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9/26 12:40:45
Name 아케이드
File #1 luna1.jpg (212.6 KB), Download : 66
File #2 luna2.jpg (19.3 KB), Download : 48
출처 https://www.theverge.com/2020/9/25/21455610/amazon-luna-game-streaming-windows-nvidia-gpu-servers
Subject [게임] 아마존 클라우드 게임구독 서비스 발표






아마존에서 클라우드 게임구독 서비스인 루나(luna)를 발표했습니다.

구글 스태디아나 마소 엑스클라우드처럼 클라우드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요.

여기에 마소 게임패스처럼 매달 일정액을 내면 무제한으로 게임을 즐길수 있는 구독형을 결합한 상품입니다.

100여가지 게임을 즐길수 있는 기본구독료는 5.99달러인데, 확장채널 서비스를 지원해 추가요금을 내고 채널을 확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비소프트라는 확장채널을 추가해 구독료를 추가 지불하면 모든 유비소프트 게임을 즐길수 있게 되는 것이죠.

59.99달러짜리 게임 컨트롤러(루나 컨트롤러)를 구매하면 (위 사진)

TV, 웹, PC, 아이폰, 아이패드, 파이어 태블릿 등 거의 모든 플랫폼에서 게임을 즐길수 있고,

게임의 기본해상도는 1080P에 일부 게임은 4K를 지원한다고 하네요.

다른 어떤 플랫폼보다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이고 거기에서 나오는 경쟁력을 무시할 수 없을 듯하고

향후 어떤 확장채널들이 추가되어 갈 것인지도 기대됩니다.

같은 아마존 서비스인 트위치와 연계가 가능해, 트위치 시청중 해당 게임에 즉시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현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로서, 마소 구글 애플에 아마존까지 게임 플랫폼 사업에 진출하게 되었네요.

점점 치열해지는 게임 서비스 경쟁의 행방이 주목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26 12:43
수정 아이콘
와이프 구독 서비스는 언제 나오나요?
아케이드
20/09/26 12:45
수정 아이콘
와이프는 모르겠는데 와이푸(waifu)는 지금도 가능합니다?
모쿠카카
20/09/26 12:47
수정 아이콘
와이프 구독 서비스는 해지시 재산의 절반 정도 위약금 지불해야 합니다만
20/09/26 14:07
수정 아이콘
서비스 해지 안하고 와이프만 교체는 안되나요?
꿀꿀꾸잉
20/09/26 12:44
수정 아이콘
하하 싸워라 싸워
고라파덕
20/09/26 12:50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겜게 가도 되지 않나요?
아케이드
20/09/26 12:51
수정 아이콘
거긴 뭔가 롤게 같아서 쓰기가 부담 됩니다 ㅠㅠ 게시물 하나 밀어내는게 죄의식이 느껴짐;;;
회색사과
20/09/26 12:55
수정 아이콘
그럼 디바이스? 플랫폼은 무엇일까요?
아케이드
20/09/26 12:57
수정 아이콘
콘솔 역할을 하는게 저 컨트롤러구요. 클라우드와 연결하는 앱은 거의 모든 플랫폼으로 출시된다고 합니다.
즉, 피씨 아이패드 아이폰 등으로 앱을 켜고 저 컨트롤러를 이용해 게임을 선택하고 즐기는 형태가 되는 것이죠.
게임 자체는 서버에서 구동되는 거니까 해당 게임에 적합한 하드웨어로 구성이 되어 있겠구요.
회색사과
20/09/26 13:12
수정 아이콘
오옹 게임을 클라우드로 하는 거군요.

