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4/09 21:52:47
Name 은여우
File #1 111.jpg (2.24 MB), Download : 87
File #2 112.jpg (2.97 MB), Download : 67
출처 중갤
Link #2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12119236&exception_mode=recommend&page=1
Subject [유머] [스압] 닌텐도 게임 컨트롤러가 뒤죽박죽인 이유.jpg




Dqn88wt.jpg
wrPQs4K.jpg



크크크 역시 갓텐도니뮤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티모대위
20/04/09 21:58
수정 아이콘
비포 페미콤의 아타리 마지막 컨트롤러는... 안에 들어간 가변저항이 눈에 보일것만 같은 생김새네요 크크크크 무슨 음량조절기인줄
기무라탈리야
20/04/09 22:12
수정 아이콘
사실 7800 하나 더 있긴 합니다만(패미컴 출시 1년 전에 나옴) 패미컴 출시 이후 재생산될 때는 패미컴 컨트롤러 처럼 나왔더군요 크크
20/04/09 21:59
수정 아이콘
위유: 아무리 닌텐도라도 이런걸내면 망한다는걸 게임계에 각인시켜줌
이츠씽
20/04/09 22:00
수정 아이콘
마지막이 킬포군요
스위치 메이커
20/04/09 22:01
수정 아이콘
결국 위 유가 발전해서 스위치가 된 거니 괜찮습니다.
20/04/09 22:04
수정 아이콘
올드게이머라면 인정할수밖에 없는 기업
MissNothing
20/04/09 22:06
수정 아이콘
닌텐도도 못살린 그것...
동년배
20/04/09 22:08
수정 아이콘
아타리 저 조이스틱은 시대가 시대였지만 정말 다루기 힘들었다고 삼촌이 쓰라고 시켰습니다,
김티모
20/04/09 22:10
수정 아이콘
위유는 아마 게임큐브에서 제한적으로 썼던 게임보이 어드밴스를 연결해서 패드로 사용하는걸 발전시켜보려 한거같습니다...만 실패했죠.
스위치 메이커
20/04/09 22:18
수정 아이콘
저는 위 유 자체로는 실패했어도 스위치의 프로토타입정도는 된다고 생각해서 나쁘진 않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
티모대위
20/04/10 00:01
수정 아이콘
스위치가 나오면서 닌텐도가 '그래픽 따위, AAA급 게임 따위 상관없다' 라고 할만한 독자적인 공고한 영역을 다시 구축하면서...
위유의 실패는 충분히 감수하고도 남을만한 수준이 되어 버렸죠 크크
공원소년
20/04/09 22:50
수정 아이콘
위 유는 지금의 스위치 모티브였으니 실패는 했어도 의미없지는 않다 생각합니다.
20/04/09 23:06
수정 아이콘
딴건 다 제껴두고 '조작감' 하나만 놓고 보자면 큐브 미만 잡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짜 조작감 하나는 압도적 넘버원이라고 생각합니다.
마감은 지키자
20/04/09 23: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동감합니다. 이 컨트롤러 저 컨트롤러 만져 봤지만 게임큐브 컨트롤러의 조작감을 따라오는 것은 없었습니다. 물론 십자키는 빼고(그래서 전체적으로 치면 저는 닌64가 좀 더 좋았습니다)...
다시마두장
20/04/10 00:18
수정 아이콘
아직까지도 중고매물이 돌아다니고 복각패드가 나오고 악세사리가 나오고 하는 걸 보면 말 다했죠 크크
스위치
20/04/09 23:12
수정 아이콘
짤 보니까 플스1의 그 아날로그 스틱의 텁텁한 감촉이 기억나네요...
마감은 지키자
20/04/09 23:13
수정 아이콘
닌텐도64와 게임큐브 컨트롤러의 장점이 무엇인가 하면, 저 그립이 의외로 편하고 직선 주행이 굉장히 쉽다는 것입니다.
특히 듀얼쇼크를 써본 분이라면 전진을 하는데 자구 대각선으로 달려서 당황한 경험이 있을 겁니다(다크소울이나 블러드본에서 좁은 지붕보를 뛰어갈 때 굉장히 조심스러워지죠). 엑박 패드도 듀얼 쇼크 정도는 아니지만 미묘하게 틀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은근히 스트레스 요소죠. 이게 그립의 각도 때문에 그런데, 닌텐도64와 게임큐브 컨트롤러는 그립의 각도가 최대한 수직으로 되어 있어 엄지 손가락을 앞으로 밀기만 하면 되고 8각홈까지 파여 있어서 위치를 잡아 주기 때문에 직선 주행 하나는 기가 막히게 잘 됩니다. 크크
그리고 이런 점은 실황야구에서도 타격이나 수비를 할 때 상당한 플러스 요소였습니다(전부터 자꾸 실황야구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제 닌64와 큐브가 사실상 실황야구 머신이었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 올해 발매되는 스위치판 실황야구가 기대됩니다. 그전에 스위치 가격이 안정화되어야 하는데...
11년째도피중
20/04/09 23:17
수정 아이콘
전에 첫짤 올라왔을때 밖이라 댓글을 못달았는데 저도 그런 얘길 하고 싶었습니다.
저기 듀얼쇼크나 엑박패드는 닌텐도가 앞의 세 물건을 통해 컨트롤러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생겨난 결과물 같은 거 였다고요.
위유와 스위치가 다른 형태로의 진화를 꾀했으며 그것이 판매에 큰 영향을 줬음을 또한 부정할 수 없을거고 말입니다.

