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4/29 11:46:46
Name 삭제됨
출처 엠팍
Subject [유머] 특이점이 온 야구 움짤.gif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29 11:49
수정 아이콘
이거 비주얼 완전 승부조작 보도 자료화면...
20/04/29 11:50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회전목마
20/04/29 11:51
수정 아이콘
세번째가 낫네요 ㅠㅠ
의미부여법
20/04/29 11:52
수정 아이콘
승부조작판 야짤이네요
카루오스
20/04/29 11:52
수정 아이콘
크크크 근데 저렇게 하면 올릴수 있긴 있나요?
20/04/29 11:53
수정 아이콘
야해
20/04/29 11:54
수정 아이콘
저작권 규제는 강해질수록 좋은거 아닐런지요;
20/04/29 11:57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규제는 너무 심해지면 부작용이 발생하죠. 야구경기 짤 만드는게 야구 중계권이나 뭐 이런쪽에 피해를 입히는 것도 아닐텐데 이걸 규제하는건 과하다고 봅니다.
20/04/29 12:02
수정 아이콘
규제를 줄이건 늘리건 부작용이야 발생하는거고 누군가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취지아래 온갖 저작권들이 범람하고 있습니다만 결정적인 부작용이라는게 뭔지 아직까지 들어본적은 없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시적인 피해가 드러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것도 너무 성급한 판단인것 같네요 움짤보고 치우면 저작권내고 스트리밍하는 업체들은 명백하게 피해를 입는거구요
20/04/29 12:1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 지금까지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명백한 부작용이 발생한 적이 없으니까요.
움짤을 보고 경기를 다시보기로 챙겨보는 것으로 인한 +와 반대로 재껴버리게 되는 -가 공존하기에 굳이 언급할만한 피해가 생긴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20/04/29 13: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작권이라는게 성립 가능한것 자체가 창작자 권익보호를 통한 사회적 이득이 있기 때문인데, 그게 너무 강해서 대중의 문화예술의 향유와 발전을 마이너스 시킨다면 본말이 전도된거죠
20/04/29 12:04
수정 아이콘
피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움짤을 통해 이슈를 소비한 이용자의 경우 관련 VOD를 굳이 찾아보지 않을 수도 있죠.

물론 반대로 움짤을 본 이후 실시간 중계나 VOD를 찾아보는 경우도 있겠습니다만,
해당 사항에 대한 손익을 판단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죠.

그런 면에서는 중계권을 가진 쪽에서 라이브 및 VOD의 소비 공간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이 편할 겁니다.
20/04/29 12:10
수정 아이콘
움짤을 보고 경기를 다시보기로 챙겨보는 것으로 인한 +와 반대로 재껴버리게 되는 -가 어느정도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없고
비슷한 비율로 상쇄가 된다면 그냥 두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굳이 지금까지 잘 돌아가던걸 왜? 같은 느낌이죠.
20/04/29 14:03
수정 아이콘
'돈을 내고 산 사람들만 우리의 콘텐츠를 사용해라.'라는 장사꾼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이겠죠.

저도 커뮤니티에서 움짤이나 짧은 영상 등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리그에 이득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다만 KBO로부터 권리를 구매한 곳이 그렇게 주장한다면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이 현실이겠지요. KBO도 권리를 구매한 곳이 그런 정책을 펼친다면 막을 명분도 마땅치 않은 상황일테고요.

