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1/10 09:44:07
Name Lord Be Goja
File #1 4847bf9a423ce8b9524fbffdd76c8d51.png (30.2 KB), Download : 43
출처 어낸드텍
Link #2 https://www.anandtech.com/show/16214/amd-zen-3-ryzen-deep-dive-review-5950x-5900x-5800x-and-5700x-tested/9
Subject [기타] 현세대 CPU 클럭당 성능 (코어당 기준) (수정됨)



*같은 아키텍쳐에서 클럭이 올라갈수록 측정되는 클럭당성능은 떨어집니다.
-인텔의 노트북 시피유가  인텔의 데스크탑보다 높게 나오는 이유


**A13이나 스냅의 경우는 빅-리틀(고성능코어+저성능코어)구조기때문에 전체성능으로 하면 당연히 처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스타
20/11/10 09:47
수정 아이콘
지금 5800X 가격이 58만원 후반대까진 얼추 왔는데, 어디까지 내려가면 되려나... 모르겠네요 크크크크

...아 나 VGA도 못 샀지......
블리츠크랭크
20/11/10 09:51
수정 아이콘
브가는 빅나비인지 빅나방인지 보고 사면 되니 괜찮습니다
우스타
20/11/10 10: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5700 XT에서 너무 데여서 엔당으로 거의 확정인지라
하필이면 3080 스트릭스에 꽂혀서, 기다리다가 3080Ti 나오겠습니다 크크크크크
벌점받는사람바보
20/11/10 09:51
수정 아이콘
arm 맥 성능 정말 궁금합니다 크크
마스터충달
20/11/10 09:52
수정 아이콘
점수/클럭인 것 같은데, 이게 무슨 의미인 거죠?
Lord Be Goja
20/11/10 09:55
수정 아이콘
각 아키텍쳐의 클럭당 성능을 가늠해본것입니다.
마스터충달
20/11/10 09:59
수정 아이콘
클럭당 성능을 따져보는 '의미'가 뭔지 궁금해서요.

예를들면 전력당 클럭 같은 경우는 의미가 있습니다. 애가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밥을 왕창 처먹으면 사실상 뻥튀가 아니냐 소리 들을 수 있으니까요.

근데 클럭당 성능이라는게... 성능은 사실상 클럭에 비례하니 계수 빼면 성능=클럭인데

이러면 클럭당 클럭이란 소리처럼 들려서요

이게 무슨 의미죠?
manymaster
20/11/10 10:02
수정 아이콘
계수가 아키텍처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마스터충달
20/11/10 10:03
수정 아이콘
그럼 계수가 무슨 의미인 건가요? 높으면 뭐가 좋은 거예요?
곧내려갈게요
20/11/10 10:06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IPC
1번항목 읽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마스터충달
20/11/10 10:12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찐성능이란 말이군요! 감사합니다.
나일레나일레
20/11/10 11: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재미로는 볼 수 있겠습니다만, 이건 별로 의미있는 자료는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성능을 올리는 방법은, 코어를 늘리는 것을 제외하면, 클럭을 높이거나, IPC를 높이거나입니다.

위에 어떤 분이 IPC의 나무위키 링크를 붙여주셨는데, 이 지표는 IPC와는 전혀 다른 지표입니다.
IPC는 동일한 ISA와 동일한 컴파일러 환경 하에서 아키텍처의 효율성 비교를 할 때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즉, 다른 ISA간의 IPC 비교는 애초부터 의미가 없어요.

특정 프로그램을 컴파일했더니 100만개의 instruction이 생성되었을 경우, 이걸 고정해두고, A 설계의 코어는 IPC가 1인데, 클럭은 몇까지 나오고, 그렇기 때문에 돌려보니 성능이 어떻고, 전력소모량은 어떻고, B 설계의 코어는 IPC는 0.8인데, 클럭을 A의 2배까지 올릴 수 있고, 전력소모량도 A의 2배일 경우를 생각해본다고 가정합니다.

이 때, IPC는 B가 낮지만 시스템 성능은 B가 더 좋고, 대신 B가 전력을 많이 먹고, 전력대비 성능은 IPC가 높은 A가 더 좋으니, A는 전력소모량이 중요한 모바일향 설계로 적합하고, B는 성능을 중시하는 서버나 개인용PC에 적합하구나! 정도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겁니다.