그나저나 세가 니가 없으니까 결국 중간에 저렇게 나와버리잖아. 난 니 새턴 패드랑 드캐 패드가 좋았단 말이다!
20/04/09 23:31
수정 아이콘
드캐 패드는 참 좋았습니다마는, 그 십자키만은 정말로 끔찍한 수준이었습니다...
11년째도피중
20/04/10 02:14
수정 아이콘
인정합니다. 십자키는 새턴이 훨 나았죠.
올때메로나
20/04/09 23:50
수정 아이콘
추억보정빼고 무조건 엑박패드
11년째도피중
20/04/10 02:16
수정 아이콘
추억보정 no no. 시대보정 임다.
까놓고 엑박패드라고 해서 구엑박패드 말씀하시는건 아니잖아요. 흐흐.
티모대위
20/04/10 00:04
수정 아이콘
프로콘 퀄리티로 스위치용 게임큐브타입 컨트롤러가 있으면 바로 살것같은데.. 찾아봐야겠어요
다시마두장
20/04/10 00:19
수정 아이콘
닌텐도가 참 전통적인 패드 명가죠. 그런데 이번세대 내구도는 왜 그 모양으로...
밀크캔
20/04/10 05:11
수정 아이콘
전 저기있는 거 다 만져봤지만 새턴 패드가 그립네요
To_heart
20/04/10 10:3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새턴 패드가 가장 좋았습니다.
아, L/R 키만 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3223 [연예인] 떡잎부터 남다른 아이.gif [9] i3i5i7i911712 20/04/18 11712
383222 [게임] [하스] 이제 다시는 못 볼 플레이... [5] 스위치 메이커5444 20/04/18 5444
383221 [스타1] '임요환은 마이클 조던입니다' 의 출처 [7] 기무라탈리야11624 20/04/18 11624
383219 [방송] 반려돼지 성장기 [21] Croove12818 20/04/18 12818
383217 [유머] 그때 그 시절 집에 하나 정도는 있었던 것.jpg [26] 김치찌개9706 20/04/18 9706
383216 [기타] 역대급 시청률을 향해 달려가는 드라마 근황.gif [22] 살인자들의섬12107 20/04/18 12107
383215 [LOL] 이쯤에서 다시 보는 LCK스토브리그 분위기 [19] 별빛서가7922 20/04/18 7922
383214 [기타] ''딸 같아서 그랬다''.jpg [17] 김치찌개12319 20/04/18 12319
383213 [기타] 작가 김영하가 추천하는 만화책.jpg [9] 김치찌개9096 20/04/18 9096
383212 [유머] 경양식 vs 일식 돈까스 승자는?.jpg [30] 김치찌개8875 20/04/18 8875
383210 [유머] 둘중 하나를 평생 0칼로리로 먹을수 있다면?.jpg [29] 김치찌개7498 20/04/18 7498
383209 [유머] 아주 좋은 영어 단어 [11] 길갈7757 20/04/18 7757
383208 [유머] 누가 히틀러에 대해서 묻거든 [7] 불행8125 20/04/17 8125
383207 [스포츠] 전성기 강호동조차 찍소리 못했던 사람.gif [24] TWICE쯔위16605 20/04/17 16605
383206 [LOL] 롤은 두 명이서 다하는 게임 [26] 니시노 나나세10880 20/04/17 10880
383205 [유머] [유튜브 피셜] 720p 는 HD 아니다.jpg [24] VictoryFood11018 20/04/17 11018
383204 [게임] ??? : 선착순으로 팔았더니 되팔이가 날뛴다고? [24] 김티모11065 20/04/17 11065
383203 [LOL] 더샤이의 정신나간 오른 [8] 스톤에이지8779 20/04/17 8779
383202 [유머] . [26] 삭제됨14873 20/04/17 14873
383201 [유머] 블라인드하소연 [35] 불행11907 20/04/17 11907
383200 [서브컬쳐] 태초에 정여진이 있었다 [22] 드라고나9805 20/04/17 9805
383199 [동물&귀욤] 대머리 놀리는 떼껄룩 [3] 흰긴수염돌고래7676 20/04/17 7676
383198 [유머] 마스크 만들어 쓰는 백형 [15] 영원히하얀계곡9103 20/04/17 91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