개인적으로는 숲보다는 나무를 보는 실수를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엮여있는 금전적, 정치적 이슈들 때문에 저작권 규제 입장에 대해서도 이해는 할 수 있는 상황이고요.
20/04/29 14:10
수정 아이콘
저도 아침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움짤마저 원천차단하는 식의 과도한 규제는 장기적으로 프로야구 발전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몽키매직
20/04/29 12:03
수정 아이콘
아뇨 저작권 규제는 적당한 것이 좋습니다. 대놓고 남의 저작권으로 돈 버는 건 당연히 규제해야죠.
금전 목적이 아니고 원 저작권이 중대하게 훼손되는 것도 아니면 광고효과 등을 생각해서 일반적으로 걸고 넘어지지 않습니다.
그 적당한 지점이라는 게 사람/단체마다 다를 수는 있습니다만...
20/04/29 12:11
수정 아이콘
본인이 피해를 입지않는 적정선을 상식적으로 유지하는것 자체가 저작권 규제를 마음대로 주무를수 있는 상황인거고
결국 강력한 규제가 바탕이되어야 가능한 일이겠죠
몽키매직
20/04/29 12: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그런 정도의 완벽한 통제권을 저작권자에게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입장이라서요. 결국 창작물이라는 것은 과거 누군가의 창작물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나오는 거고 또 지금의 창작물을 바탕으로 2차 창작, 아이디어를얻은 새로운 창작물이 나오는 건데..., 저작권법의 목적이 창작물을 보호해서 창작을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법이지만, 2차 창작을 너무 제한한다거나 하기 힘든 환경이 조성되면 창작을 촉진한다는 저작권법의 의의가 무색해지죠. 이 주제는 피지알에서 토론하면 몇백플도 갈 수 있는 주제일 것 같은데 저는 제 생각은 간단하게 이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dks10wp 님이 우려하시는 상황도 이해는 합니다. 정답이 없고 각자의 생각이 있는 문제라고 봅니다.
20/04/29 12:03
수정 아이콘
꼭 그렇다고 볼 순 없다고 생각하는게, 일본의 서브컬쳐계에선 일반인들이 2차 창작 동인지로 수익을 내는거에 관대한 편인데 이게 오히려 원작의 인기를 더 올려주거나 유지시켜주는 역할도 한다고 합니다
케붕이
20/04/29 12:15
수정 아이콘
게임계에서 스트리밍들 저작권으로 걸려면 다 걸 수 있는데 안하는 이유는 홍보능력이 크다고 판단하기 때문이죠. 야구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이용하기 나름인 것 같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0/04/29 1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작권, 특허 등등... 규제는 적당한 선이 좋습니다......
특허 같은 경우도 너무 심하게 발명자 권리를 독점/지속 시키면 기술 발전이 저해될 가능성도 크고요......
또 상당수 웹툰, 드라마 등 제작 업체들이 홍보? 영업용? 짤방, 움짤은 그냥 두는 걸 봐도......
물맛이좋아요
20/04/29 12:25
수정 아이콘
강한 저작권 주장으로 아이돌의 직캠을 막는 경우도 있는데, 만약 하니 직캠이 없었다면 EXID의 역주행도 없었겠죠.
병장오지환
20/04/29 12:42
수정 아이콘
clc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아마 웬만하면 못 들어보셨을 텐데.. 반응 한참 올 때 직캠 규제해서 싹 다 내렸나 그랬을겁니다 물론 오던 반응도 같이 내려가서 그룹이 멸망했고요. 일본 사례는 어떤가요? 규제 심하게 하고 인터넷에 뭐라도 올라오면 다 막아버린 결과가 지금 jpop의 퇴조와도 연관이 없다고 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아 물론 걔네들도 이유는 있겠죠. 나에게 돈이 들어오는 정당한 채널에서 보아야 한다는 둥 원론적으로 맞는 말을 하면 할 말이 없기야 할 거고 근데 그 원론적인 수익 얻으려고 광범위한 노출을 포기하는 대가가 여태까지의 여러 사례로 보면 꽤 많이 큰 것 같더라구요.
다시마두장
20/04/29 12:55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저작권 규제는 요청하는 쪽에서 원하는 만큼 충분히 이루어지는 게 좋은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사람들이 힐난하는 포인트는 '저작권 규제'가 아니라, 마이너스 효과를 낳을 규제를 밀어붙인 높은 분들의 결정에 있다고 봅니다.
류수정
20/04/29 13:36
수정 아이콘
이게 좀 복잡한게, 영상의 저작권을 가지고있는 뉴미디어측은 좋을지 몰라도 저작권을 판 크보 입장에서는 안좋은 일일 수 있거든요. MLB가 움짤이나 유튜브 영상 강하게 제재했다가 NBA에 젊은층 다 뺏기고 부랴부랴 풀어준게 얼마 되지도 않았습니다. 결국 현 시점에선 이해 관계자중 일부에겐 좋고 일부에겐 나쁜 선택인데, 장기적으로 봤을때 시청자 수가 떨어지면 뉴미디어측도 안좋은거겠죠.
20/04/29 11:56
수정 아이콘
그래 열심히하자
20/04/29 11:56
수정 아이콘
이거 완전 승부조작 크크크
스위치 메이커
20/04/29 12:05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gif는 망할 줄 알았는데 모바일 오면서 다시 대세가 된게 진짜....
Lainworks
20/04/29 12:21
수정 아이콘
mp4 전환이 시급...
시린비
20/04/29 12:18
수정 아이콘
한국말고 움짤 금지하는 해외스포츠 사례가 있나요? 궁금하네요
의외로 제법 할지도 모르겠고 아닐것도 같고
SkyClouD
20/04/29 12:20
수정 아이콘
경기 풀 샷 정도가 아니면 하이라이트는 외부 공유해도 대개 문제가 없습니다.
단순 움짤은 인스타에도 넘쳐납니다.
홍준표
20/04/29 12:20
수정 아이콘
근데 크보 관련 저작권 규제 얘기 진행은 좀 이상한 것 같습니다. 애초에 이 논란의 시초 자체가 블로그 하나가 중계권 가진 에이클라(맞나요?)에 전화해서 물어보고 답변 받아서 생긴건데, 그쪽 전화 받은 직원이야 당연히 '저작권은 우리에게 있다' 이렇게 얘기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요? 어찌보면 종합게임 스트리머들의 저작권 관련 이슈와도 비슷한데, 게임사가 대충 넘어가고 있는데 그 게임사에 전화해서 '저작권 행사하실건가요?' 이렇게 물어보면 당연히 원론적인 대답을 할 수밖에 없겠죠.

