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8/26 14:03:51
Name metaljet
File #1 Why_Teslas_Model_X_Was_The_First_SUV_To_Receive_A_Perfect_Crash_Test_Rating.gif (2.56 MB), Download : 92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UJTY7ilwSq4
Subject [기타] 테슬라 모델X가 역사상 최고로 안전한 SUV인 이유



기존 SUV 들의 치명적 약점이었던 높은 무게 중심으로 인한 전복 위험을 해결
꿋꿋이 일어서는게 거의 오뚜기 수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8/26 14:07
수정 아이콘
배터리 때문이죠?
루크레티아
20/08/26 14:08
수정 아이콘
저 빛나는 차바닥 무게가 얼마야 크크크
나무위키
20/08/26 14:19
수정 아이콘
오우야 넘어진 쪽 바퀴 축 괜찮을까요?
우주전쟁
20/08/26 14:25
수정 아이콘
비슷한 크기의 일반 내연기관 차에 비해서 차 중량이 더 많이 나가나요?
Lord Be Goja
20/08/26 14:28
수정 아이콘
공차중량 2,550 kg라고 나와있네요
팰리새이드보다 500킬로정도 더 나가나봅니다
츠라빈스카야
20/08/26 15:33
수정 아이콘
국내 쏘울의 경우 가솔린 모델 대비 약 300kg정도는 차이납니다.
잠만보
20/08/26 14:25
수정 아이콘
대신 바닥 돌출부에 차 밑면에 갈리면...
오우거
20/08/26 14:33
수정 아이콘
전기차 무게중심이 바닥에 깔려 있는 최고장점이 코너돌때 승차감이 죽인다(?)고 주워들었는데 실제론 어느정돕니까?
20/08/26 14:35
수정 아이콘
배틀에 유리하겠네요
iPhoneXX
20/08/26 14:36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리튬 배터리 자체가 안전?이라고 표현이 가능한 소재인가 싶긴 합니다. 충격 온도 모두에 취약한대..
잠만보
20/08/26 14:41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그래도 차에 쓰일 정도면 옛날보단 많이 안정성 및 취약성이 증가했겠죠
iPhoneXX
20/08/26 14:44
수정 아이콘
지금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 친구격인 ESS로 쓰이는 애들은 문제 덩어리입니다. 언론에 노출이 많이 안되서 그렇지 지금 해당 사업들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죠. 전기차는 당연히 지금 삼성이나 엘지 주력이라 들이는 공도 다르겠지만 기본적인 부분에 있어서 차이가 날까라는 의심이 항상 드네요.
잠만보
20/08/26 14:46
수정 아이콘
배터리 발전이 더디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 전기차에서 사용할 정도면 성능은 몰라도 다른 부분은 개선이 됬을 꺼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닌가 보네요

전기차에 쓰이는 배터리에 대해 조금 더 설명 해주실 수 있나요?
iPhoneXX
20/08/26 15:08
수정 아이콘
내부 구성에 들어가는 셀이라는 최소단위를 같은 걸로 알고 있어요 흔히 말하는 리튬 배터리라는게.. 자동차 쪽은 파우치 타입이다 뭐다 해서 기본은 같지만 구성이 달라진다고 해야 되나..저도 자동차 쪽은 그렇게 자세히 몰라서 설명 드리기가 어렵네요
잠만보
20/08/26 15:10
수정 아이콘
설명 감사합니다 :)
醉翁之意不在酒
20/08/26 15:11
수정 아이콘
전기차에 쓰는 리튬배터리들이 더 위험합니다. 왜냐면 에너지 밀도가 더 높기때문입니다. ESS화재 같은것들은 뭐랄까 돈 절약한다고 배터리의 극한까지 끌어써서 그런점들이 원인이고, 전기차 배터리 특히 항속거리가 긴 전기차들은 고 에너지 밀도 배터리를 쓰기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태생적으로 높습니다.
물론 테슬라는 업계 제일의 배터리 모니터링과 제어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는 한데 그래도 종종 발화사고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최대 약점이라고 할수있는데 이게 배터리에 불이 나면 엄청난 속도로 연쇄반응이 일어나기때문에 도망칠 시간도 별로 없다는거죠.
여러가지 대책을 개발하고 있지만 현시점 전기차가 가솔린차보다 위험하다고하는건 사실입니다.
러프윈드
20/08/26 15:16
수정 아이콘
여러가지 대책을 개발하고 있지만 현시점 전기차가 가솔린차보다 위험하다고하는건 사실입니다.
-> 사실이 아니라 님의 개인적인 의견이죠

발화사고 확률도 내연기관보다 훨씬 낮으며 인명사고비율도 별반차이나지않습니다.

