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1/15 13:56:16
Name 생리학자
File #1 06233a607bed94a2575e8bb8ee1bd3a3.png (398.3 KB), Download : 56
File #2 8957568a2cb1de36ca9f76c3427126f5.png (776.1 KB), Download : 62
출처 콘솔게
Link #2 https://www.fmkorea.com/3201009416
Subject [게임] PS5 베타테스트 근황




GPU 문제로 추정되는 화면 이상이 계속 보고 중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1/15 13:57
수정 아이콘
고흐 모드 추가한 듯
20/11/15 13:57
수정 아이콘
플스5나 엑시엑이나 양쪽다 크고작은 초기불량 이슈가 터져나오더군요. 이슈 터질때 마다 과몰입하는 사람만 없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아케이드
20/11/15 14:00
수정 아이콘
이번 콘솔들이 이전에 비해 초기불량이 유난히 많은 건지, 아니면 예전과 비슷한데 SNS의 발달로 확산이 빨라진 건지도 궁금하더군요.
블랙번 록
20/11/15 14:16
수정 아이콘
전 후자라고 봅니다 이정도면 귀여운 수준이죠
훌게이
20/11/15 15:32
수정 아이콘
당연히 후자죠. 최근 세대만 해도 시도 때도 없이 시디 뱉는 훨씬 심한 결함이 초기부터 있었고 플스1때는 아예 뒤집어 놓고 쓰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20/11/15 14:01
수정 아이콘
https://bbs.ruliweb.com/ps/board/300001/read/2229494?
여기보면 그냥 수율 생각 안하고 일괄적으로 극오버 땡겨서 일어나는 현상같아요.
예전에 글카 에프터버너로 오버 땡길 때 실패하면 생기는게 딱 저거였는데..
타시터스킬고어
20/11/15 14:02
수정 아이콘
글카 오버 조금만 해봐도 저런 현상 한 번씩은 겪어보는거긴 하죠.
타시터스킬고어
20/11/15 14:01
수정 아이콘
오버클럭 부분이 걱정되긴 하던데, 어떻게 되려나 모르겠어요.
블래스트 도저
20/11/15 14:09
수정 아이콘
코로나 때문에 양 기종 모두 QC가 엉망인거 같아요
시린비
20/11/15 14:11
수정 아이콘
진짜 베타테스트 제대로 해보고 내면 안되남...
manbolot
20/11/15 14:15
수정 아이콘
양기종으라고 하기에는 엑박은 콘덴서 터진걸로 추정되는 한개고
이쪽은 뭐 누가봐도 오버클럭 실패해서 망한 화면 출력하는 거고

콘덴서 터지는거야 몇만대 만들면 1~2개는 나올수 있는건데
오버클럭 저렇게 실패하는거는 뭐.. 양비론 펼칠 이유는 없죠.

참고로 상대적으로 북반구는 상대적으로 실내 온도가 낮은 계절입니다.
오버클럭이 여름에 쿨링이 안되면 더 취약하다는거 생각하면 여름에는
한방에발할라
20/11/15 14: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엑박도 화면 깨지는 사례 찾아보면 많이 나옵니다, 단지 플스쪽이 더 이슈가 잘 되기 때문. 지금 플스가 4에 비해서 몇배나 더 많이 나가고 있다는데 불량도 플포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manbolot
20/11/15 14:43
수정 아이콘
화면 멈추는거겠죠. 프리징 현상은 보통 소프트 웨어 처리쪽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니 이쪽은 추후에 수리 가능한 문제죠
근데 애초에 사양을 오버클럭한 PS쪽은 이게 수율문제인지 칩의 한계문제인지 모르니 뭐
만약에 칩의 한계 문제라면, 뭐 해결 불가능하니 오버클럭 마진 줄여야 하는데, 지금도 절대적 성능에서 밀리는 상황에서 뭐
한방에발할라
20/11/15 14:51
수정 아이콘
프리징만이 아니라 그냥 화면 깨지는 사례도 많아요.....국내에도 마소가 하라는 대로 다 했는데 안고쳐진다고 짜증을 토로하는 분도 있습니다. 그리고 위의 저런 사례가 단순 불량이 아니라 칩의 한계면 지금 깔린 대수 고려했을 때 저것보다 훨씬 더 사례가 많아야 정상입니다.
manbolot
20/11/15 14:58
수정 아이콘
딱 5600XT 초기 나왔을때 증상이랑 비슷해서 하는 말씀입니다.
그때도 별문제 없다는 사람 있었고 문제 생긴다는 사람 있었는데
결국에는 하드웨어 문제쪽으로 결론 되고 있는데요 뭐..

