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5/08 16:06:05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0_05_08_오후_4.05.05.png (473.9 KB), Download : 75
출처 ESPN
Subject [스포츠] KBO 개막전 ESPN 시청자 수



평균 동시 시청자 수라고 합니다.

(경기 시작~ 끝날때까지의 분단위 시청자수를 계산한 뒤. 그 값을 평균 낸 버전)



실제로는 보다 자는 사람, 나중에 보는 사람. 등등 하면 총 시청자는 훨씬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에서는 피크보다는 위 지표를 TV 시청자 수에서 사용한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붐팬임
20/05/08 16: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한국 야구 하늘이준 기회라 봅니다
전세계 유일하게 야구 중계 하는 나라
거울방패
20/05/08 16:46
수정 아이콘
대만인가도 하지않나요?
Chasingthegoals
20/05/08 18:23
수정 아이콘
대만은 방송사가 아닌 CPBL에서 직접 챙기는 인터넷 스트리밍 중계일겁니다.
20/05/08 16:11
수정 아이콘
많은건가요?
20/05/08 16:14
수정 아이콘
미국 인구수로 보면 별거 아니지만..

원래 KBO 시청률에 %로 비교하면 많죠..
ChojjAReacH
20/05/08 16:38
수정 아이콘
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다른 나라 경기 보는거니까 어느정도 관심이 많다고 봐야겠죠?
우리가 질롱코리아 경기 보는 느낌인데 대충 그 비율보다는 많은거 같습니다.
20/05/08 16:1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토토에 영향이 있는걸까요?
미국도 토토 많이 할텐데
전세계적으로 프로스포츠 경기가 거의 없어서...
도박쟁이들은 새벽까지 남아서 경기를 볼테니깐요
20/05/08 16:14
수정 아이콘
저나라는 왜 야구를 새벽에 보나요?
20/05/08 16:14
수정 아이콘
짤들 보면 엄청 신드롬일것 같았는데 본 사람은 얼마 없네요.
20/05/08 16:14
수정 아이콘
부끄럽다 삼성아...
천원돌파그렌라간
20/05/08 16:51
수정 아이콘
핵 부끄럽다 삼성아...
20/05/08 16:16
수정 아이콘
오전 1시면 생각보다 볼만한 시간대네요??
무적LG오지환
20/05/08 16:17
수정 아이콘
낮 경기 같은 경우 서부는 10시, 동부 1시라 보기 좋은 편이죠.
설탕가루인형
20/05/08 16:21
수정 아이콘
해축 생각하면 다음날 회사가야 하는 압박 때문에 보기 어려운 것도 있는데 자가격리 중일테니 개꿀이죠 크크
겨울삼각형
20/05/08 16:23
수정 아이콘
평일 오후경기는 6시반 시작이니

저기서 5시간반 더하면..

동부기준 6시반 시작.. 이네요
세벽야구
지니팅커벨여행
20/05/08 19:00
수정 아이콘
우리가 20년 전 박찬호 등판을 새벽에 봤던 것처럼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라이트(외국인 선수)의 등판을 저 시간에...
스위치
20/05/08 16:20
수정 아이콘
뭐 한국에서 베트남축구 리그같은거 방송하면 보는 빈도랑 비슷하겠지만.. 반대쪽 입장에선 그게 어디겠어요 크크
티모대위
20/05/08 16:2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많이 보네요? 그냥 보는 사람들끼리만 소소하게 즐기는 줄 알았는데
코어 야구팬들 중 상당수가 보는것 같은데 저정도면.
찾아보니 작년에 FOX에서 제공하는 패키지를 통해 MLB 야구를 본 미국인의 숫자는 경기당 평균 240만명이네요. 다른 공급자를 통해서 본 사람들도 많겠지만... KBO가 개막전이라 관심도가 컸다고 해도, 이정도면 상당한 숫자군요. ESPN같은 스포츠채널에서 KBO 말고 다른 무슨 프로를 틀어놓든 저만한 시청자를 새벽 1시에 확보할수 있을 것같진 않네요.
성야무인
20/05/08 17:21
수정 아이콘
이거 시청자가 만만치 않게 있는거네요. 한국에서 EPL시청률이 2017-2018기준으로 0.516%입니다. 아마 미국 가구당 수로 생각하면 이거랑 거의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정도면 스폰서 충분히 붙을정도고 대처제로 사업성은 충분히 있어보입니다. 물론 한국에서의 메이저리그 시청율이 0.722%정도니 그정도는 아닐지라도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5800 [LOL] 펀쿨섹좌 이전에 그가 있었습니다. [23] 우리는 하나의 빛11631 20/05/11 11631
385799 [LOL]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2] 코우사카 호노카8093 20/05/11 8093
385798 [유머] 강한 말 안쓸테니까 노래 가사 해석 좀 해줘 [18] 키류9187 20/05/11 9187
385797 [유머] 너무 강한 말을 쓰면 안되는 이유 [6] 라면8687 20/05/11 8687
385796 [유머]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2] 고라파덕9067 20/05/11 9067
385794 [기타] 자수성가 이야기 들을때마다 신기한 사람.jpg [20] 프테라양날박치기11147 20/05/11 11147
385792 [동물&귀욤] 츤데레 [2] 파랑파랑6170 20/05/11 6170
385791 [유머] 끄덕 끄덕 끄덕 [7] 파랑파랑7753 20/05/11 7753
385790 [게임]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2] 유니언스8105 20/05/11 8105
385789 [게임]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5] KOS-MOS8716 20/05/11 8716
385788 [유머]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되는 이유 [5] 니시노 나나세9088 20/05/11 9088
385787 [스포츠]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4] 불행9263 20/05/11 9263
385786 [기타]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8] Lord Be Goja8859 20/05/11 8859
385785 [기타] 너무 강한 말은 쓰면 안 되는 이유 [6] 길갈10988 20/05/11 10988
385784 [유머] 초6 개발자의 일갈 [17] 파랑파랑10551 20/05/11 10551
385783 [게임] 중학생이 아빠 체크카드 훔쳐서 3000만원 도네이션. [16] 불행11321 20/05/11 11321
385782 [LOL] 유재석 vs 페이커 [17] 카루오스8204 20/05/11 8204
385781 [동물&귀욤] 단 한장에 고양이의 모든것이!.6MB (imgur) [5] Lord Be Goja6476 20/05/11 6476
385780 [스포츠] mbc 뉴스 피셜왈 kbo 움짤 사용 가능 [18] 아르타니스9219 20/05/11 9219
385779 [유머] 브이로그 흥하는 법.jpg [12] 꿀꿀꾸잉9233 20/05/11 9233
385778 [유머] 마오카이가 가위바위보를 잘 못하는 EU [3] 유니언스7279 20/05/11 7279
385776 [동물&귀욤]  병을 깼는데 집사 부부가 싸우기 시작했다.jpg [5] TWICE쯔위8485 20/05/11 8485
385775 [게임] [라스트 오리진] 유저들이 개발진에 보내는 사료 [9] 캬옹쉬바나6698 20/05/11 66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