코나EV 화재가 국내에선 문제긴 한데 테슬라 차량 4종에 대한 발화사고 비율은 내연기관차에 비해 더 낮습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08/26 15: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좀 경솔하긴 했네요.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게 아니고 그냥 업계에서 들은걸로 얘기한거라.
발화사고 확률이 내연기관보다 낮다는 말은 들어본적있는데 가솔린차에 비해 발화가 빠르다는 점을 강조하더군요.
그리고 주차된 상황에서 발화사고가 난 케이스도 있고 이런면들을 기구해서 제가 접촉해본 많은 배터리 기술자들이 자신들은 전기차를 안살거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가솔린차 발화사고보다 전기차의 발화사고 인명피해비율이 비슷하다는 데이터는 본적이 없습니다.
출처를 알려주시면 참고하고 싶네요.
잠만보
20/08/26 15:23
수정 아이콘
이 부분은 전기차가 좀 더 보급화되고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긴 하겠네요

아직까지 전기차가 내연기관 차 대비 얼마나 안전한지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니까요

제가 궁금한 부분은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안정성 입니다 :)
醉翁之意不在酒
20/08/26 15:31
수정 아이콘
전기차 전지에도 여러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테슬라가 채용하고있는건 에너지밀도가 가장 높은 타입이고 닛산 리프같은 차종들이 채용하고있는건 안전성을 중시하는 전지입니다(그래서 닛산은 자신들이 현재까지 0사고라고 항상 자랑하고 있죠. 물론 개발단계와 상용화 초기에 발화사고 같은게 잇었는데 그걸 일본정부의 협력으로 묻었다는 썰이 있긴 합니다만). 물론 전지업체의 제조실력, 자동차업체의 실력 등등 여러가지 요소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LFP라고 하는 종류의 전지들은 발화가 잘 안 일어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국의 BYD사의 차종들 그리고 대형 전기버스 이런애들이 자주 채용하는건데요. 문제는 이놈은 에너지밀도가 낮다보니 항속거리가 안 나온다는 결점이 있어요.
전지라는게 결국 보면 에너지가 얼마나 많이 들어가는가, 에너지를 얼마나 빨리 아웃풋할수있는가, 수명은 얼마나 긴가? 안전성을 얼마나 높은가 이런 것들이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다보니 모든걸 충족하는 놈을 만들기가 아주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설령 만들어냈다고 해도 아마도 양산이 어렵다거나 코스트가 엄청 높다거나 이런 문제가 또 생기게 되구요.
러프윈드
20/08/26 16:06
수정 아이콘
여기서부턴 잘 모르는분야라 질문드립니다!
테슬라의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데도 안정성 및 내구성역시 업계 탑인거같은데,
이는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힘 인가요?
醉翁之意不在酒
20/08/26 16:10
수정 아이콘
러프윈드 님// BMS이 힘이죠.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진정한 실력은 일렉트로닉에 있다고 하더군요. 사실 쓰고있는 전지는 테슬라가 전기차 개발할 당시 이미 있는 상용전지이고 파나소닉의 제조실력이 높아서 전지 균일성이 높다고 해도 차 한대당 수천개의 원통셀이 들어가는데 그걸 제어해 내는건 순전히 테슬라의 실력이라고 하더군요. 애초에 기존 업체들에 납품주문하는게 아닌 엔지니어들을 새로 모집해서 칩부터 새로 설계했다고.....이미 있는 물건들로는 제대로 된 전기차를 만들수없다고 판단했다네요.
러프윈드
20/08/26 16:04
수정 아이콘
적어도 테슬라에 대한 발화안정성은 확보됬다고 봐야할것같은데요

차량댓수도 판매기간도 충분히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할만한 숫잔거 같습니다.
Phlying Dolphin
20/08/26 16:22
수정 아이콘
화재 관련 통계가 나온 게 있나요? 아직 나올 만한 시기가 아닌 것 같은데...
러프윈드
20/08/26 16:51
수정 아이콘
모델S는 발매된지 무려 8년이된 차로 보통차 같으면 풀체인지한번에 페리까지 받았어야하는 주기입니다
20/08/26 14:44
수정 아이콘
지우개 따먹기 최적화
헤이즐넛주세요
20/08/26 14:46
수정 아이콘
전복한 뒤에 한번더 뒤집으면 충격이 두배되는 거 아닙니까? 크크
Faker Senpai
20/08/26 14:57
수정 아이콘
으아아아
테슬라 주식 사러 갑니다.
겨울삼각형
20/08/26 15:04
수정 아이콘
이천슬라를 넘어 삼천슬라 가나요?
인생은이지선다
20/08/26 15:09
수정 아이콘
덕분에 매도 타이밍 잡습니다.
Faker Senpai
20/08/26 15:47
수정 아이콘
유게라 드립친거니까 저때문에 팔지말아요 ㅠㅠ
블레싱
20/08/26 15:22
수정 아이콘
pgr발 악재네요
StayAway
20/08/26 15:00
수정 아이콘
기존SUV도 바닥에 무게추 달면 되지 않나요? 한 300키로 정도
바닥에 배터리가 무게 많이 잡아먹는게 꼭 좋은건 아닌거 같은데..
醉翁之意不在酒
20/08/26 16:17
수정 아이콘
연비가 나빠지죠....
전기차는 전지가 무겁다보니 어쩔수없는거고
20/08/26 15:06
수정 아이콘
SUV로 전복되어 폐차해본 경험에 비춰 얘기해 보자면...본문의 영상은 택도 없어 보여요 ;;
아스팔트 였다면 뒤집혀진 채로 저 멀리 떼굴떼굴이었을거 같아요
전 실제로 떼굴떼굴 후 어찌된 영문인지 제자리로 돌아오긴 했는데
영상은 뒤집어 지기 좀 더 어려운대신 뒤집어 지면 돌아오기가 더 어렵지 않을가 싶기도 하네요
20/08/26 15:09
수정 아이콘
더 굴러가려는 걸 바퀴에 연결된 줄이 잡아준 거 아닌가요?
덴드로븀
20/08/26 16:50
수정 아이콘
https://news.joins.com/article/23854891