거기에 뭐 칩은 다르긴 하다만 같은 RDNA1 기반으로 만들어져서 더 우려스러운거고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5:00
수정 아이콘
점점 그냥 문제가 있다고 확정 지어놓고 근거를 끌어와서 끼워맞추시네요
manbolot
20/11/15 15:03
수정 아이콘
문제가 있는걸 문제가 있다고 하지..
그럼 게임 플레이중에 그래픽 저렇게 깨지는게 정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거기에 누가봐도 오버클럭 문제로 보이는 이슈인데요?
심지어 소니 발표때 그거 자랑까지 하지 않났나요? 리퀴드 메탈 써서 짱짱하다고

5600XT가 가격 좋게 나오고서는 왜 그리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 욕먹고 있는데요..
소비자가 돈주고 사고서는 정상적으로 플레이가 안되는 이슈인데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5:06
수정 아이콘
문제가 뭔지 원인 나오지도 않고 초기불량 사례 몇 개 나왔을 뿐인데 그걸 벌써 바로 확정 지어놓고 칩 한계 문제까지 바로 논리 점프하는 게 그럼 정상입니까. 엑박도 화면 깨지는 문제 지금 여럿 나오고 있는데 그건 바로 프리징이라고 제대로 알지도 못하시는 모습 보이시니 딱히 말씀에 신뢰가 가지도 않네요.
manbolot
20/11/15 15:16
수정 아이콘
엑박은 레드링 이후 살일도 없으니 뭐 거르고요
프리징은 PS5도 나오고 있으니 특별히 말 안했는데요
게임에서 크래쉬 나면서 프리징 나는거는 보통 소프트웨어 문제니까요

그리고 엑박화면 깨졌다는 비율과 PS5 화면 깨졌다는 비율의 사례가 인터넷상으로는 압도적으로 PS가 많다는것은 뭐 커뮤니티 좀만 돌아보시면 아실테고
5600XT샀다가 고장으로 수리맡겨본 입장에서는 PS5에서 발생하는 증상이랑 똑같으니 말씀드리는건데요
둘다 RDNA1칩 과도하게 오버클럭 해서 하드웨어 문제로 벌어진 일도 같고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5:19
수정 아이콘
manbolot 님// 압도적이라고 할만큼 플스도 사례가 지금 쏟아져 나온 게 아닌데요.....애초에 지금 1차로 풀린 기기수도 플스쪽이 더 많은데....무엇보다 신기한 게 엑박쪽은 제대로 알고 계시지도 못한데 플스쪽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건 또 자신있게 말씀하시네요.
20/11/15 14:31
수정 아이콘
파워 서플라이만 수백개 수리해봤어요.

터졌을때 그정도 연기가 나는 콘덴서는 평활 콘덴서 밖에 없는데, 평활 콘덴서가 터지면 전원이 안 들어와야 정상입니다. 그리고 콘덴서 터지면 특유의 달걀 썩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냄새에 대한 언급이 있어야 정상인데 그냥 연기만 나는건 콘덴서가 터지는걸로 보긴 어렵습니다.
manbolot
20/11/15 14:44
수정 아이콘
콘덴서가 터진거건 뭐가 터진거건 어쨋건 충분히 기기의 QC 범위안에서 벌어질 일이긴 합니다.
갤7 터질때 처럼 광범위하게 터지는거면 모를까 현재 유의미하게 보고된거는 어찌됫건 한건인데요
20/11/15 14:45
수정 아이콘
콘덴서가 터졌을 확률은 낮다는 뜻에서 드린 말씀이었습니다. 양기종 다 QC 불량 사례가 많아서 그냥 과몰입하시는 분들만 아니면 흔한 초기 불량 사례 범주안에 속하는거 같습니다. 특별히 설계상 결합 문제는 아닌거 같고요.
manbolot
20/11/15 14:50
수정 아이콘
PS5 쪽은 근데 지금이 저정도이지 충분히 더 나올 수 있습니다.
저건 AMD 오버클럭 실패했을때 증상이랑 똑같거든요 뭐..

