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6/19 07:58:42
Name 꿀꿀꾸잉
File #1 204a66f1_b9a2_476b_a62d_e24d15f042aa.jpg (45.2 KB), Download : 45
File #2 3fc5c791_827b_47fd_af7e_0ef31f646d37.jpg (38.9 KB), Download : 36
출처 mlbpark
Subject [유머] 삶의 만족도와 소득비교.jpg (수정됨)




600만원은 벌어야 겠구만..
물론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닙니다. 한 95%정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모이맨
20/06/19 08:02
수정 아이콘
이렇게 정직할수가
20/06/19 08:02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땐 돈이 최고인 줄 알았는데
나이 들어 보니 정말 그렇더라 ?!
500만 구간에서 만족도가 살짝 꺾이다니, 흥미롭네요.
20/06/19 08:14
수정 아이콘
일이 그만큼 힘들어서 아닐까요
구혜선
20/06/19 08:18
수정 아이콘
600만 이상은 거의 전문직급이고,
대기업 정도 기준으로 300만대, 400만대, 500만대 받는 나이를 고려하면.. 나이가 들고 더 올라갈데가 없는 시점에서 삶의 만족도가 좀 낮아지는게 아닌가 싶어서 연령별로 나눠서 봐야 더 정확할 것 같네요.
아스날
20/06/19 08:50
수정 아이콘
뇌피셜로 500구간은 40대가 많을것같은데 많이 벌지만 많이 나가죠...
애들 사교육 같은걸로...
Eulbsyar
20/06/19 08:12
수정 아이콘
월 300 넘어가면 혼자서 먹고 사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금액이긴해요

적당히 써도 월 백단위 수준으로 저축이 가능하고

199만 밑으로는 라면라면라면 해버려야 빚 갚고 하면 20~30만원 겨우 저축 가능한데
OnlyJustForYou
20/06/19 08:13
수정 아이콘
일정구간까지는 우상향이라고 알고있었는데 꺽이는 게 신기하네요 눌림목인가 -_-

뭐.. 그정도 소득을 얻기 위해 들이는 수고와 노력이 너무 커서 만족도가 떨어지는 건가 싶네요
곽철용
20/06/19 09:04
수정 아이콘
고소득노동자레벨인데 그 만큼 하드워킹해서 그럴까요?
그 위는 대부분 사업소득이나 금융소득의 영역이고

글고 저쯤벌면 고소득자들 삶이 좀 보이기 시작하는데 상대적 박탈감도 시작될듯
히로미
20/06/19 10:11
수정 아이콘
이 자료만 봐서는 추정하기 힘들지만 600만원 이상 풀이 다양하게 섞여있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가령,
임금 소득자는 만족도가 낮은데 저정도 받는 임금 소득자는 비율이 낮아 희석 된다거나
20/06/19 08:14
수정 아이콘
아직도 인생 모토로 삼는 말이 하나 있는데, 군대 전역할때 행보관님 왈,
[건강은 돈으로 살 수 없다. 하지만 돈이 있어야 건강을 지킨다]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돈이 인생에 많은 부분을 충족시켜주는건 부정 할 수 없는 사실이죠.
먹구름
20/06/19 08:36
수정 아이콘
저는 그게 결국 건강도 돈으로 사는거나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없어서 택시타면 아껴지는 시간 만큼 돈으로 산거라 생각하고요.
적고나서 보니 영화 인타임이 생각나네요 하하
카루오스
20/06/19 08:20
수정 아이콘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면 돈이 부족한게... 크크
츠라빈스카야
20/06/19 08:20
수정 아이콘
몇인 가족 기준인가요? 1인가족이면 월 300이라도 중복지출부분 감안해도 4인가족 월 6~700급보다 만족스러울 수 있을텐데..
뽀롱뽀롱
20/06/19 08:21
수정 아이콘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면 돈이 모자란게 아닌가 생각해봐라 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난 언제쯤 행복해지려나...
20/06/19 08:22
수정 아이콘
부자를 타부시 하는 한국사회에서 돈이 전부가 아니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 라는 말을 많이 하지만
돈이 전부가 아니다 [하지만 최소한 중요한 요소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 [하지만 불행할 확률이 높다] 라는 말의 줄임말이라고 생각합니다
20/06/19 08:28
수정 아이콘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
살 수 있을만큼 돈이 충분치 못하니까.
세종대왕
20/06/19 08:32
수정 아이콘
적절한 통계네요.
캐슬히트
20/06/19 08:33
수정 아이콘
확실히 200대 벌던 때랑 300대 벌던 때의 만족도 체감이 다릅니다. 200대는 노동에 비해 마음이 더 힘들었는데, 300대는 절대 노동량은 늘어났지만 결혼 생각이나 주변 사람들 챙길 여유, 장기투자를 위한 저축 등 할 수 있는게 많이 늘어났어요.
20/06/19 08:36
수정 아이콘
출산률은 0.5 이하도 멀지 않았군요.
20/06/19 08:41
수정 아이콘
지금 20대가 중년 넘어갔을때는 아래 통계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군요
20/06/19 08:43
수정 아이콘
영양제부터 비쌀수록 대게 효과도 좋더군요. 역시 건강도 돈이 있어야...
아스날
20/06/19 08:45
수정 아이콘
딱 월 50만 더 벌면 더 행복할것같긴하네요...
물론 그 때되면 더 벌고싶겠죠...
20/06/19 08:52
수정 아이콘
저기서 더벌면 왜이렇게 돈이 빨리 안모이지? 어서 건물주 해야되는데, 건물은 너무 비싸..라며 좌절하는 시기가 한번은 온다더라구요
20/06/19 09:03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다른 조건이 비슷하다고 할때