결국 그 대신 지금까지 그래왔듯 팬들이 취미로 만드는 움짤같은건 대충 회색지대에서 눈감고 넘어가는 것이고요. 그 이상의 무언가를 할 수도 없고 '저작권 다 풀겠습니다 여러분들 상업적으로 쓰든 말든 마음대로 하세요~' 이러는게 더 이상한 것 같아요. 실제 팬이 만든 움짤에 대고 저작권 문제 있으니 내려달라 이렇게 했던 케이스가 있는 것도 아닌데, 이 논란 자체가 너무 실체 없이 만들어진 창조논란인 것 같습니다.
Horde is nothing
20/04/29 12:28
수정 아이콘
http://kbo-copyright.com/
이런 페이지도 생긴참이라 문제가 안될지는 봐야알거 같아요
무적LG오지환
20/04/29 12:28
수정 아이콘
올해부터 뉴미디어 중계권 따낸 뉴미디어 컨소시엄 쪽에서 적극적으로 잡겠다고 여러번 천명한 상태긴 합니다.
작년까지 갖고 있던 방송사 연합 쪽에서는 이런 쪽에 유연해서 KBO도 그 쪽이랑 재계약하려고 그랬는데, 구단들 사이에서 중계권료 더 높게 부른 뉴미디어 컨소시엄 쪽을 하자고 주장해서 그렇게 됐다고 그러네요.

실제로 뉴미디어 컨소시엄 쪽에서는 일단 잡기 쉬운 유투브 채널들부터 경고 댓글 달고 다니고 있다고 그러더라고요.
티모대위
20/04/29 12:34
수정 아이콘
+1
나물꿀템선쉔님
20/04/29 12:52
수정 아이콘
그 블로거가 문의하게된 계기가 유튜브에서 크보관련영상 들어간 영상들이 갑자기 터진다고 유튜버들 사이에서 얘기가 나와서 물어본거라서요.
홍준표
20/04/29 12:55
수정 아이콘
제가 모르고 있던 히스토리가 많았군요.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성파크
20/04/29 12:32
수정 아이콘
움짤이 유입되는데 좋은데 왜 금지하냐
이런 의견이 대부분이겠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저 움짤로 자사의 풀VOD나 하이라이트 뷰가 떨어지는 간접적 손해가 날수도 있는거죠
기업들도 계산기 두드려보고 하는거겠죠
막아서 자사의 영상을 보게하는게 이득인지
움짤로 최대한 유입시켜 영상을 보게하는게 이득인지