핑이나 입력 지연 이슈는 없으려나요?! 대단하네요
아케이드
20/09/26 13:17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네트워크를 경유해야 하다보니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지연이슈의 발생여지는 당연히 있습니다.
다만, 자신이 가진 피씨 사양에 관계없이 어떤 고사양 게임이건 즐길수 있다는 게 매력적이구요.
같은 게임을 피씨로 하다가 밖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연속적으로 즐길수 있다는게 또한 클라우드 게이밍의 장점이죠.
20/09/26 13:05
수정 아이콘
클라우드로 하면 딜레이는 괜찮은가요? 애들이 커서 슬슬 게임기 하나 사줄까 하는데 저런거 있으면 효과적일 것 같은데...
아케이드
20/09/26 13:07
수정 아이콘
빠른 반응 속도를 요하는 게임(격투, FPS) 같은 경우는 딜레이가 좀 신경쓰인다고 하는데, RPG나 어드벤처 같은 게임들은 할만 하다는 평입니다.
매달 저렴한 가격만 지불하면 클라우드 내 모든 게임을 즐길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들용으로도 괜찮다는 생각이 듭니다.
20/09/26 13:06
수정 아이콘
가볍게 한번 경험해보고 싶은데 컨트롤러 가격이 살짝 부담이네요. 딜레이만 적절하다면 매력적인 가격이긴 한데 말이죠.
아케이드
20/09/26 13:09
수정 아이콘
사실 컨트롤러가 콘솔 역할까지 하는데 저 가격이면 싼 거긴 합니다. 딜레이는 국내 서버가 설치된다면 국내 인터넷 환경이 좋으니 그렇게 큰 문제는 안될 거 같은데 국내 서비스가 언제 시작할 지가 관건이겠네요
월급네티
20/09/26 13:09
수정 아이콘
우리 아이들은 저런류의 게임기를 소유하게 되겠군요.
패미컴에서부터 산전벽해네요...
아케이드
20/09/26 13:11
수정 아이콘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투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했으니, 결국은 저런 류의 서비스가 대세가 되겠죠. 말씀대로 정말 상전벽해네요.
미카엘
20/09/26 13:28
수정 아이콘
아이폰, 아이패드..ㅜㅜ 갤럭시도 해 줘!ㅜㅜ
아케이드
20/09/26 13:31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도 출시예정이라고 하네요
미카엘
20/09/26 13:33
수정 아이콘
오오 해 보고 싶네요
쿼터파운더치즈
20/09/26 13:32
수정 아이콘
게임의 넷플릭스화인데 저런 구독서비스가 싸보여서 사놓고 안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라(마치 스팀 할인할 때 사놓고 안하는거나 넷플릭스 결제해놓고 한달에 한번 볼까말까한 사람들이 많은것처럼) 유통하는 사람 입장에선 익숙한 시장만 확보되면 떼돈 벌 아이템이긴 합니다 엑박구독패스도 수입 쏠쏠하다죠
근데 저는 이게 속칭 전세계 헤비게이머들에게 어필하는 형태의 유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런 구독문화가 생활화된 북미권 외에 다른지역에선 아직 반응 미덕지근하거나 실시하지 않는 곳도 많고....
또 게임의 소장유무, 네트워크의 지연(대전이나 fps쪽에선 매우매우 민감한 요소죠) 등등 속칭 기존게임환경과 대비되는 부분도 많구요
개인적으론 북미권 외에는 회의적으로 봅니다 소니나 닌텐도쪽은 저거 도입할 생각 1도 없어보이고
아케이드
20/09/26 13:48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속칭 헤비게이머들은 소장욕구가 있기 때문에 직접 구입을 선호하는다는게 이번 플스5, 엑시엑 예약에서도 어느정도 드러났죠
BD달린 모델이 더 고가임에도 압도적인 수요를 자랑했으니 말이죠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결국은 구독서비스가 대세가 될거라고 보는듯 합니다.
20/09/26 13:55
수정 아이콘
헤비게이머들의 소장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문제는 패키지게임은 모바일처럼 헤비게이머가 밥먹여주는 시스템이 아니다보니...
결국 라이트 게이머들 잡는 방향으로 마소랑 아마존이 눈 돌린거죠.
전 장기적으로 닌텐도는 지금과 같은 전략을 고수해도 먹고사는데 전혀 지장없을거라 보긴합니다.
자사들이 만든 기기 + 압도적 퍼스트 게임 + 소장욕 충족시켜주는 패키지 세트로 말이죠.

당장 게임패스 굴려보면 XX게임 한정판 이런거는 어차피 다시 BD로 굴려야되거든요. 디지털로 사모으는 사람도 소장판은 BD로 사야되는거고.


여담인데 최근에 MS에서 메일이 하나 와서 XBOX 경험자한테 설문조사 (대략 20분짜리)를 하던데 질문의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공유'를 키워드로 잡고 있더라구요. 넷플릭스처럼 가족공유 계정화를 엄청 원하나보다 싶었습니다.
아케이드
20/09/26 13:58
수정 아이콘
닌텐도는 나머지 모든 게임 회사가 닌텐도 콘솔에 게임을 안낸다고 선언해도 살아남을 회사죠 뭐 크크
그래서 소니가 닌텐도를 모방해서 독점 위주로 가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그게 살아남을 길이거든요.
20/09/26 14:0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소니는 당장 ps5때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돈싸움으로 마소한테 밀려 흡수될거 같긴합니다.
지금 독점작도 사실 시원찮고 플스4 전략이었던 과거 명작 예토전생을 플스5에서 계속 우려먹기도 슬슬 한계가 오거든요.