그런데 위에서 벤치 점수를 클럭으로 나누는 건, IPC와는 달리 설계관점에서 별로 의미있는 데이터가 아닙니다.
애초에 서로 다른 ISA간 비교이기 때문에, 동일 프로그램을 컴파일한다고 해도 생성되는 Instruction의 개수 자체가 다른 시점에서 IPC와는 전혀 다른 지표인게 되고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IPC와 클럭은 서로 Tradeoff 관계를 가집니다.
무슨 말이냐면, 클럭을 올리기 위해서는, 한 로직이 수행하는 일을 최대한 쪼개서 여러 군데로 분산시켜 놔야 -즉 프로세서의 Pipeline이 깊어져야- 가능한 것인데, 파이프라인이 깊어질수록 Branch misprediction의 패널티가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을 깊게 만드는 건 IPC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Branch prediction은, 예를 들어, A라는 값이 0이거나 0보다 크면 B를 실행하고, 0보다 작으면 C를 실행하는 식으로 코드의 분기가 있을 때, 실제로 이 분기문을 실행하기 전에 이 분기가 B로 갈지 C로 갈지를 미리 예측해서 실행하는 것입니다. A라는 값이 0보다 큰지 작은지를 비교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걸 기다리는 동안 아무 일도 안 하는건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니까요. 반면, 이 예측이 실패하면 잘못 실행한 걸 버리고 다시 실행해야 하고, 파이프라인이 깊을수록 이 잘못 실행한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IPC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위 그래프에서는 단순히 벤치 점수를 클럭으로 나눈 건데, 이건 동일 ISA, 동일 아키텍처에 클럭만 다른 프로세서끼리는 당연히 거의 같은 값이 나올거라 의미가 없고, 동일 ISA에 다른 아키텍처의 프로세서끼리는 당연히 각 프로세서의 IPC와 거의 유사한 경향성이 나올 거니, 어차피 또 이 지표만의 의미가 없습니다.

서로 다른 ISA끼리 비교한 거는 애초에 말이 안되는게, 벤치 점수라는게 특정 동일한 프로그램을 여러 군데서 실행해보고 점수를 비교한 겁니다.
즉, 이건 ISA, 아키텍처, 클럭 모든 지표를 종합하여 이 프로세서의 성능은 절대적으로 어느 정도이다. 라고 표시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클럭이라는 것을 결정할 때 ISA, 아키텍처는 전혀 관계없는 요소가 아니라 오히려 클럭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인데, 굳이 여기서 클럭을 제외하고 산정한 지표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저는 잘 모르겠네요.

솔직히 이런 비교는 그냥 같은 클럭이면 누가 다 바름, 같은 의미없는 소리 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 외에는 별 의미 없다고 봅니다.
애초에 그 프로세서가 그 클럭인건, 아키텍처, 전력, 수율 등을 고려했을 때 그게 거의 최선이기 때문이거든요.
마스터충달
20/11/10 14:48
수정 아이콘
같은 클럭이면 누가 젤 센가?
였군요... 흠.... 과연 별 의미가....
지구사랑
20/11/10 18:13
수정 아이콘
아주 의미가 없지는 않죠.
어떤 CPU가 예를 들어 5GHz 까지 돈다고 할 때, 다른 4GHz CPU보다 정말 쎈 거냐? 라고 물었을 때,
위의 데이터는 의미를 갖습니다.
마스터충달
20/11/10 18:44
수정 아이콘
근데 전력이나 가성비에 비하면 좀 약한 감은 있네요.
지구사랑
20/11/10 20:23
수정 아이콘
SPEC류의 벤치마크 프로그램이 등장하게 된 이유 중의 하나는 서로 다른 설계 철학으로 만든 CPU들을 비교하기 위한 것입니다.
무지 빠른 대신 단순한 명령어 집합을 갖는 CPU와 조금 느린 대신 아주 복잡한 명령어 집합을 갖는 CPU의 성능을 비교하려면,
최대 동작 클럭 속도에 못지 않게 클럭당 성능을 함께 알아야 하니까요.
다만, 명령어 구조에 대해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축적된 지금은, 구조가 서로 비슷해져서 그 의미가 많이 퇴색했다고 봐야죠.
마스터충달
20/11/10 23:27
수정 아이콘
아... 그래서 나온 수치군요. 감사합니다. 이제 무슨 의도로 저런 걸 만들었는지 좀 알겠네요.
Cazellnu
20/11/10 10:19
수정 아이콘
전력소비까지 본다면 빅나비와 현재 AMD 씨퓨와 셋템 효과과 유의미할정도로 좋으면 그리 가는게 제일 좋을거 같습니다.

