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2/11 09:19:30
Name 삭제됨
출처 애객
Link #2 https://aagag.com/issue/?idx=814899
Subject [유머] 사람들이 상급지 상급지 노래를 부르는 이유.jpg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료도로당
20/12/11 09:21
수정 아이콘
지금 사람들 포모와서 지방이나 서울근교도 막 엄청 오르고 막 급하게 사고 하는데 조심해야된다고봅니다. 강남은 불패지만 지방은 부동산가격 떨어질수있어어요.. 절대 불패가 아니라는.
라임오렌지나무
20/12/11 09:2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인구구조상 저렇게 될 날이 오겠죠? 지금은 상상이 안가지만
AaronJudge99
20/12/11 09:24
수정 아이콘
지방은 떨어질거같아요
언젠지는 모르겠지만
할매순대국
20/12/11 10:19
수정 아이콘
지금이 인구 정점이더라구요. 앞으로는 인구 증가 없이 떨어지고 50년뒤에는 인구 3천만명대...
칠데이즈
20/12/11 09:26
수정 아이콘
지방은 떨어질겁니다. 근데 서울은 아니에요...
20/12/11 09:27
수정 아이콘
강남까지만 불패소리 들을지 서울까지일지 그게 궁금하긴 합니다. 지금 추세면 지방은 떨어질 확률이 높아보이죠.
공항아저씨
20/12/11 09: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래도 도쿄는 안떨어졌어요
인구는 훨씬 서울에 집중되어있고 도쿄보다 크기도 작고 평지도 적은 서울이 훅 떨어질거라 생각하는 사람은 그냥 몇십년 내에 대한민국 망할거라 믿는사람일겁니다
욕먹을 각오하고 적자면 대한민국에 서울말고 제대로 된 도시가 있나싶네요. 부산 인천도 기준치 훨씬 못미치죠. 일자리부터 시작해서 서울과밀은 우리세대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송운화
20/12/11 09:38
수정 아이콘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제대로 된 도시의 기준이 어떤건가요?
시비를 걸거나 비난하려는 의도는 전혀 아닙니다~
그저 제가 사는 도시에 뭐가 부족한게 있는지 궁금해서 그렇습니다
공항아저씨
20/12/11 09:44
수정 아이콘
일단 high tier대학이랑 대부분의 대기업이 서울수도권집중인게 너무 크네요 인구가 여기말고 다른곳으로 찾아가게 만드는 유인요소가 있는 도시가 딱히 없어보입니다 하하 저도 부산 청주 인천 양산 분당 등등 많은곳을 다녀봤지만 그렇게 보고 느끼며 성장한 탓에 이런말을 해봅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0/12/11 11:39
수정 아이콘
김해러인데 지방에 고급 일자리가 없는 게 진짜 큰 문제 같아요.
고급 일자리만 좀 많이 생기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거 같은데 기업 연구소들도 다 서울로만 가고 있으니ㅠㅜ
공항아저씨
20/12/11 11:42
수정 아이콘
그렇죠.. 이걸 해결할 방안은 딱 두가지밖에 안떠오르네요. 독재 혹은 통일. 사회적 합의로 진행되기에는 너무 늦어버린 것 같습니다.
HA클러스터
20/12/11 10:19
수정 아이콘
해당지역 노동인력을 그 지역에서 풀로 소화해 낼 수 있는가 없는가가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단순히 공장이 많아서 일자리가 많다는 식의 한계층 몰빵이 아니라 여러 계층의 원하는 일자리들을 골고루 다 소화해 낼수 있는 버퍼가 충분한가.
또한 노인층은 종합 의료기관이 가까운 것도 중요하고, 사람이 밥만 먹고 살진 않으니 문화시설도 충분히 있어야겠죠.
우리나라에서 이걸 다 소화해 낼 수 있는 곳은 서울말고 생각이 안나네요. 부산, 대구 인력들도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 다 서울로 올라가는 판이라...
AaronJudge99
20/12/11 10:58
수정 아이콘
하긴 저도 사촌들한테 그런소리 들었어요
우리동네 애들은 일자리 없어서 죄다 수도권 간다고..
20/12/11 09:41
수정 아이콘
저도 늘 가지고 있는생각이 행정부, 대학시설, 기업 이 세가지가 더욱 분산되야 궁극적으로 서울공화국 에서 벗어난다봅니다만 이게 70년대 새마을운동급으로 뭔가 일치된 합의가 되지않는이상 (그때는 까라면 까는 식이였으니...) 현재 기조와 정책으론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흐규흐규
공항아저씨
20/12/11 09:55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 생각을 하고계신분이 댓글로 친절히 남겨주셔서 기분이 좋네요. 감사합니다
20/12/11 09:42
수정 아이콘
기준이 다른 게 욕 먹을 일인지는 모르겠는데, 제대로 된 도시의 기준을 어떻게 잡고 계신지 저도 궁금하군요. 사실 제 기준에서는 서울이야말로 살기에 좋지 않은 도시라서요.
홍콩야자
20/12/11 10:42
수정 아이콘
저도 재산 & 수입이 같으면 지방 도시에 사는게 삶의 질이 높을거 같다는 생각이네요
척척석사
20/12/11 09:42
수정 아이콘
그렇게 적으시면 윗댓글 분 말대로 대체 "제대로 된 도시" 의 기준치가 뭐며 전세계에 그런 도시 사는 사람이 몇 명이나 있나 하는 의문이 들지 않겠습니까. 욕먹을 각오까지 하고 그렇게 적으시지 않아도 서울과밀이 해결 안 된다는 얘기는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굳이..
공항아저씨
20/12/11 10:01
수정 아이콘
굳이 안해도 될 말 그냥 싸질렀다는 점에서 말씀을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근데 좀 달라졌으면 하는 마음이 있어서 썼나봅니다 하하.. 서울이 최고라며 다른 도시를 까기위해 쓴게 아닌건 알아주세요
20/12/11 10:20
수정 아이콘
도쿄도 버블 피크에 비하면 당연히 큰 폭으로 떨어졌고, 근래 들어서는 어느 정도 회복하면서 버블 당시 기록이 일부 갱신되고 있는데, 이것도 요즘 신축이 버블 당시 신축이 세웠던 기록을 갱신하는 것이고, 구체적인 물건을 기준으로 본다면 버블 피크 당시 가격에 비해 대폭 하락했습니다. 가령 아래에 링크한 미나토구 소재 집의 경우, 91년 완공 당시 가격이 평당 3천만엔 정도였습니다. 주로 60평대라 약 20억엔인데, 지금은 20억엔은 전혀 가망없는 가격이고 5억엔만 받아도 아주 잘 받은 축에 속합니다.
https://www.google.com/maps/@35.6529498,139.7252419,3a,75y,352.79h,120.62t/data=!3m6!1e1!3m4!1sjcaabcFJ1-WjTTUkgcUMDQ!2e0!7i16384!8i8192

