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5/11 16:25:14
Name Lord Be Goja
File #1 닝텡도.png (54.3 KB), Download : 40
출처 기글하드웨어 /구글 /닌텐도
Link #2 https://gigglehd.com/gg/game/7264777
Subject [게임] 게임기가 스펙이 너무 떨어지는건 아닌지?


https://www.nintendo.co.jp/ir/pdf/2020/200507e.pdf

하지만 잘버네요.
플스랑도 비교해봤는데 플스한테는 안되는거 같아요.
https://www.thisisgame.com/webzine/pds/nboard/267/?n=9370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5/11 16:26
수정 아이콘
사실 휴대기로 따지면 성능 자체는 최강입니다.

거치기랑 비교하면 동급 비교가 미안한 수준이지만 휴대기로만 비교 대상을 한정한다면 그냥 아무도 없음...
고타마 싯다르타
20/05/11 16:30
수정 아이콘
닌텐도 스위치가 엄청 난 혁신인 거죠? 휴대용과 거치대를 하나로 합친다는게
스위치
20/05/11 16:36
수정 아이콘
엄청난 혁신은 좀 애매하달지.. 그냥 기존엔 콘솔+휴대용 기기 따로 나눠 발매하다 시장 파이를 휴대폰에게 뺏기고 각각의 경쟁력은 애매하고 그러니 사이즈를 하나로 합쳐버린 거죠.
덴드로븀
20/05/11 16:39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게이머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성인남성들이 원하는 고스펙에 피지컬쩔어줘야 재밌게 즐기는게 게임이지! 에 맞추는대신
누구나 언제어디서나 게임을 즐길수 있다는 본인들의 철학을 그대로 관철시킨게 혁신이라면 혁신이죠.
담배상품권
20/05/11 16:43
수정 아이콘
저는 누구나 언제보다 반거치라는 타이틀이 먹혔다고 봅니다.
담배상품권
20/05/11 16:40
수정 아이콘
혁신은 맞습니다. 스마트폰한테 밀려서 다 고사당했는데 반거치라는 타이틀로 살아남는데 성공했으니..
티모대위
20/05/11 16:50
수정 아이콘
이게 핵심인 것 같아요. 포지션을 잘 잡았다고나 할까...
거치형은 플4부터 스펙이 엄청나게 올라갔고 액박도 있으니 경쟁구도가 심해질 우려가 있는데 (+고사양의 그래픽 좋은 게임에 필요한 개발인력, 개발비문제)
휴대형은 스마트폰에게 탈탈털릴게 자명하니...
아무도 없는 블루오션을 뚫은 거죠. 휴대거치 겸용이라니..
이민들레
20/05/11 16:33
수정 아이콘
휴대기 자체가 없어요.
스위치 메이커
20/05/11 16:34
수정 아이콘
사실 그말이 맞....

휴대기 시장에 발 내밀었던 소니도 PSP Vita의 실패 이후로는 발을 뺏고... 아무래도 휴대기 자체가 성능이 제한되다보니까 IP빨이 쎈 닌텐도에게 유리하긴 하죠...
이십사연벙
20/05/11 16:33
수정 아이콘
거치기기인데 스펙이 왜이렇게 구려! -> "난 휴대기야"
휴대기인데 배터리 왜이렇게 조루야 -> "거치도 가능하기때문이지~" 라는 가불 짤짤이기를 한때 즐겨 사용하셨으나

