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8/19 00:25:01
Name 키류
File #1 1.jpg (908.4 KB), Download : 79
File #2 2.jpg (380.3 KB), Download : 68
출처 fmkorea
Subject [게임] 옛날 게임들의 도트 그래픽 구현 방법







대단하네요 진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8/19 00:35
수정 아이콘
야숨 제작진 "최적화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콘솔은 스위치가 처음이었다"
크레토스
20/08/19 07:47
수정 아이콘
위유판 이식한거라 크크
개발괴발
20/08/19 00:42
수정 아이콘
기가바이트급 메모리가 보급되면서 이제는 에지간하면 괜한 메모리 최적화보단 걍 다 램에 올리는게 편하게 되고 그런 시대가 됐네요...
이정도 메모리 있는데 메모리 부족 뜨면 누수가 생겼거나 정말 발로 짠 코드거나 둘중 하나...
동년배
20/08/19 00:44
수정 아이콘
스프라이트 배울 때 참 신기했다고 삼촌이...
기사조련가
20/08/19 00:45
수정 아이콘
몰라여 복잡해 ㅡ.ㅡ 어차피 공돌이들이 알아서 해주겠지
류지나
20/08/19 00:46
수정 아이콘
당시 도트 노가다 게임(동급생... 기타 등등)을 보면 경외감이 들더군요. 이걸 다 찍었다고?
20/08/19 11:50
수정 아이콘
요새는 어떻게 그리나요? 결국 칸 채우는건 마찬가지 아닌가요?
류지나
20/08/19 12:46
수정 아이콘
요즘은 그냥 jpg 원화로 그리거나 3D 모델링 하지 않나요?
20/08/19 13:14
수정 아이콘
도트는 그렇게 못하나보죠?
류지나
20/08/19 13:23
수정 아이콘
본문의 내용이 그 내용입니다. 당시 기술로는 그림을 그대로 띄우는게 불가능하다는거죠. 용량 문제로.
요즘 그림 한장이 메가바이트 단위인데 저 당시 컴퓨터가 16kb에 불과하니까요.

그래서 점묘화를 찍듯이 사각형의 공간에 색깔 배분을 해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그림이 되도록 만들었던 것이 당시의 방법입니다.
20/08/19 14:45
수정 아이콘
아. 이해했습니다.
전 도트도 그냥 일정 영역 원하는 색으로 지정해서 그린 줄 알았는데, 이게 용량 제한 있다보니 각 영역별로 색제한 안에서 배분해서 지정한거군요.
20/08/19 00:46
수정 아이콘
혹시 영상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20/08/19 01:0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빙짬뽕
20/08/19 00:51
수정 아이콘
일러그린다음 뒤에 깜지대고 스프라이트 찍었으려나...
20/08/19 01:00
수정 아이콘
제가 90년대 초~중반에 닥터할로라는 그래픽 프로그램 쓸때 인쇄된 일러스트 위에 투명셀로판지를 대고 네임펜 같은 것으로 그림을 트레이싱 한 다음 셀로판지를 컴퓨터의 모니터에 테이프로 고정시키고 도트 찍었었습니다.
빙짬뽕
20/08/19 01:02
수정 아이콘
모니터에 테이프로 고정시키고... 존경합니다
풀풀풀
20/08/19 00:54
수정 아이콘
음 완전히 이해했슴
므라노
20/08/19 01:10
수정 아이콘
코딩도 옛날엔 정말 눈물겹게 온갖 수단을 다 써서 최적화 했더라죠.
지금은 처리 가능 용량도 확 늘고 퍼포먼스도 빨라져서 옛날에 비해 최적화에 신경을 덜 쓴다고 들었습니다.
작동이 좀 비효율적이면 어떻습니까 그냥 스펙으로 찍어 누르면 돌아가는데.
DownTeamisDown
20/11/06 2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에는 코딩효율성이라고 얼마나 빠르게 만드냐가 중요하죠. 작동효율성 올린다고 프로그래머가 시간쓰는게 더낭비인시대라서...(물론 일부게임들보면 어느정도는 효율성 맞춰야하지만요)
그리고 발적화지만 괜찮아의 대표적인 케이스라면 베그를 들 수 있습니다
시무룩
20/08/19 01:30
수정 아이콘
와 정말 대단하네요
한 10년전까지만 해도 게임들 최적화 이야기 많이 나왔었는데 언제부턴가 최적화는 쏙 들어가고 사양 이야기로 바뀌더라구요
물론 지금도 최적화가 잘 된 게임들이 있긴 합니다만 하드웨어의 발전이 정말 굉장하네요...
Janzisuka
20/08/19 02:05
수정 아이콘
창세기전4 : ?????
어름사니
20/08/19 01:30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최적화를 위해 공돌이들이 갈려나갔다면, 지금은 퀄리티를 위해 갈려나가고 있죠.
엔티티
20/08/19 01:46
수정 아이콘
이런게 예술이지...
20/08/19 06: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간에 [화소의 위치와 색을 기억하는 하나의 구역은 1바이트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됩니다.] 를 보고 어떻게 40x25의 위치와 색을 1byte에 어떻게 저장하지 했는데, 정확하게는 [배경색과 전경색을 표현하는데 1바이트] 라는 거였군요.

