡(+개인적인 망상) [12] 40년모솔탈출10348 21/03/26 10348
415567 [유머] 갓생사는 08년생들 근황 [17] 인증됨13405 21/03/07 13405
414222 [유머] 공부할때 은근히 현타오는것.jpg [12] 마늘빵9994 21/02/22 9994
414080 [유머] 주식 공부 시작했습니다 크크 [12] 마늘빵9243 21/02/21 9243
413822 [유머] 요즘 여고생 공부단톡방에 이은 남고생 공부단톡방 [33] 추천11437 21/02/19 11437
413780 [유머] 공부해도 정신안차리면 틀리는 함정 문제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9292 21/02/18 9292
413242 [유머] 중학교때 한번쯤 해보는 생각.jpg [79] 마늘빵16998 21/02/12 16998
411037 [유머] 운 앞에 공부따윈. [40] Sith Lorder14487 21/01/21 14487
410096 [유머] ??? : 아 엄마! 공부하는게 쉬운줄알아?? 엄마가 뭘알아!! [7] 파랑파랑8838 21/01/12 8838
410049 [유머] 주식 공부의 효용성 [16] 블랙번 록9725 21/01/12 9725
410011 [유머] 주식 10년 공부한 사람도 깝치면 안되는 이유.jpg [18] Starlord12127 21/01/11 12127
409296 [유머] 공부를 잘하는 대학생에게 온 편지 [32] 추천12892 21/01/05 12892
409142 [유머] 각종 시험 공부량.jpg [73] 파랑파랑18300 21/01/04 18300
408980 [유머] 의외로 야한것.jpg [16] 끄엑꾸엑13945 21/01/02 13945
408083 [유머] 어디까지 들어봤니? [29] KOS-MOS10670 20/12/23 10670
407816 [유머] 모텔에서 공부하니까 좋다 [38] KOS-MOS15080 20/12/21 15080
407651 [유머] ??? : 질타해주세요. 달게 받겠습니다. [15] 오늘처럼만9539 20/12/19 9539
406796 [유머] C++ 공부하다 찾은거 [17] 추천8439 20/12/11 8439
406399 [유머] 공부 실력은 선천적으로 결정된 유전이다.jpg [89] 삭제됨13346 20/12/07 13346
405735 [유머] 머쉬베놈 공부법...jpg [12] Starlord10878 20/12/01 10878
404876 [유머] 손주은 "지금 초등학생들은 공부 안해도 취업 잘된다" [66] 청자켓14209 20/11/23 14209
402783 [유머] 21만원짜리 스타킹.jpg [24] 끄엑꾸엑12179 20/11/03 121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