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10/29 04:50:46
Name 이런이런이런
File #1 6D5A1A18_79D1_46DF_BBF8_D362B03A2A5C.jpeg (199.2 KB), Download : 63
출처 디시갤
Link #2 http://m.dcinside.com/board/genrenovel/1538947
Subject [서브컬쳐] 무협갤을 불태운 이형환위로 공격할수 있는가? 글


...그런가요? 무협 알못이라 잘 모르겠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0/29 04:55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가 순간이동이 아니라 순간이동으로 보일만큼 빠른 경공술 아닌가요 머 제기억에는 그랬던걸로 뭐 순간이동으로 치면 텔포 블링크같은 개념도 위에짤이 다 적용되지않을까..
아비니시오
20/10/29 05:29
수정 아이콘
원글 댓글에서 이형환위가 블링크인지 경공술인지 싸우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크크
사실 텔포나 블링크 위치에 다른 물체가 있으면 겹쳐지면서 죽는다는걸 이용해서 강제 텔포로 적을 죽인다는 설정의 판소도 많이 본듯 하네요
20/10/29 05:04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의 운동에너지로 때리면 건물 하나정도는 우습게 날려버릴거같긴한데
20/10/29 05:10
수정 아이콘
그것이 무협이니까
국밥마스터
20/10/29 05:14
수정 아이콘
한번에 죽여버리면 이것은 이형환위?! 라는 대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웃음대법관
20/10/29 10:31
수정 아이콘
완벽한 정답
20/10/29 05:18
수정 아이콘
그냥 경로상에 적을 놓고 이형환위를 시전하면...
임시회원
20/10/29 05:34
수정 아이콘
하이퍼스페이스!
flowater
20/10/29 07:44
수정 아이콘
호우재?
아비니시오
20/10/29 05:31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가 빠른 경공술이라고 했을 때, 이 이동을 못알아차릴 상대면 어떤 방법으로도 가지고 놀면서 죽일 수 있을 만큼의 실력 차이가 난다고 봐야겠죠. 비슷한 상대라면 저 윗방법으로 공격하더라도 알아차리고 피해야 하겠구요
임시회원
20/10/29 05:31
수정 아이콘
블링크 계열이면 굳이 검을 들 필요가 있나요?
아라나
20/10/29 09:07
수정 아이콘
투사무기가 제일 낫다보는 1인입니다만 없으면 들어야죠 흐흐
지르콘
20/10/29 05:34
수정 아이콘
무협은 경공이죠.
그리고 전력 질주하다가 주먹이나 칼을 휘두르는게 쉬운건 아닙니다.
거짓말쟁이
20/10/29 05:36
수정 아이콘
그래서 호위무사 라는 소설을 보면 이형환위가 최강 무공입니다.
20/10/29 05:47
수정 아이콘
롤에서 플래쉬+궁보다 궁+플래쉬가 더 반응하기 힘들다는 정보가 생각이 나네요.
20/10/29 05:51
수정 아이콘
왜 평타 캔슬을 안 하냐 이런 얘긴가여
회색사과
20/10/29 07:31
수정 아이콘
이캔평 ??
한글날기념
20/10/29 06:03
수정 아이콘
쉽게 생각해서 원펀맨의 좌우 반복뛰기랑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면 이형환위를 굳이 안써도 이길 정도의 상대지만
독자들이게 얘가 이 정도는 한다 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 그냥 하는 거지 이유가 있을리가.
20/10/29 06:17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자체가 블링크의 개념이 아니라 잔상이 남을 정도로 빠른 움직임으로 상대를 속인다 라는 개념인데 바로 앞으로 때려가서 잡을꺼면 소설의 맛이..좀 애매할듯 걍 그게 무협이니까 라고 칩시다!
뽀롱뽀롱
20/10/29 06:28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로 공격하면 살기 때문에 다 피할듯


눈에도 보이지 않는데 어찌 피한 것인가!!!

