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1/02 10:18:15
Name 파랑파랑
File #1 1.png (1.07 MB), Download : 83
File #2 2.png (1.41 MB), Download : 72
출처 https://blog.naver.com/dndudwp99/221715776166
Subject [유머] 역사만화 병자묵시록 김자점.jpg





술렁술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ukayo Saka_7
21/01/02 10:22
수정 아이콘
자와~자와~
성아연
21/01/02 10:22
수정 아이콘
김자점이 병자호란 때는 좀 몰아주기(...)로 욕을 먹는 감이 없잖아 있죠. 모든 죄를 뒤집어 쓰기 딱 좋은 인물이라 그런가...
은때까치
21/01/02 10:26
수정 아이콘
저 만화대로라면 좀 억울한 감이 있네요 크크크 결과는 안좋았지만 나름 할건 다 한거 같은데
다크템플러
21/01/02 10:29
수정 아이콘
아래 병자호란글에서 소개하기도했는데 구범진,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추천합니다 크크 이 내용들 거의 정리되어있습니다
병자호란의 전쟁 양상자체도, 조선은 정묘호란 경험살려 산성위주로 보강하면서 대비해놨는데 걍 다 무시하고 수도직진.. 그야말로 망하면 뒤없는 4드론 친거였다고 흐흐
끄엑꾸엑
21/01/02 10:30
수정 아이콘
이거 보니까 좀 억울하겠네요..
스웨트
21/01/02 10:34
수정 아이콘
회사일 보는거 같네...
온갖 그지같은 변수 터지고 수습해보려고 해도 여기저기 지뢰 투성이..
일의 책임은 본인이 죄다 지고..
번아웃증후군
21/01/02 11:59
수정 아이콘
직장인으로서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
스덕선생
21/01/02 10:38
수정 아이콘
병자호란 로그만 보면 운이 없었다고 느낄만한데, 내용을 까보면 10번 재시합해도 10번 졌을거라 봅니다.
Liberalist
21/01/02 10:38
수정 아이콘
병자호란은 따지고 보면 조선이 세운 작계 자체가 총체적으로 실패한 끝에 나온 참사이지, 누구 한사람의 잘못만은 아니죠. 김자점이 오점이 많은 인사이기는 한데, 병자호란의 실패를 김자점에게 몰아주는건 체제에 면피를 주기 위해 시스템의 실패를 개인의 실패로 치환하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병자호란 관련으로 정말 어이가 없었던거는 청나라의 수도 직격 가능성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거... 전조 고려에서도 거란, 몽골 상대로 여러차례 경험했고 잘 막았던게 수도 직격 4드론이고, 청의 당시 장기전 수행 능력으로 보면 사용할 전략은 뻔하디 뻔했는데 그걸 당했다는건 참... 선조와 그의 조정은 이순신 건 제외하면 임진왜란 시국에 나름 대처를 잘 했다는 평가를 할 수라도 있는데, 능양군과 그 일당은 이 점에서 이괄의 난 어쩌구저쩌구 핑계도 대면 안 될 정도로 대응이 처참했습니다.
공항아저씨
21/01/02 10:47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신속한 보고, 정확한 지휘체계, 통일된 제식에 군대에서 강조하는걸 모두 알고있지만 예전 사례가 얼마나 뒤죽박죽이었는지 처음으로 알게되었습니다. 이래서 중요했군요
하심군
21/01/02 10:47
수정 아이콘
따지고 보면 지금까지 이 방법으로 잘 버텨왔다는 게 오히려 문제가 된 케이스 같아요. 다른 의미에서 마지노 선이라고 해야하나...쳐들어가는 입장에서는 들어가봐야 할 것도 없고 돌아갈 때 지옥의 행군을 해야했던 코스인데 임진왜란을 지나면서 피폐해지고 시스템자체도 느슨해지기도 했고...결국 한 번은 뚫릴 거긴 했는데 뚫리는 시기가 너무 안좋기도 했죠.
아밀다
21/01/02 10:48
수정 아이콘
역사라는 건 재평가, 재평가, 재평가의 연속이더라고요. 전문가가 아닌 우린 이런 해석도 있구나 하고 받아들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반대 해석에도 마찬가지고요. 이 만화 하나로 반대로 확 기울었다 또 다른 자료 나오면 확 반대로 가는 모습들이 혹시나 있을까 하여 헤헤
비상하는로그
21/01/02 11:04
수정 아이콘
토크..토크멘터리 전쟁사 봐야겠어요..
근데 진짜 억울 하겠네요..ㅠ
21/01/02 11:07
수정 아이콘
진작에 망했어야 할 나라가 질질 끌고 있으니...