돈도 있다 vs 돈은 있다 vs 돈만 없다 vs 돈도 없다

라면 우열은 어느정도 나눠지겠죠.
엔지니어
20/06/19 09:30
수정 아이콘
300이상은 비슷하네요..
그런데 세후일까요 세전일까요?
백년지기
20/06/19 09:30
수정 아이콘
이걸 보고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살수 있다란 결론이 나오죠...?
월 소득 200만과 500만의 행복감 차이가 6%네요. 소득은 두배 이상인데. 심지어 300만원보다 낮고.
300-400만원 정도의 소득이 한계효용이고 그 이상은 행복감과 연관이 적다 정도.. 같은데요?
20/06/19 09:31
수정 아이콘
굳이 첨언을 하자면..
600만원 이상을 벌어도 삶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30%이상이나 있고..
100만원 이하를 벌어도 삶에 만족을 느끼는 사람이 40%이상이나 있다는 점이 눈길이 가네요.
20/06/19 09:38
수정 아이콘
600만원 이상부터는 구간별 표기가 되어 있지 않아서 알수는 없지만 어차피 일정비율의 사람은 월 1억을 벌어도 삶에 만족도가 있다고 답변할수 없을것 같아서 삶의 만족도가 꼭 돈으로 살수는 없는거라는 입증자료가 되는것 같네요.
Faker Senpai
20/06/19 09:44
수정 아이콘
"돈으로 행복을 살수없다고 생각한다면 충분히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란말이 떠오르네요.
돈이 많음으로 더많은 선택지가 주어지고 더많이 주변에 베풀수있고 더 자유울수있는데 어떻게 더 안행복합니까?
20/06/19 09: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르게보면 월 300이상부터는 더 벌어도 삶의 만족도가 크게 변화가 없는 거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0/06/19 09:52
수정 아이콘
돈도 재화니만큼 한계효용은 있겠죠...
그러니 진짜 돈이 어마어마하신분들은 명예같은걸 얻어보겠다고 정치권에 기웃기웃하는 케이스같은것도 있는거겠죠...
20/06/19 09:57
수정 아이콘
한계효용이 있는 건 당연한데 그게 월 300이면 흔히 생각하는 돈인면 행복을 사는 세상.. 을 말하기에 너무 적은 액수여서요. 전 오히려 300이상부터는 돈은 행복에 큰 영향을 안 주는 걸 보여주는 자료로 보입니다.
熙煜㷂樂
20/06/19 09:59
수정 아이콘
보통 저런 그래프에서 이야기하는 월소득은 한해 전체소득/12인가요? 아니면 보너스 별도인가요?
세전, 세후 어느쪽인가요?
어디에 해당하는지 알수가 없어서...
20/06/19 10:06
수정 아이콘
300 이상부터는 큰 차이가 없군요
이 시점부터 워라벨이 중요한듯?
20/06/19 10:17
수정 아이콘
돈이 많다고 행복한건 아니지만 없으면 고통스러울 확률이 높긴하죠
티모대위
20/06/19 10:20
수정 아이콘
나이들수록 자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는군요
20/06/19 10:27
수정 아이콘
지금 20대가 60대가 된다고해서 자녀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드라마틱하게 늘어날 것 같지는 않네요. 그냥 세대차이라고 봐야...
티모대위
20/06/19 10:37
수정 아이콘
뭐든 단언할 수 없는 거죠.
세대차이뿐만도 아닐꺼고 나이차이뿐만도 아닐거고.
20/06/19 10:34
수정 아이콘
600 넘어가면 만족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는다고 하던데 딱 600까지만 나와있네요 크흡
사실 소득보단 순자산 지표를 기준으로 설문을 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많이 버는 만큼 대부분 본인 시간을 많이 갈아넣는 거라..
저격수
20/06/19 10:48
수정 아이콘
연령, 자산별로 나누어보는 것이 좋겠네요.
간손미
20/06/19 11:52
수정 아이콘
