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5/03 18:23:20
Name 빨간당근
출처 이스타TV 유튜브
Subject [스포츠] 슬램덩크 최고의 ACE 뽑기!


슬램덩크 내 선수들을 현대농구에 투영했을때 누가 최고인지를 뽑은 영상입니다! (조코비 기준으로 뽑았습니다)
후보는 셋입니다! 정우성, 윤대협, 서태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름뱅
20/05/03 18:27
수정 아이콘
윤대협 이름부터 대협임.
NINTENDO
20/05/03 18:31
수정 아이콘
서태웅보다 한수위라 평가받는 윤대협을 이미 중학교때 제압한 정성우를 떡바른 32번 형님
20/05/03 19:04
수정 아이콘
아 그 미국 선수 말인가요 크크
20/05/03 19:18
수정 아이콘
오래전이라 기억이 안나지만..
윤대협이 중학교때 정우성과 한번 붙고 각성한 계기가
된게 아닌가...

작중에 고교농구에서 천재소리 듣는 인물이고
1학년때까지 미친듯한 득점력만 뿜어내다가
2학년들어서 패스까지 마스터한 진정한 완전체죠!!

노답들 데리고 전국대회 준우승 및 mvp 이정환과 막상막하
(포지션도 평생 안해본 포가를 갑자기 소화하고..
그것도 밸런스 패치를위해 변덕규를 빼고도...)

서태웅이 중반에 정우성에게 발리다가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윤대협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준적이 없고

정우성과 서태웅은 득점만 있는 선수라면
윤대협은 리더쉽 패스 득점 다 갖은 선수라..
개인적으로 윤대협 1표 줍니다

이정환과 더불어 작중 최고 선수중 한명이 아닌가...
긴 하루의 끝에서
20/05/03 21: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북산 대 능남 시합(도대회 최종전)에서 서태웅이 윤대협 상대로 득점 대결은 밀린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윤대협이 서태웅의 득점 능력을 보고 놀라는 장면들이 몇 있는 걸 보면 득점에서만큼은 더 앞선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볼 여지도 있습니다. 다만, 윤대협이 서태웅과 달리 팀 동료를 십분 활용할 줄 알고 포인트 가드 및 팀 리더로서 게임 리딩 및 팀 사기 진작 능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안선생님이 도대회 직후 미국 유학 얘기를 꺼내는 서태웅에게 아직 윤대협에 미치지 못했다는 말을 건넸었죠. 그리고 이 말을 들은 서태웅은 윤대협을 찾아가 일대일 대결을 청하였는데 여기서 이긴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대결 직후 윤대협에게 실력을 인정 받는 듯한 얘기도 직접 들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때 정우성 얘기도 처음으로 듣게 되고요. 또한, 산왕과의 경기 중 정우성과의 대결에서 한계를 느낀 서태웅은 결과적으로 깨달음을 얻으며 윤대협과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진화를 겪습니다. 즉, 전국대회 이전과 이후의 서태웅은 전혀 다른 사람인 셈입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정우성에 대항하는 방법을 일부 터득했음을 의미할 뿐 일대일 능력에서는 여전히 서태웅이 정우성에게 밀린다고 보는 게 맞겠죠. 한편, 정우성의 경우 팀 에이스로서의 숙명과 더불어 본인이 일대일 능력에 워낙 자신이 있으면 스스로도 일대일을 즐기기 때문에 경기 중 웬만해서는 혼자서 해결하려는 듯한 모습을 주로 보여주는 건 맞습니다. 그런데 이게 곧 정우성이 본래 시야가 좁다든지 팀 동료 활용 능력이 떨어진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산왕의 경우 각 포지션별로 워낙 쟁쟁한 선수들이 포진해 있기 때문에 각 선수들이 해당 포지션 및 본인의 강점에 맞는 역할에만 집중하며 크게 분업화 되어 있는 모습을 유독 보이고 있기도 하고요. 사실 이 점은 시대적으로도 그렇고 작품 내 모든 팀에 어느 정도 공통된 사항이긴 합니다만 말이죠.
아저게안죽네
20/05/04 06: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서태웅이 정우성을 극복한 건 아닙니다.
공격 측면에선 패스라는 선택지를 깨닫고 각성한 후에 한 끝차로 득점을 성공시키지만
수비에선 1대1만 고집하는 정우성을 경기 내내 전혀 제어하지 못했죠.
이걸 극복이라고 본다면 채치수도 신현철을 극복했다고 볼 수도 있을겁니다.