겨울삼각형
21/01/02 11:33
수정 아이콘
조선이 무슨 잘못을 했다고 망국 소리를 듣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할매순대국
21/01/02 12:16
수정 아이콘
대외적인 평화가 100년 지속되다가 왜란과 호란때 해야할 기능이 하지 못하게 된거죠. 나라가 편하려면 부국해야하고 오래 편하려면 강병해야 합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1/01/02 11:12
수정 아이콘
강화도가 안 털려서 며칠만 더 버텼으면 희망이 있었을 텐데 강화도에서 트롤링이 일어나는 바람에...
21/01/02 11:23
수정 아이콘
그냥 당시 시스템 자체가 개판이었다는 결론이
재활용
21/01/02 11:38
수정 아이콘
임경업전 등 당대부터 지금까지 대중매체에서 임경업 관련해서 간신으로 묘사된 게 부정적 이미지 형성에 큰 역할을 한 듯 하네요. 꺼라위키 보니 실제로는 임경업 사망에는 책임이 크지 않은데 효종 즉위에 전위대로 나서다 팽당하자 다시 모반을 꾀하다 걸렸으니 죽을죄를 짓긴 했구요.
21/01/02 11:41
수정 아이콘
억울함 인정 합니다 ㅠ
불대가리
21/01/02 12:57
수정 아이콘
크으 카이지 시리즈 오랜팬인데
그맛은잘못살렷네요
키르히아이스
21/01/02 13:59
수정 아이콘
병자호란판 신립인거죠 크크
퀀텀리프
21/01/02 15:13
수정 아이콘
임진왜란때는 출중한 장수들도 있었지만 총지휘를 한 유성룡의 능력이 컸음.
동년배
21/01/02 21:39
수정 아이콘
고려는 요금원 등 북방과 다툼이 많았고 몽골 이전에도 개성이 털린 적 있어서 그럭저럭 대처방법을 알고 있었다면 조선은 초반 빼면 주로 문제 되는게 왜구라 (물론 임진년 할루시 리콜은 예상 외였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9983 [연예인] 후배 그룹 에스파를 처음 본 김희철 반응.jpg [21] insane12456 21/01/11 12456
409982 [서브컬쳐] 애니메이션 채색 변천사.jpg [22] 추천8592 21/01/11 8592
409981 [유머] 베스킨라빈스 장인.jpg [24] 올해는다르다14044 21/01/11 14044
409980 [유머] 마흔살 누나가 클럽 간 썰.youtube [10] valewalker13796 21/01/11 13796
409979 [연예인] 김유정 논란.jpg [32] insane12640 21/01/11 12640
409978 [기타] 모든 사람들이 삼성전자를 외친 결과 [22] 카루오스11001 21/01/11 11001
409977 [서브컬쳐] 침착맨-배성재, 슬램덩크 명장면 월드컵 [2] 아케이드6991 21/01/11 6991
409976 [LOL] ??? : 솔직히 오너 클로저 구마유시 신예팟은 불안함 [5] 공항아저씨7592 21/01/11 7592
409975 [유머] 다시보는 뉴튼과 남해주식회사 주가 [31] 블랙번 록10925 21/01/11 10925
409974 [기타] [코인] 미끄럼틀 구경하고 가세요 [214] Vurtne16356 21/01/11 16356
409973 [게임] 2021년 첫주 영국 게임시장 랭킹 [23] 아케이드10230 21/01/11 10230
409972 [유머] 악마들이 나쁜짓해서 가는 지옥 [6] 추천10290 21/01/11 10290
409971 [기타] 재평가 받으면 큰일나는 사람 [20] Lord Be Goja12024 21/01/11 12024
409970 [유머] 직업병 [15] 길갈9115 21/01/11 9115
409969 [텍스트] 웹소설 작가의 조언 [11] 추천8142 21/01/11 8142
409968 [게임] 넷마블 트럭 시위 현장에 G식백과 등장 [41] 추천10321 21/01/11 10321
409967 [스포츠] 올해 NFL 플레이오프 와일드카드전 하이라이트 [13] 하심군5414 21/01/11 5414
409966 [유머] 부녀자들이 RPS로 엮는 예시 [15] 성아연7929 21/01/11 7929
409965 [기타] 일하는 트위터 [6] 추천8181 21/01/11 8181
409963 [기타] 요즘 아르바이트 근황.. [11] Lord Be Goja10853 21/01/11 10853
409961 [동물&귀욤] 냐! 냐! 냐~ 냥~ [7] 설탕가루인형형8514 21/01/11 8514
409960 [기타] 이 시각 불타는 웃대 근황.jpg [25] 이런이런이런11999 21/01/11 11999
409958 [유머] pgr매매 [26] 담비9626 21/01/11 96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