정보 : 테슬라 주식은 곧 5:1 액면분할된다.(28일)
20/08/26 16:56
수정 아이콘
테슬라 전기차는 지금 딱 두 가지 약점밖에 없습니다.(근데 큰 약점...)
아직도 충전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충전이 편리한 주거지역에 거주해야 한다.
그 외에 주행성 경제성 편이성 등등 일반차가 비교가 안됩니다.
오렌지꽃
20/08/26 23:13
수정 아이콘
품질, 마감도 비교가안되죠
20/08/27 13:33
수정 아이콘
생산 능력도 비교가 안되지 않나요?
오렌지꽃
20/08/27 21:53
수정 아이콘
사실 윗분이 말한 세가지 모두 기존 내연차한테 안되긴 합니다. 모델3같은 중형 썩차살돈이면 아우디 준대형 살수있죠
20/08/26 17:02
수정 아이콘
이게 테넷인가 그거냐?
살아가라~
20/08/27 08:13
수정 아이콘
승객이랑 짐이 있으면 무게중심이 달라지지 않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6594 [기타] 미국 역사상 재난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날들 [30] 짱구10766 20/12/09 10766
406042 [기타] [주식] 가슴이 웅장해진다... [40] 덴드로븀14012 20/12/04 14012
405736 [기타] 한국인이 일본에서 돈 버는법.jpg [24] 아롱이다롱이14517 20/12/01 14517
405690 [기타] 흔치않은 역사적 기회를 잡은 해주갤러 [19] Lord Be Goja10501 20/12/01 10501
405165 [기타] 역사를 단어로 배우면 안되는 이유 판을흔들어라6696 20/11/25 6696
404923 [기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사람을 죽인 독재자 순위 [59] 기사왕12308 20/11/23 12308
404832 [기타] 소니 근황 [18] 어서오고10170 20/11/22 10170
404386 [기타] 인류 역사상 정지화면 최다기록 영화 [21] 쎌라비10409 20/11/18 10409
403073 [기타]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 팬들.... [6]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7413 20/11/06 7413
402787 [기타] 시범운행이라서 정말 다행 [49] 판을흔들어라11279 20/11/03 11279
402520 [기타] [역사] 한니발의 칸나에 전투 그림 설명 [17] 아케이드7730 20/11/01 7730
402302 [기타] 의학 역사상 가장 극적인 순간 그리고 [21] 쎌라비10087 20/10/30 10087
401549 [기타] 인류 역사상 가장 불쌍하신 분 [7] 쎌라비8420 20/10/23 8420
400775 [기타] 중국의 역사인식 [11] 판을흔들어라9800 20/10/16 9800
400443 [기타] 생각보다 더 풍족했던 나일강 이집트 문명 [9] 판을흔들어라10126 20/10/13 10126
400316 [기타] 일본유학의 위험성 [56] 이호철13832 20/10/12 13832
400200 [기타] 프랑스에게 전쟁 선포하던 시절 히틀러의 인기...... [57] TWICE쯔위15455 20/10/11 15455
399418 [기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강했던 시기.JPG [31] TWICE쯔위12165 20/10/04 12165
399287 [기타] 인류 역사상 최고의 전쟁의 신 1위는 누구일까?.jpg [39] 김치찌개9397 20/10/03 9397
398608 [기타] 외면받는 우익교과서 [19] 불행14953 20/09/25 14953
398467 [기타]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충격적인 장면.jpg [58] 김치찌개13338 20/09/23 13338
398292 [기타] [약후방] Chloe Rose - Resort 2020 full show [16] BTS10200 20/09/22 10200
396390 [기타] 역사상 최악의 태풍 피해 [7] 물맛이좋아요9569 20/09/03 95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