소득보다는 자산까지 함께 봐야 의미가 있을듯요
천원돌파그렌라간
20/06/19 12:15
수정 아이콘
돈으로 행복을 살수있습니다 돈으로 살수없는 행복은 그 돈의 액수가 모자랄뿐인거죠
소금사탕
20/06/19 12:26
수정 아이콘
소득이 오르면 세금도 오르는데
일의 강도도 쎄진거에 대한 보상이 꺾여서 행복도가 쭈욱 오르지 않을겁니다 500~1억 구간에서
근데 천만 2천만, 그 위로 다시 월급이 수직상승하면 또 어느정도 오르겠죠
20/06/19 13:02
수정 아이콘
600이후로 800 1000 2000 구간도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로도 저 정도가 최고 만족도라고 알고 있어서요.
20/06/19 13:12
수정 아이콘
사족인데 밑짤보니 출산률은 앞으로 더 떨어지겠네요..
나제아오디
20/06/21 12:53
수정 아이콘
최고 조사치가 좀 낮은듯요. 월 2,3천정도까지 조사해봤면 좀 더 흥미로울 수도.. 왠지 만족도가 폭발하는 월수입이 있을거 같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1918 [기타] 요즘 결혼하는 사람들 수준 (Feat.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보고서) [88] 훌게이14877 21/05/10 14877
420451 [유머] 연봉(초봉)이 가장 높은 학과는 지리학과 [29] 추천11220 21/04/24 11220
420320 [기타] 미국 황상발 FUD.jpg [16] 피를마시는새11981 21/04/23 11981
413923 [기타] 서학 개미&기관이 번 돈, 삼성전자 영업익의 2배 [22] 피쟐러8867 21/02/19 8867
409918 [게임] 신작게임 망해서 빡돌아버린 폴란드 근황.jpg [26] TWICE쯔위13728 21/01/11 13728
409024 [유머] 행복은 소득순이 아니다! [30] 껌정11678 21/01/02 11678
406998 [기타] 드디어 풀린 조디악 킬러의 암호 [6] 추천8496 20/12/13 8496
406309 [서브컬쳐] 월 10~20만원 받는 재택알바의 위험성 [20] 피쟐러10920 20/12/06 10920
398414 [유머] 경희대 에브리타임 [100] 불행13900 20/09/23 13900
398401 [유머] 2020 이그노벨상 수상자 목록 [16] 불행10299 20/09/23 10299
395139 [유머] 월 소득별 30대 남자 기혼자 비율.jpg [57] 꿀꿀꾸잉12492 20/08/20 12492
393831 [유머] 벨라루스 여성들이 원하는 남편의 소득 [58] 키류12923 20/08/04 12923
393099 [유머] 연령대별 월 가구 총 소득의 운용 [10] 꿀꿀꾸잉10206 20/07/28 10206
392574 [기타] 지역별 소득 순위.jpg [14] 김치찌개8815 20/07/22 8815
390169 [서브컬쳐] 대학입학에 소득이 반영된다고? [95] 피쟐러10524 20/06/26 10524
389414 [유머] 삶의 만족도와 소득비교.jpg [48] 꿀꿀꾸잉12605 20/06/19 12605
382420 [LOL] 감탄밖에 안나오는 어제 젠지전 하이브리드의 한타.JPG [18] 이는엠씨투9261 20/04/09 9261
375685 [유머] 연말정산 하나도 토해내지 않는 꿀팁 [12] 손금불산입10702 20/02/01 10702
372396 [유머] 돈 많을수록 행복하다. [12] 불행9718 19/12/23 9718
371799 [기타] 한국 청소년 운동부족 세계 1위 [73] 크레토스14069 19/12/15 14069
371717 [기타] 2019 대한민국 양육비 계산기 [54] 오츠이치14003 19/12/14 14003
368936 [기타] 미국 기준 가성비 높은 / 낮은 전공들 [63] OrBef12274 19/11/13 12274
365863 [게임] [오버워치] 넌 강해졌다 저격해.mp4 [3] 손금불산입6077 19/10/12 60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