아래는 90-92년 당시 평당 2,500만엔에 거래되던 시부야 소재의 집들인데, 역시 지금은 평당 5-6백만엔 언저리입니다.
https://www.google.com/maps/@35.6768194,139.7054227,3a,75y,204.32h,101.9t/data=!3m6!1e1!3m4!1sdCOTuzzITbE3y66nmNGWCA!2e0!7i16384!8i8192
https://www.google.com/maps/@35.6496532,139.714402,3a,75y,252.48h,109.81t/data=!3m6!1e1!3m4!1seoAYqtGTGAEvDUXq-52UjA!2e0!7i16384!8i8192
공항아저씨
20/12/11 10:23
수정 아이콘
도쿄도 버블시절에 비하면 많이 떨어진 상태라는 얘기를 상세히 해주셨군요 감사합니다
20/12/11 10:26
수정 아이콘
도쿄 시내도 그렇군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AaronJudge99
20/12/11 10:59
수정 아이콘
엥 평당 5~600만엔이면...사울이랑 비슷하네요? 크크
조미운
20/12/11 16:38
수정 아이콘
대지 지분으로 치면 사실 훨씬 싼거죠...
20/12/11 09:30
수정 아이콘
서울은 모르지만 지방은 위험하죠...
끄엑꾸엑
20/12/11 09:31
수정 아이콘
서울은 뭐..
20/12/11 09: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은 롯본기, 신주쿠 이런데는 버블 시절 고점 이미 되찾고도 남았다 하더라구요. 지방이나 경기 외곽이 위험하죠. 서울도 강북은 장담 못하고.
하얀마녀
20/12/11 09:32
수정 아이콘
삼국지였는데...?
20/12/11 09:32
수정 아이콘
지금은 법적으로 규제도 많고 수도권은 제재가 심해서 지방 집값들이 상승한다지만 인구는 여전히 감소세이고 지어져있는 아파트가 많으면 언젠가는 비슷한 수순을 밟을거 같습니다.
Cazellnu
20/12/11 09:32
수정 아이콘
런던 동경 보시면 됩니다.
지방이 문제죠
한뫼소
20/12/11 09:33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요즘 재택근무가 디폴트인데 100만엔 주고 빈집이면 나쁘지 않다 싶기도 하다가 주변 생활환경 생각하면 역시 최소 요코하마엔 살고싶다는 생각이 다시금 확고해집니다.
공항아저씨
20/12/11 09:34
수정 아이콘
판교같은곳은 기업이 자리잡았으니 안떨어지겠죠. 이런 곳 아니고서야 20 30년 50년 지나면 집값 떨어지겠지만 우리세대랑 뭔 상관있냐싶습니다. 국가적 관점에서는 집값 버블 맞겠죠
근데 돈벌고 집구해서 살아야하는 몇십년동안 그거 오는거 기다리다 갈 수 있죠 지금 인구공백 크게 떨어지는 2010년생들이 30 40살 되어서 일자리잡고 결혼하고 애낳아서 큰 집구할 나이 되어야 집값폭락이 문제시 될게 너무 뻔하네용.