기는 심을 따른다네 보이지 않아도 느낄 수 있으니 어찌 모른다는 말인가
대학생이잘못하면
20/10/29 06:31
수정 아이콘
아니 이 친구들은 벽점멸도 안해봤나
당연히 코앞에서 멈추겠죠. 멈춘 뒤에 칼을 찌르던가 해야지
20/10/29 06:51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보기에 겁나 빨라서 환영이 남을 정도이지, 같은 경지의 무림인에게는 그냥 빠른 움직임인 거 아닐까요. 어차피 설정놀음이지만, 저기 링크의 댓글에도 나와있듯 이형환위가 본문의 그림 같은 개념이 아닌 걸로 압니다. 크크.
20/10/29 07:05
수정 아이콘
같은 무림인이 보기에 겁나 빨라서 환영이 남는다는 개념이긴한데 어차피 설정놀음이죠 크크크크
20/10/29 08:22
수정 아이콘
진기를 다리쪽으로 몰빵하기 때문에 공격에 분배할 수가 없고 따라서 허초밖에 안나갑니다!!
아슈레이
20/10/29 08:24
수정 아이콘
지가 약해서 못본걸 포장하기위해 이..이형환위?
하는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형환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비슷한 실력이라면 다 보이기 때문
티모대위
20/10/29 08:24
수정 아이콘
순간이동이나 순간이동에 비견될 만큼 최고난이도의 경공을 칼 내민채로 하라는것도 이상하긴 합니다.
저게 정말 롤 점멸처럼 버튼 누르면 그냥 되는게 아니고 자세나 집중 같은게 최대치로 필요할 텐데.
다이어트
20/10/29 08:28
수정 아이콘
그냥 주먹 앞으로 뻗은채로 일반인 달리기 하라고 해도 확 느려질것 같은데...
유니언스
20/10/29 08:56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도 설정마다 달라서..
개인적으로 가장 포스있던 이형환위는
태규 소설 천의무봉에서 이형환위는 입신경에 다다라서
순간적으로 또다른 내가 존재하는 신기를 보여주는게 이형환위였죠.
바람의바람
20/10/29 09:23
수정 아이콘
그냥 전 경공의 단계중 하나라고 봅니다.
뭐 초상비 궁신탄영 답설무흔 등평도수 이형환위 허공답보 등...
이 중 최상은 역시 허공답보구요...
즉 순간이동 했다고 느낄만큼 빠르게 이동하는게 이형환위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같은 고수끼리는 다 인지하죠 고로 칼들고 이형환위로 그대로 와봤자
단순한 검로에 카운터 맞고 그냥 저세상행이니 같은 고수끼리는 할 일이 없고
하수 상대할땐 점혈해서 제압하겠죠
Pinocchio
20/10/29 09:25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는 공격기가 아니라 회피기+이동기죠.
지금 우리
20/10/29 09:28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의 정석은 드래곤볼 초기에 나온 잔상권아닙니까! 순간이동이 아닌데!
20/10/29 09:36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는 원래 순간이동이 아닙니다. 그냥 엄청 빠른거지요.
이게 꽤 오랫동안 우려진 개념이다보니 요즘 나오는 마공서 제조기들이 지멋대로 순간이동이라 해석하고 쓴거같아요.
노령견
20/10/29 09:53
수정 아이콘
누가 실험해보고 좀 알려주세요
세츠나
20/10/29 10:08
수정 아이콘
이형환위는 발보등공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죠. 최소한 끼워맞출 여지는 있으니까...이런 논쟁이 있다는건 물리학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나 존중이 있다는 거니까 좋다고 생각합니다.
무릉도원
20/10/29 12:48
수정 아이콘
저 개념은 축지법 인듯 하네요. 공간을 접어서 넘는게 축지법(요게 블링크 랑 비슷한 개념인거 같아요.)
이형환위는 우사인볼트를 바로 옆에서 보는거죠. 엄청 빨라서 둘로 보이는거지 그냥 달리기죠.

그리고 이형환위를 써야할 상대면 상대도 그거 피할수 있죠.
이형환위 안써도 되는 상대면 그냥 칼질하면 되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2493 [LOL] LPL이 다시 롤드컵을 들 유일한 방법 [4] Aqours9879 20/11/01 9879
402491 [LOL] 다데상 투표 in 레딧 [37] 유니언스12685 20/11/01 12685
402490 [LOL] 본인 롤하나도 모르는데 이짤 하나로 모두 이해함 [8] 짱구12013 20/11/01 12013
402489 [LOL] 기자회견발 담원 스킨 현황 [34] foraiur13164 20/11/01 13164
402488 [LOL] 롤드컵 우승 기념 이벤트 반니스텔루이7865 20/11/01 7865
402487 [LOL] 너구리.. 당신은 참 나쁜사람 이에요.jpg [16] 낭천16010 20/11/01 16010
402486 [LOL] 협곡의 대장장이 [8] 자몽맛쌈무9612 20/11/01 9612
402485 [LOL] 스토브리그 주인공은 나야나~ 나야나~ [15] 갓럭시9527 20/11/01 9527
402484 [LOL] 담원 우승의 숨은 공로자 [10] roqur10540 20/11/01 10540
402483 [LOL] LCK 롤드컵 MVP 올스타팀 완성! [17] 고민이될지도몰라9174 20/11/01 9174
402482 [유머] 그것이 알고싶다 주식게임 [17] 와칸나이12116 20/11/01 12116
402479 [LOL] 현시각 베릴 [12] 류수정9170 20/11/01 9170
402478 [LOL] 담원갤러리 근황 [27] 흰긴수염돌고래11867 20/11/01 11867
402477 [LOL] 이게 뭐지? [12] TAEYEON8103 20/11/01 8103
402476 [LOL] 인터뷰를 시작하자마자 구역질이 나옵니다... [6] Brandon Ingram11019 20/11/01 11019
402475 [LOL] 지금쯤 제일 부끄러울 사람 [18] -Aka10519 20/11/01 10519
402474 [LOL] 이시각 플레임 롤드컵 우승 후기 .jpg [14] 오늘처럼만10837 20/11/01 10837
402473 [LOL] LCK 우승의 숨은 공신 [29] 쿠노9363 20/11/01 9363
402472 [유머] 일본 교토의 한 사찰에 걸린 글귀.jpg [7] TWICE쯔위11379 20/11/01 11379
402471 [LOL] ???:롤드컵은 즐거웠나? LCK팬들?? [24] 갓럭시10101 20/11/01 10101
402470 [LOL] ?? : 내 손을 잡아라!! 베릴!! [5] Starlord7844 20/11/01 7844
402469 [LOL] 모두가 착각하시고 계시지만 베릴의 근본은 프리코네가 아닙니다 [12] 박민하9399 20/10/31 9399
402468 [LOL] 아 클레였으면 이겼는데 [1] terralunar7251 20/10/31 72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