다만 빅나방일경우는 제외
데로롱
20/11/10 11:33
수정 아이콘
그런데 risc랑 cisc랑 ipc측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통일된 기준이라는게 없지 않나요?
몽키매직
20/11/10 13:50
수정 아이콘
없죠... AMD 와 인텔도 같은 x86 인데도 동일선상에서 IPC 비교가 어렵습니다.
특정 연산 빠른 걸로 기준을 잡는다 하면 고성능 CPU 도 ASIC 을 못 따라가겠죠.
지구사랑
20/11/10 18:06
수정 아이콘
SPECint, SPECfp 라는 것이 바로 그 이기종들을 비교하기 위해 만든 (벤치마크용) 프로그램들(의 집합)입니다.
조금 더 세밀하게 말하면 사실상 CPU + compiler (+ 최적화 능력) 을 측정하는 겁니다.
기도씨
20/11/10 14:49
수정 아이콘
발열이랑 전력이 발목잡는 모바일 플랫폼을 벗어나면 애플 실리콘이 어느정도 퍼포먼스를 보일지 진짜 궁금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5142 [기타] 퍼서비어런스호 cpu 데스크톱으로 치환하면?... [14] 우주전쟁8047 21/03/03 8047
414434 [유머] 퍼서비어런스호에 탑재된 시스템... [20] 우주전쟁7987 21/02/24 7987
414406 [기타] 인텔 11세대 i9 cpuz벤치 등록 [16] Lord Be Goja7212 21/02/24 7212
411812 [기타] 마각을 드러내는 인텔 11세대 cpu [27] Lord Be Goja10740 21/01/29 10740
411377 [게임] 미쳐날뛰는 번개의 베니마루, 불꽃의 운명의 쿄.youtube [4] valewalker8260 21/01/24 8260
410599 [기타] cpu,MB,RAM | i9 11900K QS 5.2GHz 벤치마크 (vs 10900K 5.2GHZ) [24] TWICE쯔위6907 21/01/17 6907
409134 [기타] [컴덕]주간 인텔 11세대 썰 모음 [9] Lord Be Goja8089 21/01/04 8089
408382 [게임] 안녕하신가? 즐겨주세요 공짜게임 [9] Lord Be Goja8998 20/12/27 8998
407804 [기타] 모습을 드러내는 차세대 안드로이드폰 AP들 ( 888/2100) [17] Lord Be Goja9855 20/12/21 9855
406663 [유머] [사펑] 1060 6기가면 된다고? [43] 제랄드11447 20/12/10 11447
406164 [기타] 인텔 11세대 시피유 슬슬 모습을 ... [32] Lord Be Goja8474 20/12/05 8474
404466 [기타] m1맥북 기판사진 (비교용 stx h310/맥북2019) [14] Lord Be Goja7384 20/11/19 7384
404295 [유머] 인텔 cpu 체험단 조건 [24] ELESIS11105 20/11/17 11105
403476 [기타] [컴퓨터] 컴본갤 민속놀이 cpu-z 벤치 [10] 김티모8300 20/11/10 8300
403473 [기타] 현세대 cpu 클럭당 성능 (코어당 기준) [22] Lord Be Goja8660 20/11/10 8660
401404 [기타] [컴덕]이번에는 정말 다른거 같다.. [8] Lord Be Goja7258 20/10/22 7258
400677 [게임] XSX 실사용 온도 측정값 (소음 추가) [12] 7168 20/10/15 7168
398447 [기타] ???:야 한국! 니들 당장 화웨이와 거래 끊어! [18] 불행10869 20/09/23 10869
398118 [기타] 용팔이들. Asus 유통사와 전쟁 예고. [40] KOS-MOS14308 20/09/20 14308
398106 [게임] 크라이시스 리마스터는 PS3/XB360 기반, 조작이 나빠지고 여러 효과 삭제 [1] TWICE쯔위6428 20/09/20 6428
397698 [기타] 아이패드 에어4 발표 정리 [43] 파랑파랑12226 20/09/16 12226
396701 [텍스트] 은근히 돈이 많이 들었던 업그레이드 경험기..txt [12] 꿀꿀꾸잉10249 20/09/06 10249
396469 [기타] [컴덕계층]인텔과 애플 근황... [7] Lord Be Goja7919 20/09/04 79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