그 이전에 지방은 이미 쭉쭉 떨어지겠고요
terralunar
20/12/11 09:34
수정 아이콘
지방 소멸이 가시화 되는 순간 서울로 서울로 더더욱 모여드는거죠
서린언니
20/12/11 09:35
수정 아이콘
저 영상에 나오는 마츠도시 거주시민입니다.
저 아파트는 예전 구 신도시 시절 (60~70년대) 지었던 아주 오래된 아파틉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옛 주공아파트 같은거죠. 엘리베이터도 없고 5층짜리 저층 아파트 단지요.

위치도 역이랑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자차가 없으면 출퇴근도 불편하죠.
마츠도 역이 급행을 타면 도쿄까지 25분정도 도착하는건 맞는데 역까지 버스를 타야하는 그런 오래된 단지가 좀 있습니다.

서울은 지하철이 안가도 구석구석 마을버스가 많이 다니기라도 하죠

일본이 빈집문제로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고는 있지만 그래도 역근처는 아직 비싸요
20/12/11 09:36
수정 아이콘
재작년에 도쿄에 집샀는데 15~20% 올랐습니다.
한국에 샀으면 100% 올랐을텐데... 하아 ㅠㅠ
20/12/11 09:36
수정 아이콘
근데 매번 묻는 건데 지방의 정의가 어딘가요...
서울시 경계 딱 넘어서면 다 지방인가요 아니면 지자체 17곳 중에 수도권 셋 말고 나머지가 다 지방인가요
근데 얼마 전에 여기 피지알 유게에서 수도권 밖은 지방 아니냐고 했다가 광역시는 지방이 아니다 뭐 이런 이야기도 들었거든요...
사람마다 이야기하는게 다르니 좀 혼란스럽긴 합니다
공항아저씨
20/12/11 09: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토론이 일어나게 된다면 주제에 따라서 지방의 정의를 다시 정하는게 맞겠죠
그때그때 경기도권이 되기도하고
그냥 규모 이상크기의 도심이 되기도 하니까요

그런걸 안하고 생략하고 중구난방으로 본인 주장만 하게되니 대형 커뮤니티가 더럽다 키배뜬다 커뮤니티는 싸움판이다 이런 얘기 나오는거고요.