최근 배터리 효율도 개선되면서 그냥 당당하게
[난 휴대기야! 다만 너희를 위해서 거치 기능을 넣었을뿐이니 감사하도록해!]하는 초무적가불필살기를 쓸수있게되신..
스위치 메이커
20/05/11 16:36
수정 아이콘
배터리 개선판 산 뒤로는 확실히 휴대기다워졌습니다 크크크 그 전까지는 충전이 반...
20/05/11 16:48
수정 아이콘
어쨌든 논리적임!
20/05/11 16:33
수정 아이콘
닌텐도 이젠 거치 안쓰고 걍 휴대용으로만 씀... 침대 누워서 하는게 개꿀이거든요...
마감은 지키자
20/05/11 16:33
수정 아이콘
위유 망하던 시절에 닌텐도는 암흑기 버티려고 돈 쌓아놓는 곳이라 삽질 좀 하다 다시 일어설 거라고 했는데, 딱 그렇게 됐네요.
닌텐도야말로 부진은 있어도 몰락은 없다(물론 영원한 것은 없지만)는 말이 잘 어울리는 회사죠. 자신들의 철학이 워낙 독특하고 확고하다 보니...
스위치 메이커
20/05/11 16:36
수정 아이콘
위 유는 망했어도 스플래툰이라는 닌텐도의 새로운 밥줄을 찾았다는 점도 고무적이였죠.
쿠크다스
20/05/11 16:38
수정 아이콘
시대의 요구를 정확하게 꿰고 있습니다. 회귀자라도 있나..
훌게이
20/05/11 16:49
수정 아이콘
Tv아웃되는 '고성능' 휴대용 게임기죠.
위때부터 이어진 저성능+이것저것기믹 붙여서 만드는 닌텐도 하드를 더이상 안봐서 얼마나 좋은지.
20/05/11 16:52
수정 아이콘
플스는 매출 2.3조엔 영업이익 3100억엔
닌텐도는 매출 1.3조엔 영업이익 3500억엔
닌텐도가 매출은 반토막인데 영업이익은 추월했네요.
영업이익률 거의 30퍼라니 정말 후덜덜하네요.
Lord Be Goja
20/05/11 16:5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플스가 1년전 자료라 코로나버프가 없다던지 기기가 끝물이라는점을 고려해야할거같더군여
닌텐도의 영업이익이 그 넥슨을 멕여살리는 네오플 3배가 넘으니..
20/05/11 17:11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플스 실적이 궁금하긴 하네요. 2019년은 킬러타이틀이 예년보다 적어서 닌텐도 실적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조금 더 적지 않을까 싶네요.
한화이글스
20/05/11 16:58
수정 아이콘
양아치 같이 QC낮은 제품 팔아서 그렇습니다
진짜 조이콘 프로콘 퀄리티 생각하면...
20/05/11 16:59
수정 아이콘
소프트-기기 일체형 회사라 애플처럼 마진이 많이 남는듯
20/05/11 17:13
수정 아이콘
대체가 사실상 불가능한 제품을 팔다보니 스웩 넘치는 가격책정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하하
티모대위
20/05/11 16:55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 태블릿 등도 휴대기로 포함한다 치면, 아이패드 상급모델이 스위치보다 스펙이 더 좋거나 비슷하긴 할텐데
스위치로 게임 몇개 해보면.... 솔직히 태블릿으로 하는 모바일게임이 몰입도, 게임성 면에서 너무 상대도 안되는 느낌이에요.

패드나 폰 들고 2시간이상 집중해서 게임을 할 때는, 가끔씩 추천받은 새로운 게임을 받아서 달릴때 뿐인데...
스위치는 아무래도 콘솔게임이다 보니 게임성이 좋을 수밖에 없어서 3시간짜리 배터리가 너무 모자라다는 생각밖에 안들죠.
만약 모바일게임 전용 휴대기의 배터리가 3시간이다? 완전 충전해서 다니기만 하면 방전될 일도 없을듯...
20/05/11 17:01
수정 아이콘
전 확실히 느끼는게 테블릿이나 모바일은 영원히 휴대용 게임기 못 쫓아옵니다 아니 정확히는 그냥 시장이 대체가 안됨
그냥 터치랑 물리키 차이가 넘사에요