저게 그나마 수율이 낮은 칩에서만 발생하는 문제라면 그나마 향후에는 선별을 통해서 나아질 가능성이라도 있지만
칩의 오버 한계가 저정도이고, 한계까지 몰아붙인거라면 ps5 개선버전이 나오지 않는 이상 뭐.. 달고 살아야죠
20/11/15 14:51
수정 아이콘
그거도 그냥 추측이죠. 플스가 판매량이 많으니 더 많이 보이는 걸 수도 있습니다. 이상 없이 잘 쓰는 사람은 글을 안 올리니까요. 초기 이슈에 과민 반응하지 말고 시간이 좀 더 지나면 양 콘솔의 진짜 모습이 보이겠죠.
manbolot
20/11/15 14:57
수정 아이콘
그냥 검증된 PC로 하면 되죠 뭐 굳이..
독점작만 개선판 나오면 하면되고
20/11/15 14:58
수정 아이콘
PC가 콘솔에 비해 가성비가 떨어지지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4:58
수정 아이콘
실제로 잘만 즐기는 사람들은 듀얼센스 때문에라도 지원하는 멀티작은 플스로 해야겠다고 생각중입니다.
20/11/15 15:06
수정 아이콘
멀티작에서 듀얼센스의 고유 기능이 지원될 가능성은 낮긴 하죠.
한방에발할라
20/11/15 15:08
수정 아이콘
YNH 님// 점점 아무것도 모르시면서 그냥 댓글 다시는 게 보입니다. 멀티작 중 콜옵만 해도 빠방하게 지원하고 nba도 지원하고 포트나이트도 지원한다고 이미 말했고 하위호환인 보더랜드3조차 지원하는데 가능성이 낮아요?
20/11/15 15: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방에발할라 님// 글쎄요. 퍼스트인 데몬즈 소울이나 MM만 하더라도 아스트로에 비하면 듀얼센스 활용도가 현저하게 낮았고, 당장 스위치만 하더라도 HD 진동을 충실하게 활용하는 게임은 퍼스트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멀티작이 지원을 하더라도 퍼스트 만큼 듀얼센스를 잘 활용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죠.

