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2 10:12
등위로 보면 짠 수준이 아닌데 결혼하고 외벌이로 애키울 생각하면 짜보이네요.
짤방 반응이 딱 우리나라 사람들 결혼 안하게 되는 이유죠.
20/04/12 10:17
인터넷 반응은 20~30대쯤이 대부분이고, 대기업 다니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을테니까 본인들 급여랑 비교하면 많다고 느끼겠죠
공기업, 40대 중반이라는 조건을 감안하면 짠거 맞다고 봅니다
20/04/12 10:30
돈보면 공무원,공기업은 상대적으로 후져보이는게 사실이죠.
본문분은 연차가 적거나 초봉이 낮거나 둘중 하나의 경우이긴 하겠네요.
20/04/12 10:36
공기업은 모르겠는데 공무원은 월급 생각보다 적죠 그렇다고 성과급이 막 엄청난거도 아니고....
연금도 월급에서 떼서 관리하는거고 그마저도 수술당해서 초라한데 고용안정성 이거 하나로 그냥 먹고 들어가는거죠
20/04/12 10:48
(수정됨) '급여+인센티브=소득합계'라고 나와있는데, 당연히 세전일 겁니다.
급여명세서에서 '소득'을 세후로 표현하는 경우는 못봤네요.
20/04/12 10:51
미디어나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다들 눈이 너무 높아졌습니다. 소득 상위 50%면 적당히 아끼면서 사는게 맞죠. 그럼에도 비싼 옷 사고, 여행도 꼬박꼬박 다니고 비싼 맛집도 다니면서 애 키우려니까 부족하다고 느껴지죠. 모두가 상위 10%처럼 살고자 하니 돈은 모자르고 결국 결혼과 출산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고 저출산국가가 된거라고 봅니다. 그렇다고 저 사람들에게 자기객관화하라고 비난하기도 힘들고.. 현대 대한민국의 딜레마입니다
20/04/12 11:01
기준마다 다른거죠
대기업 금융권등 돈 잘무는데 가면 어지간하면 7년차 넘어가면 세후 8천가능하니 맞벌이 영끌하면 1억5천 넘는거고 이러니 서울 집값이 20억 넘어가는 것 대한민국 양극화가 엄청나죠...하다못해 노동자 끼리도 이러는데 자본가랑 비교하면 흐흐
20/04/12 11:05
뭐 저만해도 롤 이야기하면 플레기입니다 진짜 사람같지도 않아요 이구간...이러지만
정작 플레면 상위 10%죠 나머지 90%가 아브실골인데요
20/04/12 11:15
성과급을 헷갈리는거 같은데..
성과급은 일년에 한번 나오구요..일반 기업들의 상과급과는 애초에 좀 다른 개념이고.... 보너스가 뭘 말하는건지 모르겠는데 1, 7월에 나오는 정근수당을 말하는건가??
20/04/12 11:18
원래 없으면 없는대로, 있으면 있는대로 사는거고
금수저 아니고서야 많이 벌어도 자기 기준으로는 빡빡하게 살죠. 그래서 그냥 사실 얼마를 제시하든 그이상 버는 사람은 적다고 느끼고 그이하 버는사람은 많다고 느끼고 그런겁니다. 한달에 치킨은 몇 번을 먹어야 하는지, 옷은 몇 벌을 사야하는지 다 사람마다 다른데 절대적인 기준으로 많다 적다가 되나요
20/04/12 11:20
올해 40이 되었네요. 세후 500 조금 넘는데 (인센 제외). 대기업 집단이지만 대기업 같진않고 언제꺼지 다닐지 고민이지만. 어린애들 둘 키우고 아파트 대출 갚고하니 매달 마이너스 아님 다행이다 싶네요. 저희집 엥겔지수가 높긴하지만 그렇다고 해외여행이나 명품 좋아하는 것도 아닌데. 그냥 4인가족 생활비가 넘 커요. (보험료 핸드폰 등도 비싸구요)
20/04/12 11:40
세후 5700이 적다는 것은 아마 양가 부모 부양하시는 분 같네요.
평범한집 외동 아들 + 외동딸 결혼했는데 한쪽 집안에 치매 오면 진짜 부족합니다.
20/04/12 11:41
저 금액이면 호봉 얼마 안 쌓인 것 같은데요... 어지간한 메이저 공기업 40대 중반에 평균적인 호봉 생각해보면 절대 저렇게 안 나옵니다.
20/04/12 11:42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P_2010
2018년도 자료니까 조금 올랐다치면 5500이 평균정도 되겠네요. 중위소득은 4600정도 예상됩니다. 본문정도면 상위권이죠
20/04/12 12:10
누가 돈벌려고 공기업 가나요 안짤리고 정년 가는 안정 보고 가지요...