그런데 제가 잘 이해가 안된거 같은데 어떻게 9kb 로 화면 전체를 구동한다는 건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전경색과 배경색이 1byte라고 했고 (8-color면 정확히는 6bit가 아닐런지..) 셀의 갯수는 총 1000개라서, 서술된 대로 계산하면 1000byte라는 건데..
20/08/19 08:19
수정 아이콘
구역으로 나눠서 담은 컬러 정보만 1000바이트이고, 각 픽셀별 정보, 즉 흑백과 같은 정보가 8킬로바이트를 먹죠.
20/08/19 09:37
수정 아이콘
어.. 그건 아닌것 같습니다. 각 픽셀별로 처리하도록 쓰면 램이 부족해서 우회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인데요. 그리고 컬러정보에서 흑백도 표현됩니다
20/08/19 09:58
수정 아이콘
각 픽셀별로 16컬러를 담으려면, 픽셀별로 4비트를 먹여야 하고, 320*200 픽셀 전부에 4비트를 먹이면 (본문에 따르면) 32KB가 필요합니다.
이걸 우회하기 위해서, 모든 픽셀에 대한 건 흑백과 같은 정보, 즉 문자색인지 배경색인지의 정보만 두고, 문자색과 배경색이 실제로 무슨 색인지는 구역별로 담는거죠.
raindraw
20/08/19 07:07
수정 아이콘
빌게이츠도 대단한 프로그래머인게 4KB 메모리에서 돌아가는 베이직 인터프리터를 만들었죠. 거기서 돌아가는 건 정말 상상도 안가는데 말입니다.
퀀텀리프
20/08/19 07:42
수정 아이콘
(완벽히 이해했음 짤. 읽다 말음)
게르마늄
20/08/19 08:56
수정 아이콘
아....모눈종이
20/08/19 08:57
수정 아이콘
8 bit guy네요
이 분 유튜브 재미있습니다
공돌이 감성...
지켜보고있다
20/08/19 10:11
수정 아이콘
성공한 덕후.... 다른 채널에선 키보드 수집하죠
월급루팡의꿈
20/08/19 09:35
수정 아이콘
이야 도트장인들께 경의를..
NoWayOut
20/08/19 11:10
수정 아이콘
정말 유용한 내용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6319 [유머] 어릴때 느낀 빈부격차 .jpg [35] 꿀꿀꾸잉12865 20/09/02 12865
396318 [LOL] 괴물신인 BJ이차함수 근황 [19] 파랑파랑11263 20/09/02 11263
396317 [게임] 예비아빠 게이머를 위한 공유기와 공유기에 부착가능한 애드온 [14] Lord Be Goja8612 20/09/02 8612
396316 [게임] 평범한 크루세이더 킹즈 3 [34] MiracleKid12300 20/09/02 12300
396315 [서브컬쳐] 한국만화계 노양심 양아치 삼대장.jpg [28] 삭제됨11828 20/09/02 11828
396314 [연예인] 학생 아님 [29] 치열하게11894 20/09/02 11894
396313 [LOL] 드라마같은 2020 DRX [43] 맹물11744 20/09/02 11744
396312 [서브컬쳐]  뉴 노멀 시대 일본의 발명품2 미소가 보이는 마스크 [8] Lord Be Goja8048 20/09/02 8048
396311 [기타] 뉴 노멀 시대 일본의 발명품 [12] 불행10111 20/09/02 10111
396310 [방송] 도 넘은 악플로 결국 사망2.jpg [20]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12350 20/09/02 12350
396309 [기타] 현대자동차 코나 페이스리프트 공개 [32] 레이오네10174 20/09/02 10174
396308 [기타] [속보] 9월3일 내일, KFX 시제 1호기 공개.. 7개월 앞당겨 [22] 아롱이다롱이12763 20/09/02 12763
396307 [게임] 외형만 보면 닌텐도 공식일거 같은 제품 [28] Horde is nothing13005 20/09/02 13005
396306 [유머] 그래픽... 중요성... [5] KOS-MOS10481 20/09/02 10481
396304 [방송] 도 넘은 악플로 결국 사망.jpg [14] Star-Lord13922 20/09/02 13922
396303 [기타] 식당..손님 호불호 [11] Lord Be Goja11078 20/09/02 11078
396302 [기타] 우리나라 활이 최강인 이유 [26] 퀀텀리프13253 20/09/02 13253
396301 [게임] 4명의 게이머가 죽었다 [14] 고라파덕8827 20/09/02 8827
396300 [LOL] 힐교수님이 미드에서 마공점을 쓴 이유 [9] iwyh9627 20/09/02 9627
396299 [유머] 크킹3가 갓겜인 이유 [8] 시니스터8340 20/09/02 8340
396298 [유머] 히로시마에 떨어진 폭탄은 반경 2km내 모든걸 파괴했습니다.jog [30] 동굴곰11499 20/09/02 11499
396297 [기타] 어벤저스 빅3에게 핵심이 되었던 사람들 [9] 니나노나9134 20/09/02 9134
396294 [서브컬쳐] 재평가 받고 있는 공주님 [8] 요그사론9997 20/09/02 99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