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6/15 16:45:24
Name KOS-MOS
File #1 b0306953_5ee564ebec467.jpg (42.5 KB), Download : 63
출처 몰라 야발
Subject [유머] 이과놈들아. 킹 받는 만화를 가져와따.


혼자 보기 아까우니 같이 보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15 16:46
수정 아이콘
탄성으로 인해 잃는 에너지가 없다고 하더라도, 공이 내려갔다 올라오는 시간동안 곰이 공중에 떠 있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20/06/15 16:5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점프를 했잖아요
연필깍이
20/06/15 18:25
수정 아이콘
공이 곰보다 으쌰으쌰 빨리가면 됩니다
빙짬뽕
20/06/15 16:47
수정 아이콘
저희학교 게시판에 저게 올라와서 난리가 난적 있죠 완전 부흥회 수준
홍준표
20/06/15 16:47
수정 아이콘
어 이거 진짜 됩니다. 저 이거 비슷한거 슈마메에서 봤어요.
20/06/15 17:11
수정 아이콘
슈마메에서는 밑에 음표블럭이나 스프링같은게 있어야...
콩사탕
20/06/15 16:48
수정 아이콘
곰이 초상비를 익혔군요.
20/06/15 16:49
수정 아이콘
그냥 정규교육 받은 사람이라면 굳이 문과 이과를 나누지 않아도..
興盡悲來
20/06/15 16:50
수정 아이콘
하긴 곰...
ComeAgain
20/06/15 16:50
수정 아이콘
마리오 안 해봤어요?
티모대위
20/06/15 16:51
수정 아이콘
그냥 간단하게 불가능합니다.
곰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공을 뒤로 차야 하는데, 그러면 다음번 튀어오를때 곰의 무게를 지탱하고 다음번까지 체공이 가능할 정도로 세게 공을 차준다고 하더라도 공을 차는 방향이 아래+뒤 방향일거거든요. 그러면 공은 저렇게 계속 앞으로 못 가고 금방 뒤로 빠꾸하게 될 겁니다. 그러면 징검다리로 쓸 수가 없죠.
20/06/15 16:53
수정 아이콘
그 "금방" 안에 반대쪽으로 갈 수 있을 수 있죠. 무한히 징검다리로 가는 상황이 아니니까요.
티모대위
20/06/15 16:55
수정 아이콘
말이 금방이지, 단 한번 튀기는걸로 공은 뒤로 쭉 빠꾸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곰과 공의 질량비를 생각해 본다면요...
그러니까, 공을 최초에 앞으로 던지는 행위 이후로는 공은 앞으로 가는 운동량을 얻을 일이 아예 없고 잃을 일만 남는 셈인데,
곰을 앞으로 나아가게 할 정도로 공을 차면 공은 단 한번 킥으로 손흥민 프리킥보다 더 쎄게 뒤로 쭉 날아갈 듯한..
20/06/15 16:58
수정 아이콘
그림의 상황으로는 곰과 공의 질량이나 속력같은건 모르니까요 크크
티모대위
20/06/15 17:00
수정 아이콘
그림의 상황으로는 몰라도 일반적인 곰과 공의 질량은 모두가 대략 알지요.
'질량 등의 수치가 일반적인 범주를 한참 벗어나야만 가능한 상황'을 저는 불가능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20/06/15 17:10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철수의 속도를 아십니까? (...)
티모대위
20/06/15 17:13
수정 아이콘
철수가 시속 50km로 달리고있다 로 시작하는 수학문제의 상황도 당연히 불가능 아닌가 싶은데요 크크
굳이 이게 순수 물리적으로 가능하냐 아니냐를 따지고 싶으신거면 아래에도 댓글 달아놨는데...
공이 곰보다 훨씬 무겁고, 곰이 그 무거운 공을 절벽 높이만큼 튕길 정도로 힘이 엄청 쎄다면 가능하다구요.
40년모솔탈출
20/06/15 17:12
수정 아이콘
공과 곰이 앞으로 가는건 관성의 힘입니다.
곰은 공을 밟을때 앞으로 뛰는게 아닌 수직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점프를 하면
X 축 방향으로는 관성의 법칙으로 등속운동을 하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곰이 공을 뒤 방향으로 찼다면 가속이 붙으므로
처음보다 더 멀리 이동해야 될것입니다.