사실 콜옵 같은 경우는 멀티작인데 플스 쪽에만 P2W 요소가 들어가서 논란이 되기도 했고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5:14
수정 아이콘
YNH 님// 아스트로는 그냥 작정하고 패드 기능 홍보용으로 설계된 게임이니 당연히 이거만큼 활용되는 게임이 있을 수가 없어요. 스파이더맨은 거미물 당길 때만 해도 실제로 손에 걸리는 느낌 플4보다 훨씬 좋아서 근야 스윙질 하고 다니기만 해도 만족도 훨씬 늘었습니다. 데몬즈도 플스 때의 소울 시리즈랑 비교도 안되게 패드체험 좋아요. 그냥 실제로 잡고 해보세요. 차원이 다르니까. 그리고 이미 발매한 멀티작만 해도 콜옵은 트리거뽕맛 엄청 느낄 수 있고 스포츠 게임인 nba조차 듀얼센스 기능 제대로 쓴다니까요?;;;;포트나이트도 이미 무기마다 전부 트리거 장력이 다르다고 하는 판국에....
20/11/15 15: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방에발할라 님// 듀얼센스에 굉장히 만족하시는건 알겠는데, 스위치의 HD 진동이라는 사례가 이미 있어요. 그보다 듀얼센스가 한단계 더 진보하긴 했지만 HD 진동 활용 사례를 생각하면 사실 아스트로처럼 듀얼센스의 기능을 풀로 활용하는 게임은 퍼스트에서나 나올 가능성이 높은건 사실이잖아요? 물론 부분 지원도 경험이 많이 달라진다는 의견은 존중하지만, 아스트로 처럼 활용하는 게임이 앞으로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잖아요? 부분지원과 완전지원이 차이가 있는건 사실인데 왜 이걸 부정할려고 드시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트리거 같은 경우는 엑박원 패드에 있는 임펄스 트리거 보다 더 좋아지긴 했어요. 듀얼센스가 굉장히 잘 만든 물건임에는 동의합니다만 듀얼센스의 진가를 보여주는 게임은 아직은 아스트로 플레이룸 밖에 없다고 전 생각하네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5:25
수정 아이콘
YNH 님// 스위치 hd 진동이랑 다르게 듀얼센스는 이미 구현하기 쉽게 만들어놨다고 했고 실제로 그냥 발매하는 멀티작부터 지금 대다수가 듀얼센스 지원안하는 게 더 적은데 경우가 전혀 다른 스위치를 왜 거론하시는지 모르겠네요. 계속 가능성 가능성 하시는데 가능성이 아니라 그냥 지금 발매한 멀티작들 대다수가 햅틱은 전부 다 지원하고 어뎁티브 트리거도 지원안하는 것보다 지원하는 게 더 많다고요.....;;;;콜옵이랑 포트나이트랑 데메크랑 햅틱이랑 nba가 퍼스트입니까.;;; 햅틱은 애초에 스위치 hd진동이랑 다르게 진동 파형을 거의 자동 생성해줘서 제작사에서 일일이 다 집어넣을 필요가 없는데 왜 계속 전혀 다른 스위치 이야기를 하시냐고요;;;;
한방에발할라
20/11/15 15:26
수정 아이콘
YNH 님// 그냥 콜옵으로 무기쏠 때 트리거만 당겨봐도 진가가 바로 나오는데 게임을 해보시고 말씀하시는 건가요;;;;;점점 뉴욕에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사람이랑 뉴욕에 대해 논하는 느낌이 드는데요.
20/11/15 15:27
수정 아이콘
한방에발할라 님// 그러니까 자동으로 생성되는 진동과 게임 내에서 직접 지원하는게 다른건 아스트로를 해보셨으면 아실거잖아요? 벽보고 얘기하는 기분이라 그만 얘기하겠습니다. 참고로 엑박원에도 임펄스 트리거라고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물론 듀얼센스 것이 더 낫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0/11/15 15:32
수정 아이콘
YNH 님// 저기요....아예 경우가 다른 스위치 사례 이야기하셔놓고 무슨 벽 타령을 하십니까. 그리고 엑박 임펄스는 듀얼센스랑 아예 다릅니다. 전혀 안비슷해요. 양기종 다 굴리는 사람으로서 인터넷에 떠도는 글만 보지 마시고 실제로 잡고 하면 어떤 차이가 나는지 바로 알 수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20/11/15 14:25
수정 아이콘
뭐 발매초기니까 웬만한 불량 문제는 이해하고 넘어갈만한데
이 문제는 사례가 좀 많이 보이긴 하더라고요...
덴드로븀
20/11/15 14:34
수정 아이콘
둘다 안산 사람들이 승자.
우리 모두 승자입니다.
20/11/15 14:38
수정 아이콘
침착맨 우승
20/11/15 15:02
수정 아이콘
전 나중에 욕하더라도 좋으니 일단 둘 다 좀 사고 싶습니다 orz
혜원맛광배
20/11/15 15:10
수정 아이콘