그와는 별개로 종합 능력치나 선수 가치로 보면 윤대협이 세 손가락 안에 꼽혀도 전혀 이상할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20/05/03 19:22
수정 아이콘
사이즈 제일 큰 윤대협
나름쟁이
20/05/03 19:23
수정 아이콘
조코비 요즘 이스타채널에 계속나오는데 너무 좋네요 크크
특히 이스타랑 밥먹는컨텐츠는...
빨간당근
20/05/03 21:47
수정 아이콘
그거 진짜 재미있죠; 크크크~
김유라
20/05/03 20:19
수정 아이콘
영상과는 관계없지만 늘 신현철이 원탑이라 생각합니다 크크
20/05/03 21:03
수정 아이콘
설정말고 실제 플레이 나온걸 보면 윤대협 평가가 좋을 수 밖에 없죠... 리딩이 가능하면서 득점력도 좋은 정상급 포워드에 수비도 괜찮고 경기 내 멘탈까지 좋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6137 [기타] 119구급차 가는 길마다 녹색등으로 바뀐다...신호체계 변경 [26] 불행14241 20/05/15 14241
386136 [유머] 솔로들이 많은 이유.JPG [18] 비타에듀12085 20/05/15 12085
386135 [유머] (판) 회사에 이상한 사람이 있어요. [48] 파랑파랑14991 20/05/15 14991
386134 [유머] 대학원도 자동전투 돌려놓고 싶다 [9] 파랑파랑9046 20/05/15 9046
386133 [유머] 경상도 사람만 풀 수 있는 문제 [62] KOS-MOS13005 20/05/15 13005
386132 [유머] 어린이 프로그램에 도전하는 박나래.gif [16] 파랑파랑10302 20/05/15 10302
386131 [유머] 중세 수녀원.manhwa [13] 은여우10106 20/05/15 10106
386130 [유머] 여동생 샤워 대참사 [11] 파랑파랑12081 20/05/15 12081
386129 [유머] 데자와 마시는.manhwa [30] 은여우8502 20/05/15 8502
386128 [LOL]  Espn)야마토캐논 샌드박스게이밍 감독부임 [25] 타바스코8456 20/05/15 8456
386126 [동물&귀욤] 거울보며 꽃단장하는 아기괭이 [3] 흰긴수염돌고래7788 20/05/15 7788
386125 [연예인] 정면돌파하는 깡좌.youtube [43] 은여우13810 20/05/15 13810
386124 [유머] 12만원으로 1500만원 만들기 [3] 이호철12137 20/05/15 12137
386123 [유머] 플랫폼 별 캐릭터 변화 [9] 파랑파랑9432 20/05/15 9432
386122 [유머] 예로부터 핑크색 빤스는 고인물의 상징이었다.gif [2] TWICE쯔위10301 20/05/15 10301
386120 [기타] 파스 제대로 붙이는 방법.jpg [5] 김치찌개9543 20/05/15 9543
386119 [유머] 옛날에 달고나라 불렸던 먹거리..지금 달고나랑 다름.jpg [33] 김치찌개11258 20/05/15 11258
386118 [유머] 5대 냄새.jpg [8] 삭제됨9578 20/05/15 9578
386117 [유머] 드래곤볼 사탄 얘 이긴다 vs 쳐발린다.jpg [25] 김치찌개10386 20/05/15 10386
386116 [방송] 나는푸르(구 시러맨) 방송국에 줄 선 롤 bj들 [18] 레게노10905 20/05/15 10905
386114 [기타] 신작 레고가 뭔가 이상하다.. [2] 물맛이좋아요9100 20/05/15 9100
386113 [유머] 계속해서 선 넘네 진짜 이대로 가면...(가면라이더X) [12] 불행9302 20/05/15 9302
386111 [유머] 드디어 에픽 런쳐를 설치할 때가 왔군요. [10] 챨스9235 20/05/15 92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