티모대위
20/06/15 17:18
수정 아이콘
음, 이런 문제에서는 진공상태는 그냥 기본으로 가정되는 모양이네요 (...) 저는 당연히 등속운동을 하려면 공기저항으로 잃어버리는 운동량을 공을 뒤로 차서 매번 보충해줘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문제는 그냥 비현실을 얼마나 허용하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것 같네요.
저는 그림에는 아무런 가정이 없으니 모든걸 일반적 범주에 놓는걸 가정한건데
모든 가정을 저 그림의 상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조정한다면 중력이 거의 없는 상황으로 가정하는건 어떨까 싶기도 한데요 크크
40년모솔탈출
20/06/15 17:22
수정 아이콘
애초에 말이 안 되는 그림이니까 그냥 웃자고 말도 안 되는 이론을 붙이면서 노는거죠 크크
티모대위
20/06/15 17:28
수정 아이콘
크크 네 이해했습니다.
하긴 말이 안되는 그림도 순수 이론상으로는 가능하냐 묻는 거라면 제가 맥락 파악을 잘못한 거군요
아웅이
20/06/15 17:2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충돌로 역학적 에너지를 잃지 않는 것부터 말이 안되는 가정인데요
티모대위
20/06/15 17:27
수정 아이콘
그건 아래로 밀어서 운동량을 보충해준다는 개념으로 계속 이야기하고 있었는데요..
아웅이
20/06/15 17:33
수정 아이콘
운동량은 원래 보존되니까 별 의미가 없는얘기 아닌가요..
공기 저항으로 인한 역학적 에너지 손실을 보상하려면 곰이 점점 높이 점프를 해야겠죠?
티모대위
20/06/15 17:51
수정 아이콘
네 점점 높이 점프하면 되겠죠
운동량은 잘못 말했네요 앞에서 운동량 이야기를 하다가..
에너지죠.
마감은 지키자
20/06/15 16:51
수정 아이콘
핵 썼네.
VictoryFood
20/06/15 16:51
수정 아이콘
엘사?
20/06/15 18:42
수정 아이콘
이게 뭐라고 터졌을까요 크크크크크 into the unknown~~~
라디오스타
20/06/15 16:52
수정 아이콘
음.. 그런데 질량이 가볍고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기계라면 가능하지 않나요? 문송합니다 ㅠㅠ
티모대위
20/06/15 16:54
수정 아이콘
공보다 곰이 훨씬더 가벼우면서도 힘이 쎄다면 가능할수도 있지만, 자기보다 훨씬 무거운 공을 절벽 높이만큼 계속 튕길 힘이 있으면 아마 점프해서 절벽을 뛰어넘는게 나을 것 같네요.
20/06/15 16:52
수정 아이콘
1학년때 일반물리학만 배운 수준으로 볼 때 궤적이 저렇지는 않겠지만 곰이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으면 될 것 같기도 하고... 모르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0/06/15 16:53
수정 아이콘
영물이여서 내가기공으로...단 하늘을 나는 능력을 깨우치지 못하여...응?
20/06/15 16:53
수정 아이콘
물리도 모르는 배관공놈이 모든 걸 망쳤어요 부들부들
티모대위
20/06/15 17:09
수정 아이콘
사실 배관공놈들은 물리를 좀 덜 알아도 됩니다.
공중에서 자유로운 횡이동이 가능하니까요. 이미 물리법칙을 무시하는 능력이 있음....
Horde is nothing
20/06/15 16:53
수정 아이콘
스카이워커 네요 크크
시린비
20/06/15 16: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쉘점도 잘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요새는 폭탄위에 타서 날아가다가 그 폭탄을 다시 집어던지고 또다른 폭탄으로 옮겨탄다음에 던진 폭탄에 다시 올라타기도 하던데
20/06/15 17:11
수정 아이콘
마리오 2 버섯 한정
꿀꿀꾸잉
20/06/15 16:57
수정 아이콘
왜 이과는 하기도 전에 안된다고 단정하나요 그런 비관즉인 마인드가 세상을 망칩니다. 쯧쯧
저격수
20/06/15 17:00
수정 아이콘
바람 빠지고 있는, 곰보다 훨씬 무거운 공이면 충분히 가능하겠는데요.
미카엘
20/06/15 17:00
수정 아이콘
곰이 5서클 마법사라는 걸 다들 모르시네
녹차김밥
20/06/15 17:02
수정 아이콘
다 된다 쳐도 막컷에 이미 공은 떨어지고 있고 곰은 허공을 밟고 있는데요. 막컷을 보면 이미 망해 있..