커뮤니티하면서 인터넷에서 이런 격식있는 토론해봅시다 하는게 에바라 그런식으로 안하는거니 이런 갈등은 끊이지않겠죠
20/12/11 09:38
수정 아이콘
그럼 지방이 어디까지인가에 대해선 사회적으로 정확히 합의가 안 되었다는 결론이군요
공항아저씨
20/12/11 09:40
수정 아이콘
글쎄요 우리가 애 라고 했을때 그 애가 몇살인지 사회적으로 정확히 합의를 해야할까요

그냥 어르신들이 청소년 성인도 애라고 할 때 있잖아요
우리가 현실에서 그 화자가 누구고 어느사람을 지칭하는지 아는 상황이니까 그냥 다들 인지하고 이해가 되는거지

누가 글쓴지도 모르는 이런 커뮤니티에서 그런 모호한 일들 많이 일어나고 문제라고 생각도 안합니다
20/12/11 09:47
수정 아이콘
이건 '어르신들이 청소년 성인도 애라고 하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지요
그리고 합의를 반드시 해야 한다고 주장한 건 아닌데... 어쨌든 '합의가 안 되었다'는 점엔 동의하신다는 이야기로 듣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0/12/11 09:51
수정 아이콘
네 언어적으로 국어사전 사회적으로 정의된 지방의 뜻이 있다 하더라도 언제든지 상황과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쓰인다고 이해해주세요
김치랑 다르게 지방은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 수준같네요
리자몽
20/12/11 09:39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론 수도권 외 지역을 말한다고 봅니다

가끔 서울 위주로 얘기할 땐 수도권도 지방이 되구요

지방보다 더 밑으로는 시골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거 같네요

(지방 얘기하는 서울&수도권 사람들 보면 광역시도 지방으로 취급하는걸 많이 봤습니다)

p.s. 지방의 정의는 서울 분들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거 같습니다
20/12/11 09:40
수정 아이콘
애초에 지방이라는게 말하는 사람 마음안에 있는 거라...

누구는 강남외에는 다 지방이라는 사람도 있고(실제 있음, 유학갔을 때 제외 강남에서 벗어난 적 없는 사람)...

경기도 밖부터란 사람도 있고 광역시 제외라는 사람도 있고 뭐 그렇죠.
공항아저씨
20/12/11 09:41
수정 아이콘
깔끔한 설명 감사합니다 그렇습니다.
그래서 키배가 일어나는거죠 하하 제가 하고싶은 말이 그거입니다. 정의가 다 다른채 얘기들 서로 하고있으니 쌈만 나지요

그런걸 정의하고 말합시다 하는게 인터넷에서 통하기도 쉽지않구요
리자몽
20/12/11 09:43
수정 아이콘
강남 외 지방은 좀 많이 쎄네요 (...)
20/12/11 09:47
수정 아이콘
저는 수도인 서울시 외 여집합을 지방이라 지칭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방에 낙후되었다는 의미와 비하의 뉘앙스를 담지 않으면 문제될 게 없죠. 도시 규모나 인프라를 기준으로 따질 문제가 아니라 생각해서 광역시는 지방 아니라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네요.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의 일종이고요.
NoGainNoPain
20/12/11 10:28
수정 아이콘
지방자치단체라는 단어 내에 포함된 지방은 지방의 사전적 의미와 무관합니다.
서울특별시 또한 광역지방자치단체중 하나입니다.
20/12/11 10:4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중앙정부의 상대개념이었던 거네요. 하나 배워갑니다.
네이버후드
20/12/11 09:47
수정 아이콘
서울이외의 지역이라고 국어사전에 되어 있네요. 광역시가 지방이 아니다라는 이야기는 단어의 정의부터 잘 못 알고 있다고 봅니다.
MicroStation
20/12/11 10:01
수정 아이콘
시골이라는 말이 이상하게 쓰이는거지 지방이란 단어는 원래 서울뺀 지역을 통칭하는 거죠.
공항아저씨
20/12/11 10:04
수정 아이콘
오 이말도 맞죠 시골이 진짜 부산까지 지칭하는 경우도 종종있죠 보통은 어린 서울권 학생들에게서 나오긴합니다만
AaronJudge99
20/12/11 11:00
수정 아이콘
저는 수도권 벗어나면 지방이라고 생각했어요
지방거점국립대학 같은것도 있고..
리자몽
20/12/11 09:42
수정 아이콘
피쟐분들이 저 할아버지 연세가 될 때 까지 수도권 제외해도 광역시 주요지역, 군 주요지역의 1~2티어 지역의 부동산의 가치는 크게 떨어지지 않을 껍니다