적어도 모바일 막 활성화 됐을때만해도 반신반의였는데 요새는 거의 확신인듯

아니 패드에 콘트롤러 물리면 되는데요?
하는데 그럴바에 그냥 휴대기기사는게 더 싸고 보조 기능도 많죠
티모대위
20/05/11 17:06
수정 아이콘
패드에 물리키를 다는것의 불편함과 내구성, 경제성 등의 문제가 전~부 해결이 되고 나서
그 다음에 모바일 게임이 물리키에 잘 맞도록 개발트렌드가 다각화, 변화되는 것까지 진행이 되어야 비로소 게임성이 비슷해지는건데
도대체 언제쯤 그리 될지 예상도 못하겠네요 크크
20/05/11 17:09
수정 아이콘
근데 애초에 테블릿에 물리키 다는순간 뭔가 시대 역행느낌이긴하죠 크크 양립 불가
티모대위
20/05/11 17:12
수정 아이콘
그렇기때문에 외장으로 달아야 할텐데, 그때의 불편함 등이 여전히 문제가 될듯...
동년배
20/05/11 16:57
수정 아이콘
배터리가 부족하다지만 동시에 지금은 보조배터리와 충전기를 들고 다니는 시대라서 큰 단점도 아니죠.
20/05/11 17:04
수정 아이콘
게임기에 부정적인 가족구성원에게 링피트나 저댄시켜주면 모두의 스위치로 변신
단점은 휴대모드로 즐기던 중에 링피트로 자꾸 소환당함
그래도 결국 이렇게라도 스위치는 살아남아서 다행
사이퍼
20/05/11 17:37
수정 아이콘
게임계의 애플?
코우사카 호노카
20/05/11 18:00
수정 아이콘
패드로 하는 감은 모바일로 이길수 없죠.
구형 에뮬 돌리는 사람들도 폰 양쪽에 버튼, 십자키 다는 악세 쓰더군요.
아이고배야
20/05/11 18:05
수정 아이콘
다들 왜이리 혁신에 인색하신지.
거치 가능한 휴대기기라는 개념이 말은 쉽지
양자를 다 일정 수준이상 만족시키기 쉽지 않은데, 그걸 해낸거 자체가 혁신이죠.

피쟐 같은 하드코어 게이머들 커뮤니티에서나
스위치가 거치기기로서 스펙이 모자라고
휴대기기로서 휴대성이 낮다고 평가받지 일반 이용자들은 스위치는 혁신적아자 대중적인 게임 기기죠.
20/05/11 19:20
수정 아이콘
유부남이 잠깐 게임하는 용도로 스위치보다 좋은 기기가 없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8991 [게임] 플스5와 X박스X의 크기 비교 [54] 아케이드12041 20/06/14 12041
388972 [게임] 페르소나4 골든 PC판 스팀에서 발매 [53] Zephiris10264 20/06/14 10264
388937 [게임] 라스트 오브 어스2의 모든 NPC는 자기 이름을 가졌다 [79] 아케이드9792 20/06/13 9792
388904 [게임] 7년 vs 8년 [13] 이호철8457 20/06/13 8457
388877 [게임] 현 세대 게임기 통산 판매량 (PS4 vs XBox vs Switch) [54] 아케이드9175 20/06/12 9175
388843 [게임] 라오어2 메타크리틱 등재 시작 [27] Zephiris7953 20/06/12 7953
388776 [게임] 플스5 디자인 공개 [63] 길갈10329 20/06/12 10329
388775 [게임] 한 세대 더.JPG [10] 크레토스9617 20/06/12 9617
388584 [게임] 페르소나 4 골드 스팀 입점 [79] 이호철9030 20/06/10 9030
388505 [게임] 아틀러스: 이번 PC게이밍쇼에서 흥미로운 발표가 있을것 [28] Zephiris8868 20/06/09 8868
387883 [게임] [하스스톤] 운빨망겜 [17] kapH7564 20/06/02 7564
387627 [게임] 바람의 나라 초네임드 랭커인 도인비.JPG [20] 신불해16671 20/05/31 16671
387506 [게임] 소리 소문 없이 출시 일주일 남은 게임 [26] 치열하게11440 20/05/30 11440
386796 [게임] 이 시각 바보 된 닌텐도 게임 [14] 고라파덕9284 20/05/22 9284
386713 [게임] 시총 11조원 돌파한 게임회사 작년 실적 [13] 크레토스10354 20/05/21 10354
386621 [게임] 천만장 팔리고 재밌지만 꼬운 게임 [27] 고라파덕12011 20/05/20 12011
386378 [게임] 인싸게임이 되어버린 하스스톤.11mb (IMGUR) [8] Lord Be Goja6885 20/05/18 6885
386059 [게임] 엘더스크롤6:아카비르 출시정보 확인사살 [30] Lord Be Goja7115 20/05/14 7115
386036 [게임] GTA5 무료배포? [27] 위미10285 20/05/14 10285
385881 [게임] [하스스톤] 지능 업그레이드 [31] 이호철8066 20/05/12 8066
385759 [게임] 드래곤 퀘스트 타이의 대모험 게임 정보 5월 27일 공개 [59] TWICE쯔위8690 20/05/11 8690
385744 [게임] 게임기가 스펙이 너무 떨어지는건 아닌지? [34] Lord Be Goja9012 20/05/11 9012
385743 [게임] 어린이날 닌텐도의 위엄 [34] Leeka10639 20/05/11 106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