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4/22 13:10:55
Name Leeka
출처 펨코
Subject [LOL] T1의 리그제 이후 플레이오프 승률

15 스프링 -  vs CJ 승리 / vs KOO 승리
15 서머 - vs KT 승리
16 스프링 - vs 진에어 승리 / vs KT 승리 / vs ROX 승리
16 서머 - vs KT 패배
17 스프링 - vs KT 승리
17 서머 - vs 아프리카 승리 / vs 삼성 승리 / vs KT 승리 / vs 롱주 패배
18 스프링 - vs KSV 승리 / vs KT 패배
19 스프링 - vs 킹존 승리 / vs 그리핀 승리
19 서머 - vs 아프리카 승리 / vs 샌드박스 승리 / vs 담원 승리 / vs 그리핀 승리



총 플레이오프 20경기  17승 3패  승률 85%

?!?!?

양심 어디.....

KT에게 2번 / 롱주(현 DRX)에게 1번 진거 빼고 다 이김..


11번의 정규시즌 중 플옵을 못간건 18 서머 딱 한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타마 싯다르타
20/04/22 13:16
수정 아이콘
19skt플옵은 완전 개사기
박수영
20/04/22 13:18
수정 아이콘
19서머 플옵은 다시봐도 저게 가능한가 수준;
20/04/22 13:26
수정 아이콘
1:2 3:0 3:0 3:1.... 진짜 대단했죠.
20/04/22 13:19
수정 아이콘
19서머 진짜 팬으로 황홀했는데...롤드컵 직행도 스스로 확정짓고ㅠ
러블세가족
20/04/22 13:22
수정 아이콘
블랭크의 위엄....
Dena harten
20/04/22 13:22
수정 아이콘
18스프링 와일드카드전 기억에 남는게 바로 지난해 롤드컵 결승에서 자웅을 겨루던 두 팀이 바로 다음시즌에 4,5위로 와일드카드 3전제를 하고 있을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사실 18skt는 스프링에 와카 간것도 기적같긴 한데
좋은데이
20/04/22 13:28
수정 아이콘
T1 안티팬분이 T1의 위엄을.. 읍..... 은 농담이고
이런 승률이니 최소 LCK는 어우슼이란 말이 나올정도죠..
20/04/22 13:57
수정 아이콘
안티라서 부두술 쓰시는 겁닏...읍읍..
20/04/22 13:32
수정 아이콘
과거는 과거죠. 팀 구성이 바뀐이상 독립시행입니다.
모래알
20/04/22 13:40
수정 아이콘
저도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는데 정규시즌 빌빌대다가도 플옵가면 팀이 바뀌는게 매번 반복되다보니 신기하긴 합니다.
20/04/22 13:51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없다면 독립시행이 맞는데 글쎄요 크크
20/04/22 14:09
수정 아이콘
저는 독립시행을 매번 증명해내는 페이커는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굉장한 팬입니다.
The)UnderTaker
20/04/22 13:57
수정 아이콘
타스포츠는 팀역사 그대로 끌고가는데 T1만 이런 잣대인게 신기하긴하네요
20/04/22 14:13
수정 아이콘
딱히 t1 비판은 아니었고, 저는 작년과 올해는 스쿼드랑 감코도 다르고 해서 따로 보는게 맞지 않을까 해서요. T1팬이어서 지면 넘나 슬플거같아요..
20/04/22 14:03
수정 아이콘
근데 그렇게 따질거면 독립시행 아닌게 이 세상에 존재해요?
이웃집개발자
20/04/22 14:05
수정 아이콘
아 거 개발자들 귀찮게 이력은 뭐하러 남겨요 이런 논리로 밉시다 좋은거같아요
20/04/22 14:12
수정 아이콘
독립시행이면 저 기록이 더 대단한거네요 오히려
20/04/22 14:14
수정 아이콘
네 크크 저는 그래서 더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10월9일한글날
20/04/22 14:18
수정 아이콘
독립시행하니까 마타가 떠오른다는..
14년 롤드컵에서 센세이션 일으키면서 우승했고,
그 이후에 난다긴다하는 원딜들과만 게임했지만
국제대회 다전제에서 전패, 승률 반토막도 아쉽다 소리나올텐데 전패
리그는 올포디움이지만.
독립시행으로 보면 마타는 전형적인 리그용이 되버리는 크크
20/04/22 14:20
수정 아이콘
아이고..마타가 여기서.. 이렇게 대댓글이 많이 달릴거라고는생각하지 않아서.. 제가 잘못 생각했을 수도 있겠구나 싶네요;;
파비노
20/04/22 14:38
수정 아이콘
그럼 기아의 우승 횟수는??? 두산의 우승횟수는??
스포츠의 역사가 사라져버립니다
20/04/22 13:48
수정 아이콘
19서머는 진짜 레전드..
20/04/22 13:50
수정 아이콘
3패중 2패가 kt라니...뚜들겨 맞은 기억밖에 없구만...ㅠㅠ
사신군
20/04/22 14:46
수정 아이콘
결정적인 순간에 뚜들겨맞아서 ㅜ
Liberalist
20/04/22 13:50
수정 아이콘
이런 T1을 플옵에서 두 번이나 꺾은 킅... 평소에 하도 쳐맞고 다니다보니 저 당시 다전제 승리는 정말 감격 그 자체였죠 ㅠㅠ
20/04/22 13:54
수정 아이콘
게다가 그 한번이 T1패배중 유일하게 패패승승승을 이뤄낸게 감격 그 자체...위대한정글러는 덤..ㅠㅠ
20/04/22 14:21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 해 결승 5세트 스코어의 킨드레드가 바론을 치는데....
Liberalist
20/04/22 14:29
수정 아이콘
어엌... 갑자기 기억폭력이... ㅠㅠ
20/04/22 14:34
수정 아이콘
??? : 쓰레기 세키들...(실제로 한말)
20/04/22 14:20
수정 아이콘
그 두 번을 모두 함께 한 위대한 그 이름
오!
블리츠크랭크
20/04/22 14:23
수정 아이콘
필승 코리아
20/04/22 13: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독립시행에 한표입니다.
과거와달리 코로나 이슈로 인한 특수진행상황도 있고..