역시 모든 전자제품은 출시후 몇달뒤에 사는게 맞는거 같네요.(없어서 못산거 아닙니다. 아무튼 아니에요;;)
20/11/15 15:28
수정 아이콘
리시버에다 4k 120h 검은화면 버그도 게임기 탓일까요?
티비연결은 정상적으로 된다는데,
Heptapod
20/11/15 15:47
수정 아이콘
빨리 슬림버젼이나 만들자.
쿼터파운더치즈
20/11/15 15:50
수정 아이콘
한두달전에 플스 겁나 패는글에 반박하는글 달았다가 참전안하는게 낫겠다 싶어서
그이후로 플스까는글 엑박까는글 걍 다 패스했는데
아 좀 진짜 내로남불 너무 심한거 같아요 까놓고 말해서
한두달전부터 쭉 엑박 이슈는 루머 아니면 확실한거 아니고 다 모함이다 극히 드물다 뉘앙스로 흘러가고
플스 이슈는 얼마전 발할라나 기동이슈도 그렇고 사면 x신이다식 몰이 + 온갖 루머에 확인사실 안된거 존나 패다가 아닌글 올라오면 쉿
하도 플스 패다가 정작 나와서 반응 좋으니 그 사이 틈타 플빠들이 엑박 패기 시작하고
잠자코 보던 사람들이 엑박 비꼬는 댓글 겁나달고
그러다보니 서로 악에 받혀서 어떻게든 이슈거리 만드려고 대형커뮤에 글올리고
그글올린사람 보면 한명은 엑박빠 한명은 플스빠에요 댓글은 각진영 혐오 반복반복이고
참 게임기가 뭐라고 저정도로 과몰입해서 억지부리니..
대학생이잘못하면
20/11/15 16:46
수정 아이콘
걍 냅두시면 됩니다.
어차피 스펙이니 베타테스트니 하는 사람은 극소수고, 대다수 겜덕들은 나중에 독점작 잘 나오는 콘솔을 살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180 [게임] 테익크2 nba 2k22 섭종으로 잡음 [14] Lord Be Goja6154 24/02/14 6154
491109 [게임] 이번세대에도 사실상 콘솔 판매는 끝난듯한 엑스박스 [22] Heretic11120 23/11/27 11120
487204 [게임] 피파 신작 (FC24) 오버롤 TOP20 [31] 크크루삥뽕8669 23/09/22 8669
485133 [게임] 용량 공개된 올해 최고의 기대작 [29] 묻고 더블로 가!10537 23/08/17 10537
468899 [게임] 충격적인 3D게임 최신 기술 [18] 묻고 더블로 가!10750 22/12/08 10750
468075 [게임] 느닷없이 배틀필드를 구타하는 소니 [47] Lord Be Goja10638 22/11/28 10638
462344 [게임] 귀큰놈 "게임 정가 70달러 시대" [57] 이호철11950 22/09/13 11950
460762 [게임] FM) 축구협회 뒷통수때려도 되나요.JPG [15] 비타에듀7304 22/08/22 7304
458633 [게임] 피파23,여성리그 구현 [20] Lord Be Goja6864 22/07/22 6864
456089 [게임] ???:남자들은 게임하는 것만 보여줘도 돈 잘버네요 [59] 오곡물티슈11141 22/06/13 11141
450679 [게임] 아재들이 뽑은 추억의 고전 명작 PC 게임.JPG [87] 명탐정코난6368 22/03/22 6368
431727 [게임] 스팀의 대량 환불에 게임계를 떠난 개발자 [67] 이호철15851 21/08/30 15851
422815 [게임] 에픽게임즈 무료게임 말고 할인게임 중 살만한것 추천.jpg [2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792 21/05/21 9792
422814 [게임] 에픽게임즈 무료게임 NBA2K21 [31] 번개크리퍼9838 21/05/21 9838
410396 [게임] 2020년 영국 게임 판매량 순위.jpg [8] Heretic6667 21/01/15 6667
408004 [게임] 게임 용량 지금의 10만분의 1이던 시절.jpg [43] 에브니저11948 20/12/23 11948
404867 [게임] IGN 선정 역대 최고의 게임 [83] 아케이드13967 20/11/23 13967
404010 [게임] PS5 베타테스트 근황 [46] 생리학자8277 20/11/15 8277
399022 [게임] PS5 vs Xbox Series 최근 선호도 변화.jpg [57] Heretic9013 20/09/30 9013
398678 [게임] 모든 최신 그래픽카드의 숙명 [39] 빅타리온10905 20/09/26 10905
398177 [게임] [콘솔] 9월 2주차 글로벌 게임 콘솔 판매량 [25] 아케이드6894 20/09/20 6894
396885 [게임] 공포의 수익성 재고 [19] Lord Be Goja9931 20/09/08 9931
395245 [게임] 사실 비유 하나로 설명이 끝나는 일 [72] 미캉10504 20/08/21 105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