다른 사기업이면 40대 중반에 명퇴 걱정하면서 은퇴 준비할 나이니까 저정도 벌면 우울하지만 공기업이면 아직 여유있을 때지요
20/04/12 12:10
솔직히 한국사회의 전형이 보여서 진심 역겹네요. 20대때는 뭘 해야하고, 30대는 얼마를 벌어야 하며, 40대는 얼마를 모아야 하고... 그 정형화된 잣대안에 들었나 들지 못했나 평가받는 사회적 인식이 너무 속물스럽고 구역질나네요. 이런거보면 제 생각엔 흔히 말하는 명절 잔소리, 오지랖은 단순 기성세대만의 문제가 아닌 한국 사회 전체의 문제라고 봅니다. 이 놈의 오지랖, 평가질 문화는 절대 안 없어지겠네요.
20/04/12 13:58
코멘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 하신거 같은데 사회가 정형화된 잣대로 한 사람의 인생을 평가하는게 신물난다는 겁니다. 사회적 인식과 사회 분위기를 평가했지 언제 제가 다른 사람을 평가했나요?
20/04/12 14:17
사회적 인식과 분위기를을
스샷 내의 인물들을 통해 인식하신거 아닙니까? 역겹다/속물스럽다/구역질 난다는 평가가 해당 인물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건가요?
20/04/12 19:02
갑자기 급발진 하시는 이유가 뭔가요?
40대에 저 연봉밖에 못받다니 실패한 인생이네요...가 아니라 그냥 높낮이에 대한 평가일 뿐인데 이게 급발진할 사유가 됩니까?
20/04/12 12:22
학벌, 연봉 관련 글들은 또 해당 상위 10%만 댓글을 달아서 그러기도 할 겁니다 대한민국 상위 10분위 평균임금이 1억정도 될 거에요. 나잇대 감안했을 때도 pgr 상위 3~5프로 이상은 세전 1억 이상은 찍긴 하겠죠.
20/04/12 13:02
40대 중위값이 저거보다 못한거야 당연한거고요, 근데 커리어 이어나가고 있는 사람들 중에 비교하면 중소기업수준 맞는거 같은데요.
최소 제가 다닌 중소기업'들' 은 40대중반까지 붙어있는 15~20년차 경력이면 대개 저거보다는 많이 or 저거만큼은 받았습니다. 당연히 연봉이 같아도 정년문제가 있으니 공기업이 훨씬 상위티어 직장인건 맞지만 공무원에 비해서 인풋도 훨씬 훌륭한 인재들이 들어가는거 치고 짠건 맞는거 같은데요. 대기업도 다 같은 대기업이 아니라 초봉이 3000중반인곳도 있는데 여기에 아 연봉짜다고 하면 그거보다 초봉 더 높은 사람만 글쓰거나 허세만 있거나 그런건 아니잖아요? 일반적으로 제가 주변에서 주워들은 공기업 연봉도 저거보단 높았고요.
20/04/12 13:22
그리고 사회 중위값대로 따라서 욕심안내고 어쩌고 할거같으면 중소기업 초봉 2500만원도 헬조선 거리지 말고 불평불만 없이 살아야죠.
20대나 초봉기준도 아니고 전체 1인가구 중위소득이 170~180만원대에요. 알바나 파트타임도 포함되어 있다고요? 40대 중위값도 마찬가집니다. 비교를 하려면 같은 커리어의 직장인끼리라도 비교해야지 전체 중위값 들고와서 상위 2~30%네 하면 뭐해요.
20/04/12 13:02
무슨 의도로 반응을 가져온건지는 모르겠는데
짜다 5명 이게 짜다고? 12명 그냥 첫플의 중요성 정도로 보이네요. 초반 3명이 짜다를 박아버리는 바람에..
20/04/12 14:53
'세후, 실수령액'이라는 개념은 직장인들끼리 연봉 깔 때나 통용되는 거고, 각종 공식 자료에서 '급여, 소득, 연봉' 이라 함은 모두 세전 기준이죠.
저도 정부 통계자료나 이런 회사 급여명세서 자료 같은 거 올라올 때마다, 세후냐 세전이냐 따지는 분들 보면 좀 답답하더군요.^^;
20/04/12 14:38
원래 대기업급만 리플달게 되죠 뭐 그럼 별로 안많아보이지.
아마 [40대중반] [공기업] 두가지태그를 달았을때는 평균이하인가 보네요. 그거 한정 평가라면 킹정이지만 사실 그렇게 안흘러가기도 하죠. '공기업' 태그 떼버려도 적다고 생각하는 사람 좀 있을것 같기도 하고.
20/04/12 20:41
중소기업이 나이나 경력찬다고 돈을 착착 올려주는곳이 아니라서 40중반 나이라는건 별 의미 없는 것 같고 짜다고 느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도권에서 도로만 나가봐도 외제차들 넘쳐흐르는데 저정도 연봉이면 결혼과 출산을 했다는 가정하에는 꽤 빠듯해보이고.. 물론 저정도 연봉도 감지덕지일 수 있기에 헬조센이라는 생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