이번에 마소가 베네스다 인수하는게 저는 꽤 크다고보는게 사실 '게임패스'의 가장 큰 약점은 할만한 게임이 없다는건데, 이런걸 세가든 뭐든 인수해가면서 늘리면 장기적으로 고객이 붙을수밖에 없거든요. 결국 게임패스는 말씀하신것처럼 한번 들어오면 나가기가 귀찮아서 잘 안나가는 구독시스템이고...
넷플릭스도 볼만한 콘텐츠가 없다는게 가장 큰 단점인데 이것때문에 디즈니 플러스나 경쟁자들이 달라붙는 상황이죠.
엑박은 완전 반대로 시장 독점이 충분히 가능한 원톱이라... 솔직히 헤비게이머 입장에서는 패키지 시장 줄어드는게 마음에 안들어서 소니가 좀 분전해줬으면 싶긴합니다 크크
아케이드
20/09/26 14:05
수정 아이콘
결국 소니 하기 나름이죠 뭐
망해가던 플스3 말년에 퍼스트파티 독점작 라인이 빵빵 터지면서 기사회생했듯이
계속 터져주면 살아남을 것이고, 라오어2 같은 망작이 쏟아지면 망하겠죠...
결국 콘솔은 독점작 싸움이라....... 그 대표적인 예가 닌텐도구요.
레페리온
20/09/26 13:59
수정 아이콘
이것도 넷플릭스처럼 깍두기 생기는거 아닐까요?
아케이드
20/09/26 14:00
수정 아이콘
네트워크 안 좋을땐 생길 겁니다...
불같은 강속구
20/09/26 14:12
수정 아이콘
스태디아가 요란을 떨면서 출발했는데 요즘은 언급조차 안되네요.
개별 게임을 사야 하는게 아니라는 점, 유비소프트가 있다는 점은 괜찮은데
지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마소보다 확실한 장점을 갖추지 않는 한 ms에 결국 밀릴거라고 봅니다.
마소가 앞으로도 계속 스튜디어 인수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갈거라고 발표했는데 아마존이 보유 게임의 양과 질에서 마소를 능가할 수는 없겠죠.
아케이드
20/09/26 14: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태디아는 뚜껑을 열어보니 뭔가 나사빠진 서비스였죠 이게 무슨 구독도 아니고 일일이 패키지를 사서 클라우드로만 돌릴수 있다는 게...
마소랑 비교하기는 아직 이르지만, 아마존도 자체 스튜디오 설립해서 게임의 양과 질을 늘리고 있기는 합니다.
그리고 진짜 돈싸움 시작하면 아마존이 마소에 밀릴 재력이 아닌데다가 구독자수 1억명이 넘는 아마존 프라임과 연계해 버리면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거 같구요
- 참고 -
2019년 아마존 수익 : 2,805억달러
2019년 마이크로소프트 수익 : 1,430억 달러
불같은 강속구
20/09/26 14:19
수정 아이콘
그렇긴하죠. 원래 스태디아 나오고나서도 구글보다는 아마존을 무섭게 보는 시각이 꽤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0254 [게임] 소니 게임사업부의 돈줄 [59] 아케이드10733 20/10/12 10733
400251 [게임] 컴투스, 독일 게임사 OOTP 인수 [21] 딸기8746 20/10/12 8746
399903 [게임] 가챠를 넘볼 패키지의 BM [11] 고라파덕7507 20/10/09 7507
399894 [게임] [콘솔] 모여봐요 동물의 숲 - 플레이어 성별 및 연령별 비율 [15] 아케이드9510 20/10/09 9510
399804 [게임] 엑시엑 플스5 분해샷 비교.jpg [72] 윤정11219 20/10/08 11219
399761 [게임] PS5 분해 영상 [34] 8542 20/10/07 8542
399710 [게임] 싸펑 2077 근황.jpg [44] 삭제됨11164 20/10/07 11164
399640 [게임] 플랫폼..접근성 차이 [11] Lord Be Goja9151 20/10/06 9151
399558 [게임] 사이버펑크 2077 드디어 골드행 [6] TWICE쯔위6785 20/10/05 6785
399497 [게임] PS5부터 X버튼 실행,O버튼 취소로 변경 [39] Heretic9751 20/10/05 9751
399472 [게임] 플스5 기기 공개한 현재 상황 [46] 한이연12508 20/10/04 12508
399440 [게임] [콘솔] 게임인포머 선정 현세대 최고의 게임 5 [56] 아케이드9066 20/10/04 9066
399416 [게임] 콘솔대전 관련 부기영화의 판결 [68] 모쿠카카9147 20/10/04 9147
399410 [게임] PS5 VGA 성능 분석 (feat. DF) [153] 10945 20/10/04 10945
399334 [게임] [콘솔] 9월 4주차 글로벌 콘솔 판매량 차트 [42] 아케이드6794 20/10/03 6794
399329 [게임] 파도 파도 괴담만 나오는 PS5 [116] 13766 20/10/03 13766
399022 [게임] PS5 vs Xbox Series 최근 선호도 변화.jpg [57] Heretic9157 20/09/30 9157
398866 [게임] 원신) 익숙한 천장이다 [25] 가스불을깜빡했다12134 20/09/28 12134
398753 [게임] 젤다무쌍 게임플레이 공개 [18] 아지매9475 20/09/27 9475
398710 [게임] (스압) 삼국지14 신규 가상 시나리오 - 성씨패란 [60] Davi4ever15690 20/09/26 15690
398698 [게임] 대항해시대 최신 발표 [57] 짱구12221 20/09/26 12221
398687 [게임] 아마존 클라우드 게임구독 서비스 발표 [31] 아케이드10553 20/09/26 10553
398678 [게임] 모든 최신 그래픽카드의 숙명 [39] 빅타리온10995 20/09/26 109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