의미부여법
20/06/15 17:02
수정 아이콘
곰이 존나 세면 가능하지 않나요
저격수
20/06/15 17:03
수정 아이콘
근데 필요업고 곰이 귀여워요. 저 동물은 왜 이렇게 귀엽게 생기기만 했을까요?
20/06/15 17:04
수정 아이콘
마지막 장면은 설명이 안... 공 밟기 전에 이미 공이 앞으로 가버렸는데요...

곰이 사실 허공답보 중이었다는 뜻인가?
블리츠크랭크
20/06/15 17:06
수정 아이콘
가능하죠 중력이 약하거나 없어서 날아다니면. 공이 오는 순간 발로 블럭하면 됩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0/06/15 17:10
수정 아이콘
공에 적절한 추진체계와 제어방법이 구비되어있다면야 뭐 가능하겠죠?
20/06/15 17:11
수정 아이콘
마리오에서 되던데요?
20/06/15 17:11
수정 아이콘
그냥 곰이 공을 끌어안고 스카이콩콩처럼 나아가면 될듯
20/06/15 17:12
수정 아이콘
되는데요..
20/06/15 18:43
수정 아이콘
아 저도 이거 생각함 크크크
콩사탕
20/06/15 17:12
수정 아이콘
진지하자면 공중에서 수직으로 내리는 힘은 체중이상 낼수가 없습니다.
20/06/15 17:18
수정 아이콘
위에가 공이라면 그렇겠지만 곰에게는 근육이 있습니다?
20/06/15 17:18
수정 아이콘
공과 관계없이 허공답보 하고 있는 거 아닌가요? 공은 거들뿐...
퀀텀리프
20/06/15 17:18
수정 아이콘
공안에 반중력 장치가 들어있음
20/06/15 17:20
수정 아이콘
역시 이과들은 상상력이 부족하군요. "이봐 임자, 해봤어?" 의 정신을 잊은겁니까?
20/06/15 17:45
수정 아이콘
곰이 절벽에서 공을 들고 망설일 때 "임자가 하고싶은 대로 해.."라고 하는 모습이 떠오르네요
농담곰
20/06/15 17:28
수정 아이콘
음 오늘은 이거다
20/06/15 17:29
수정 아이콘
왼발이 떨어지기 전에 오른발을 들면 되잖아요
Supervenience
20/06/15 17:33
수정 아이콘
공 밑에 공간있어요
20/06/15 17:36
수정 아이콘
이상적인 공간이라고 가정해도 공을 밟아 누르면서 점프 -> 다음 번에 공이 더 높은 곳으로 튕겨 올라감, 공의 에너지를 받아서 점프 -> 다음 번에 공이 더 낮은 곳에서 멈춤 아닐까요? 아님말구
-안군-
20/06/15 17:47
수정 아이콘
절벽 뒤에 공간있어요
Wild Surge
20/06/15 17:47
수정 아이콘
잘보면 공의 궤적이랑 곰의 궤적사이에 틈이 있는 걸로 보아 공은 완전탄성충돌하고 있고 곰은 허공답보로 가고 있네요
20/06/15 17:48
수정 아이콘
장곰님 축지법 쓰신다
20/06/15 18:42
수정 아이콘
주옥같네요 크크크
20/06/15 17:50
수정 아이콘
반대편을 건너가기 위해 곰이 공을 서서 들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게

탄성충돌 작용반작용보다 더 신기한 포인트 같기도한데...
칼라미티
20/06/15 17:54
수정 아이콘
이런 내용의 꿈을 꾼 적이 있는데 크크크크
20/06/15 18:00
수정 아이콘
불가능은 없는데 왜 해 보지도 않고 뭍헉대고 않됀다고들 하시는지 핳핳...
20/06/15 18:04
수정 아이콘
그아앍
다시마두장
20/06/15 18:05
수정 아이콘
절대 불가능합니다. 무림에 곰이 있다는 이야기는 금시초문이네요.
빙짬뽕
20/06/15 18:13
수정 아이콘
곰을 뒤집으면 문이죠. 달은 하늘에 떠있으므로 가능합비낟
20/06/15 18:25
수정 아이콘
그건 니가 생각해와야지
사나없이사나마나
20/06/15 18:40
수정 아이콘
구상비 정도는 해야 절정고수 아닌가요?