다만 그 외 지역은 인구가 확 사라지는게 기정사실이라 10년 후엔 애매한 지역은 집값이 많이 떨어질 껄로 옛아되네요
20/12/11 09:53
수정 아이콘
[다만 그 외 지역] 전 혁신도시라고 정부에서 밀고 있는 지역 또한 포함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우리 아파트 좋은걸로 많이 지어놨습니다. 일로오세요~" 라고 한다해서 과연 올까요. 궁극적으론 일자리가 없으면 사람들은 시종여일 안움직일거 봅니다.
리자몽
20/12/11 09:59
수정 아이콘
일자리가 참 문제이긴 합니다
20/12/11 09:49
수정 아이콘
근데 저 상황이 이미 온 상황이면 저렴하게 저기서 살아도 괜찮을듯.
리자몽
20/12/11 09:50
수정 아이콘
저 분은 3억이 1천만원이 된 케이스라 ㅠㅠ

3억 때 팔고 싼데 갔다가 다시 1천만원 집에 들어왔으면 몰라도 저 상황에선 2억 9천이 날라갔다는 생각밖에 안들겠죠
20/12/11 09:52
수정 아이콘
네 저분은 안타깝죠ㅠ
파아란곰
20/12/11 09:50
수정 아이콘
삼국지 글로 봤는데
Faker Senpai
20/12/11 09:57
수정 아이콘
설마 더 오르겠어 하시고 떨어지면 구매하려고 기다리시는분들 지금이라도 사시라고 하고싶네요. 지금 한국에서 일어나는일들 호주에선 이미 일었난던 일이고 2배3배 올랐던 집값이 한번오른 이후 여간해선 떨어지진 않더군요. 다른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요.
리자몽
20/12/11 10:04
수정 아이콘
올라도 문제지만 떨어지면 더 큰 문제니까요

부동산이야 말로 대마불사라는 말에 가장 적합하다고 봅니다
Faker Senpai
20/12/11 10:31
수정 아이콘
학군좋은곳은 안떨어집니다. 호주살면서 부동산 투자한지 12년쯤 되었는데 이건 불변이였어요. 한국도 마찬가지라고 보고요.
리자몽
20/12/11 10:35
수정 아이콘
집이 자녀를 키우는 공간이라서 그런걸까요?

부동산 얘기 나올 때마다 학군 학군 거리는게 괜한 말이 아니네요
Faker Senpai
20/12/11 10:40
수정 아이콘
자녀가 없으면 주택 소유의미가 줄어듭니다. 자녀가 있으면 아무래도 재산을 물려주고싶은 마음이 크죠. 대부분 부모들이 출퇴근이 길어지는걸 감안해서라도 좋은 학군을 선택하고 이게 부동산시세에 반영이 되죠. 부모라는 포지션 자체가 희생의 포지션이니까요.
리자몽
20/12/11 10:4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제가 미혼이다보니 이런 마음을 이해 못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DownTeamisDown
20/12/11 10:04
수정 아이콘
어디냐에 따라서 다르겠죠.
입주 원하는곳 혹은 그지역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곳에 대규모 공급이 예정되어있다면 일시적 조정 기대해볼만 합니다.
물론 서울은 그런거 없습니다 사세요.
Faker Senpai
20/12/11 10: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서울과 지방을 거리는 더벌어지고 부익부 빈익빈도 더 양극화 될거 같아요. 비싼데 어떻게 사 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지금이 봄일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집값이 오른큰이유중 하나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브랜드 가치가 상승했다는게 큰거 같아요 외국인들사이에서도 살기 괜찮은 나라로 인식된다는건 곧 투기의 대상이 된다는거라...
공항아저씨
20/12/11 10:08
수정 아이콘
일부지만 일본 시골엔 0엔 집이 나올정도라고 하네요.
소유세 내기도 싫을 정도로 가치 떨어진 상태. 투자가치는 제로. 지역 거주민들에게만 통하는..