당장 몇주전만해도 롤 프차가 망할것이다 의견이 많아서요
기업 논리는 다르게 봐야죠
ComeAgain
20/04/29 13:3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커뮤니티에서 움짤만 보면 광고가 안 나오지만,
포털에서 하이라이트를 보면 광고를 봐야 하죠. 그 차이지 않나 싶네요.
20/04/30 02:18
수정 아이콘
롤 프차랑 달리 이런 과도한 규제가 부작용을 낳은 사례는 굉장히 많아서요.
20/04/29 12:50
수정 아이콘
저런 그래픽 야구 게임 있었던 거 같은데...??
청순래퍼혜니
20/04/29 13:15
수정 아이콘
움짤 올린 사람은 해당 움짤을 크롭한 원본 동영상 링크도 같이 걸면 익스큐즈 하는 걸로 하면 되지 않을까요. 뉴스 퍼올 때 전문 안올리고 링크 올리는 것 처럼 말이죠.
긴 하루의 끝에서
20/04/29 14:32
수정 아이콘
축구는 진작에 저작권 문제로 한바탕 난리가 났었죠.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서인지 아니면 자체적으로 더 조심을 하고 있을 뿐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제는 국내 한정 모든 유튜브 채널들이 국내에 중계권이 있는 경기들의 경우 짧은 영상조차도 사용을 아예 안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움짤이라고 해서 크게 다를까 싶습니다. 영상이나 움짤 제작 목적이 상업적이냐 아니냐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결국에는 모든 게 저작권자의 의사에 달려 있다는 점이 중요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8088 [유머] 웨이브 야구 예능 마녀들-그라운드에 서다 [8] Croove11220 20/12/23 11220
405883 [유머] [박지영tv] 심수창의 투구 강의 [15] Croove10543 20/12/02 10543
393383 [유머] 어느 야구 선수 아들이 가게 차렸다던데 [6] 길갈10436 20/07/30 10436
391747 [유머] 야구팬들의 상상과 현실 [9] 치열하게8248 20/07/13 8248
389678 [유머] 치트키 쓰려고 하는 부기영화 [17] 흰긴수염돌고래11656 20/06/22 11656
388824 [유머] 해외에서도 인기인 한화 야구 [24] 이호철11017 20/06/12 11017
388450 [유머] 최신 트랜드를 반영한 퇴근 시스템 [4] Star-Lord7821 20/06/08 7821
387180 [유머] 팝콘과 패딩에 이어 맥주다 [15] 쵸코하임8810 20/05/26 8810
387106 [유머] 최쉰 캐릭터의 야구 굿즈 발매 [9] 길갈8284 20/05/25 8284
386218 [유머] 오직 롯데 자이언츠만이 가능한 일.jpg [6] prohibit11638 20/05/16 11638
386100 [유머] KBO 카메라워크 근황.gif [7] TWICE쯔위11017 20/05/14 11017
385874 [유머] 대다수 야구팬들이 월요일에 행복한 이유 [21] 라면9818 20/05/12 9818
385869 [유머] ??? : 한국 야구의 특징을 파악했습니다! [32] 파랑파랑9677 20/05/12 9677
385855 [유머] 숨을 헐떡이며 뛰어오는 이모.jpg [20] 파랑파랑17848 20/05/12 17848
385519 [유머] 뜬금없는 트위터 축제의 장 [17] 나성범12494 20/05/09 12494
385512 [유머] 야구가 몸에 안 좋은 이유 [9] 길갈10375 20/05/08 10375
385250 [유머] 참 스포츠 팬 [12] 길갈10254 20/05/06 10254
385153 [유머] 그냥 강팀 응원하면 안 되요? [77] 길갈14297 20/05/05 14297
385117 [유머] KBO 전미 중계중 의외의 팬덤 생성.jpg [19] 파랑파랑13767 20/05/05 13767
384433 [유머] 야구 애니 보다가 빡친 사람 [13] 길갈7828 20/04/29 7828
384419 [유머] 특이점이 온 야구 움짤.gif [43] 삭제됨12498 20/04/29 12498
384147 [유머] 야구안보는 일반인이 보는 한국야구.manhwa [35] 김티모11289 20/04/26 11289
383681 [유머] 데이터 주의) 외국인들이 KBO 보면 깜짝 놀라는 이유 [48] 꿀꿀꾸잉11671 20/04/22 116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