20/06/15 18:4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과분들 해보고 안된다고 말씀하시는 겁니까? 과학에 100퍼센트가 있습니까?
20/06/15 19:01
수정 아이콘
만선이네요 크크크크크
쿠크다스
20/06/15 19:19
수정 아이콘
여러분 점프키 없어요?
라방백
20/06/15 19:27
수정 아이콘
최대한 가능한 경우를 생각해보면 공의 무게가 곰의 무게보다 훨씬 무겁고 아주 높은 탄성계수를 가진 물질이라고 가정하고 첫 공의 궤적만 잘 설정해주면 비슷하게는 나오지 않을까요? 곰이 마이크로 사이즈겠네요.
주익균
20/06/15 20:03
수정 아이콘
마법공이네
20/06/15 20:09
수정 아이콘
공에서 상온의 공기와 접촉 할 때 즉시 굳어버리면서 곰의 무게를 지탱 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지닌 물질이 분사되며 앞으로 튀고 있는거죠. 물론 공으로 보이는 저 물체는 자체적인 동력을 가지고 있으며 일정한 궤도를 계산해 움직이는 거구요.
이게 아니면 작용 반작용만 이해 해도 말이 안되죠.
곰이 1사분면을 향해서 뛰면서 공을 밟으면 공은 3사분면 방향으로 반작용이 일어나야 합니다.
20/06/15 22:01
수정 아이콘
3번째 점프까지는 잘 했는데 4번째 점프에서 공 밟을 타이밍 놓친 것 같은데요? 이제부터 떨어질 일만 남은 듯.
등짝에칼빵
20/06/16 01:21
수정 아이콘
외않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9268 [유머] 문과와 이과의 차이.jpg [38] VictoryFood11756 20/10/03 11756
399054 [유머] X절편과 Y절편 [12] 불행9344 20/09/30 9344
398310 [유머] 가짜사나이2기 합격자 추정 명단(스포일지도?).txt [39] 쿠보타만쥬12612 20/09/22 12612
396657 [유머] 광기의 대학원 라이프 꿀팁 [23] 비온날흙비린내11304 20/09/06 11304
395596 [유머] 이과유머 [19] ELESIS9103 20/08/25 9103
395471 [방송] 소련여자가 고3에게 하는 조언.jpg [7] 감별사12969 20/08/24 12969
392231 [유머] 이과 애들이랑 상종하면 안 되는 이유 [19] 길갈8779 20/07/18 8779
391769 [서브컬쳐] 없는 게 없는 가면라이더 [10] roqur10520 20/07/13 10520
391315 [유머] 이과가 이성에게 인기가 많은 이유 [15] ELESIS9683 20/07/09 9683
390075 [유머] 문과와 이과 [4] 길갈6552 20/06/25 6552
389272 [유머] 충신이 존재하는 이유 [7] 퍼플레임8247 20/06/17 8247
389070 [유머] 이과놈들아. 킹 받는 만화를 가져와따. [80] KOS-MOS10963 20/06/15 10963
388610 [기타] [이과]철로 만든 실을 불태우면 [28] 카루오스6756 20/06/10 6756
388204 [유머] 개떡같이 그리면 찰떡같이 바꿔줌 [20] Landau9512 20/06/05 9512
387063 [유머] 이과(컴공)도 질려버린 이과(수학과)놈.jpg [41] AKbizs9327 20/05/25 9327
384241 [유머] 이과가 또 [8] UMC8128 20/04/27 8128
382838 [유머] 이과생들 전부 입다물게 만들겠습니다 [26] 갓럭시10959 20/04/13 10959
381890 [게임] 완성도 높은 미궁게임 '선물' 추천합니다. [12] goldfish19706 20/04/03 19706
377636 [기타] [377634관련] 이과놈들 소리질러!!! [2] 물맛이좋아요5701 20/02/18 5701
375048 [유머] 겨울왕국2 동화책 참사 [4] 공원소년5743 20/01/25 5743
374575 [기타] 이과생들의 아이템 기계식 손목시계.GIF [5] 살인자들의섬9883 20/01/19 9883
372264 [유머] 트위터 보다가 불편해짐 [8] 길갈9587 19/12/21 9587
371187 [유머] 비밀번호가 왜 277353이야? [10] 동굴곰11881 19/12/07 118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