한국도 뭐 도시사람들은 이름 들어보지도 못한 시골은 이렇게 될 것 같습니다. 이런데 개발되겠지라며 땅 사는거보다 있는 도시 유지하는 방향으로 갈거라 생각하고 그쪽에 돈이 더 몰리겠죠
시무룩
20/12/11 10:20
수정 아이콘
서울 집값이 비정상적으로 오르긴 하지만 도쿄도 오르면 올랐지 떨어지는건 아니라서...
우리나라도 아주 쪼끔만 지나면 시골에 쓸만한 빈집 엄청 늘어나겠지요
다주택자 규제 계속 강화하고 그러는데 이런 지역에 있는 집은 다주택에서 빼서 소유조차 하기 싫은 집으로는 안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한사영우
20/12/11 10:2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인구 밀도 1위인데.
그런데 전체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밀집 되있죠.
수도권은 저럴 걱정 없어 보이네요.
Lainworks
20/12/11 10:31
수정 아이콘
도마다 혁신도시 만들게 아니라 한군데 몰빵을 했어야 하는게 아닐까 자주 생각합니다....
20/12/11 11:30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생각입니다. 그게아니면 아싸리 외각에 짓는게아니고 구도심을 갈아엎는식으로 했어야합니다(물론 개발난이도가 극상이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긴하죠 크크)
몰빵집중화의 최대 고비는 정치인들 표죠. 구도심에 혁신도시 세우는거만큼 어렵다고 봅니다.
프로그레시브
20/12/11 11: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거품 가라앉는거 이제 곧 시작이에요
혹시 집사려는 분들 지금 서울, 수도권 집은 왠만하면 사지마세요
거품폭탄 꺼지기 일보직전입니다
거품 지수보면 떨어질 일만 남았어요
사려면 5,6년뒤에 다시 보세여
그때 집값이 얼마나 떨어졌나
마그너스
20/12/11 12:20
수정 아이콘
떨어져도 문제 유지해도 문제ㅜㅠ
하우두유두
20/12/11 12:57
수정 아이콘
반대로 저는 10년뒤 핵심지 집값은 안떨어진다에 겁니다. 삼성역 압구정 이런데요.
프로그레시브
20/12/11 13:28
수정 아이콘
특정케이스는 안떨어질수도 있겠죠. 그게 어떤 케이스가 될지는 몰르는거고.
평균내었을때 전체적으로 폭락 시나리오로 봐야합니다
하우두유두
20/12/11 14:50
수정 아이콘
그래서 상급지 가라는거지요. 어설픈곳가면 떨어질테니까.
20/12/11 13:29
수정 아이콘
이 댓글 저장해놨다가 25년에 다시 꺼내봐야겠네여!
프로그레시브
20/12/11 13:30
수정 아이콘
^.~
키르히아이스
20/12/11 20:55
수정 아이콘
5년전에도 이랬고
10년전에도 이랬지만
막상 현실은..?
프로그레시브
20/12/12 12:05
수정 아이콘
10년전 서브프라임 사태만 봐도 보이는데요
최근 오른것만 보고 예전 집값에 별로 관심이 없으셨나봅니다
그때 집값에 3,40프로는 떨어졌었어요
제가 말하는건 앞으로 영원히 집값이 안오른다가 아니고
지금 거품이 많아서 한번 털시기가 온다는 말이고
집값 자체가 워낙 무겁게 움직이기 때문에 향후 몇년 하락세가 오다가 어느정도 실물가치에 이으른후 다시 오를수도 있겠죠
그렇지만 지금은 살때가 아니라고 말씀드리는거에요
주식 샀다가 3,40프로 떨어지면 빡이 안치나요?
그것도 빚내서 사게되는 집은 더하죠
거품낀집 샀다가 떨어지면 정신이 피폐해져요
키르히아이스
20/12/12 21:08
수정 아이콘
뭐.. 거품이 아닐거란 보장은 저도 없는데
거품이라고 볼근거도 빈약한거 아닙니까?