꼬감이 과거 결승전 인터뷰에서 이런 뉘앙스의 말을 한적이 있었죠.
“수많은 관중,부스내에서 1세트를 패했을때의 충격을 느끼게 해주겠다.”
10월9일한글날
20/04/22 14:08
수정 아이콘
독립시행아닌데 3연준은 덜덜
그래서 터졌지만..
Meridian
20/04/22 14:26
수정 아이콘
플옵 티원 넘모 무서운것....ㅠㅠ
20/04/22 14:30
수정 아이콘
KT와의 플옵 상대전적이 4승 2패네요
그런데 그 KT의 2승이 최다였다니..
치킨은진리
20/04/22 14:40
수정 아이콘
KT는 리그제 전에 많이 두드려맞았죠.
13섬머,선발전,13윈터까지...
20/04/22 19:36
수정 아이콘
또 죽는 그분..
20/04/22 15:05
수정 아이콘
저 롱주에게 진 한번으로 인해 스노우볼 시원하게 굴렀네요
대퍼팀 선발전 탈락 및 삼성 진출 후 SKT 꺾고 우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4222 [LOL] 3대운동 300kg 든다는.jpg [25] 살인자들의섬13539 20/04/27 13539
384183 [LOL] 씨맥피셜) 칸, 카나비, 쵸비, 데프트, 케리아 거의 확정적이었다. [160] 아름다운돌17390 20/04/27 17390
384160 [LOL] ????: 송형, 너무 울지 마요. [33] 예킨야10698 20/04/26 10698
384156 [LOL] ???: 더샤이 루키가 IG의 핵심이라고 하더라고요 [31] 가스불을깜빡했다10278 20/04/26 10278
384120 [LOL] LCK팀 꾸리기 플옵반영버젼 [77] om11128867 20/04/26 8867
384118 [LOL] T1 VS Gen.g 결승 중 설계인지 정말 궁금한장면 [47] 달달합니다9966 20/04/26 9966
384108 [LOL] 다시봐도 아쉬운 작년 G2전 4세트. jpg [38] 비올레오나9698 20/04/26 9698
384102 [LOL] 젠지 FPX와의 스크림 압도? [62] Alumna20513 20/04/26 20513
383892 [LOL] 롤드컵 3장이 기분나쁜이유 [36] Leeka11103 20/04/24 11103
383861 [LOL] 인섹이 밝혔던 14 롤드컵 로얄클럽 썰 [27] 은여우10747 20/04/24 10747
383850 [LOL] 더 샤이 솔랭 루시안 컨트롤.gif [37] 삭제됨11079 20/04/23 11079
383816 [LOL] 매년 롤드컵으로 보는 1~3부리그 [13] Leeka7544 20/04/23 7544
383806 [LOL] LCK 올프로팀을 5점단위 칸으로 보기 [11] Leeka7742 20/04/23 7742
383805 [LOL] 4대 메이저 리그 퍼스트 팀 멤버들.jpg [24] Ensis8460 20/04/23 8460
383801 [LOL] 래퍼드 : 4경기 패배는 픽밴의 문제가 아니다 [43] 興盡悲來9680 20/04/23 9680
383779 [LOL] DRX 4세트 밴픽 다시보기 [31] 키류9951 20/04/23 9951
383743 [LOL] 3세트 초반 커즈가 망한 이유 [23] 뚠뚠이8890 20/04/23 8890
383740 [LOL] 오늘자 플옵 씨맥의 피드백 [130] 카바라스16462 20/04/22 16462
383729 [LOL] 모든 것을 알고 있던 씨맥.jpg [33] 프테라양날박치기10903 20/04/22 10903
383669 [LOL] T1의 리그제 이후 플레이오프 승률 [38] Leeka8721 20/04/22 8721
383619 [LOL] 오늘 울프 중계방에서 나오면 안되는 멘트 [132] 기사왕12539 20/04/22 12539
383588 [LOL] LCK 무관중이 너무 아쉬운 이유 [20] Leeka11657 20/04/21 11657
383573 [LOL] 진짜 저평가의 아이콘 [3] roqur7657 20/04/21 76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