수도권 외곽까지 들썩이는건 거품 맞는것같긴한데
그게 터지려면 한참 걸릴것같아서요.
서울 상급지들은 거품이 맞나 싶고요.
우리아들뭐하니
20/12/11 15:23
수정 아이콘
저렇게 떨어지는 이유가 분가가 많아짐으로써 자녀가 각각 집을 가지고있는 상황에서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그집이 빈집이 되어서 그렇다고하더군요. 그 빈집을 소유하는것만으로도 계속 관리비용이 나가서 상속자체를 꺼려한다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92118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3534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6156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23705
502071 [스포츠] 한일 여러 스포츠 미성년자 등록선수 비교 크레토스81 24/06/28 81
502070 [서브컬쳐] [후방] 유튜브의 수위를 테스트 하시는, 세계 최고의 기타리스트 나코코님 [14] BTS2735 24/06/28 2735
502069 [서브컬쳐] 아프리카TV,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자막판) 무료공개 [10] EnergyFlow2032 24/06/28 2032
502068 [게임] 명조 3주간 국가별 매출 [12] 묻고 더블로 가!1497 24/06/28 1497
502067 [게임] [스팀] 드래곤볼 게임 최대 -90% 할인 [5] 고쿠1298 24/06/28 1298
502066 [기타] (얏후) 더울때는 시원한 끈나시에 돌핀팬츠를.gif [6] 캬라3472 24/06/28 3472
502065 [유머] ??? : 동탄에 붙은 불륜 미시 이미지를 없애주세요.jpg [45] 궤변5318 24/06/28 5318
502064 [기타] 어릴적 단골 손님을 찾는 일본 피자집 사장님 [18] 닭강정3222 24/06/28 3222
502063 [유머] 베르세르크 재연재가 그나마 다행인 이유.jpg [4] 캬라2697 24/06/28 2697
502062 [방송] 일본인 유튜버가 풀코스 대접받고도 당황한 이유 [13] insane4007 24/06/28 4007
502060 [유머] 죽지도 않고 돌아온 망령 [30] 동굴곰4976 24/06/28 4976
502059 [유머] 물 어는점 끓는점 숫자 딱 떨어지는 거 신기하지 않아? [45] 사람되고싶다4911 24/06/28 4911
502058 [연예인] 유튜브 모든 영상이 100만뷰 넘는 63세 연예인 [18] 훈남아닌흔남4798 24/06/28 4798
502057 [서브컬쳐] 베르세르크 연재를 이어받은 모리 코우지 작가의 후기 [27] EnergyFlow4153 24/06/28 4153
502056 [유머] 예로부터 시민은 경찰의 적이었다 [12] 길갈4234 24/06/28 4234
502055 [동물&귀욤] 조류갤에서 박새를 베놈새라고 부르는 이유. [4] 캬라2931 24/06/28 2931
502054 [LOL] 솔랭돌리다가 페이커 만나고 극락가는 전 프로게이머 김모씨.jpg [4] insane5449 24/06/28 5449
502053 [유머] 며칠 전엔 헬로키티 이타샤가 뜨더니 [2] 김삼관4705 24/06/28 4705
502052 [LOL] 야레야레 못 말리는 구마유시사마 [28] 카루오스4831 24/06/28 48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