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3/27 14:37:22
Name 손금불산입
출처 pgr 자게
Subject [기타] [삼국지] 다음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전쟁은? (수정됨)
이미지는 PGR 글곰님 글에서 가져왔습니다.



Vnp3hL0.jpg

1. 관우의 번성 공방전

승리 조건: 오나라가 침공해 들어오기 전 양번 점령 및 수비




233b2c276234c4bd1.png

2. 유비의 이릉대전

승리 조건: 큰 피해 없이 형주 수복




2bGtB4o.jpg

3. 제갈량의 1차 북벌

승리조건: 장안 점령




각각의 승리조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경우 이 전쟁들의 난이도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어차피 if 가정글이니까 전개는 어떻게 상상해도 상관없다고 합시다.

어지간하면 저도 의견을 남기고 싶은데 생각보다 꽤 난제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삑삑이
20/03/27 14:40
수정 아이콘
첫짤과 둘째짤 순서가 바뀐듯 싶네요
손금불산입
20/03/27 14: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유니언스
20/03/27 14:40
수정 아이콘
1,2번 이미지 위치 바뀐거 아닌가요 크
삑삑이
20/03/27 14: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번성 전투 꼽고 싶네요
20/03/27 14:42
수정 아이콘
3번 목표가 '장안 점령'이면 가장 어려운 과제 같습니다.
20/03/27 14:48
수정 아이콘
차라리 당시 상황을 봤을 때 1번 목표를 허창 점령으로 잡는게 더 쉬워보여요...
태연­
20/03/27 14:44
수정 아이콘
마가놈을 설득할 자신이 없어서 3번 합니다
손금불산입
20/03/27 14:47
수정 아이콘
내통한 미방 vs 등산한 마속
일단 핑계댈만한 트롤이 없는 귀 큰 놈이 1패네요 크크
Liberalist
20/03/27 14:45
수정 아이콘
위 셋 중에서는 2번이 그나마 쉬워보이기는 합니다. 그나마.
손금불산입
20/03/27 15:03
수정 아이콘
저도 당시 개전 시점에서만 보면 2번이 제일 수월해보였을 것 같긴한데, 그 때는 육손의 깜냥이 드러나기 전이었으니... 육손이 뚫릴만한 인물이냐를 생각해보면 또 미궁에 빠지게 되네요.
20/03/27 14: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번은 가능할 뻔 했는데 연속 통수가 컸고..
2번은 빡러시 수준이라 개인적으로는 저 전제로는 가장 힘들어 보입니다. 말이 형주 수복이지 오가 못 막았으면 위가 100% 개입하는 문제라 더 힘들어 보입니다. 이릉대전은 촉빠 입장에서는 대체 어떻게 끝났어야 할지조차 감이 안 오는 전쟁이라.. 설마 제리 모가지를 따겠다로 끝낸다면 유비 망상이 너무 큰 거 같고...
3번도 어려운데 5월의 남자만 아니면 아모른직다..였는데 조건이 장안 점령이었네? 저거면 힘들죠. 그래도 이릉보다는 나은 듯. 오가 뒤통수는 안 쳤으니까요.
그래서 제 픽은 2-3-1입니다.
스웨이드
20/03/27 14:46
수정 아이콘
순수난이도면 3 1 2 순 아닐까요
20/03/27 14:46
수정 아이콘
아무생각 없이 1번 찍으려 했는데, 글곰님 말씀대로 3번 목표 난이도가 진짜 헬이군요;;;;
20/03/27 14:48
수정 아이콘
다른 건 각 안나온다 싶으면 gg치고 튈 수라도 있지
퇴로조차 배신으로 막힌 관우가 가장 헬난이도인 걸로..
20/03/27 14:49
수정 아이콘
미방 부사인 맹달 유봉...
저놈들만 제대로 했어도...
20/03/27 14:51
수정 아이콘
영걸전류 게임에서는 관우 살리는게 가장 힘들었으니 1번.. ㅠㅠ
20/03/27 14:53
수정 아이콘
1은 후방 배신, 3은 지휘관의 삽질, 2는 기후의 불리가 승패를 갈랐다고 생각하는데 1,3은 사람의 문제인 반면 2번은 전략적인 허점이 있었기 때문에 2번이 가장 어려운 전쟁이 아니겠는가 싶습니다.
랜슬롯
20/03/27 14:57
수정 아이콘
번성 공방전은 진짜 답이... 없어보이네요. 저걸 어떻게 뚫고 탈출하냐 라는 말밖에는 안나옵니다. 군신, 만인지적이라고 불린 관우. 아무리 뭐 성격 어쩌고 저쩌고 해도 유비가 형주를 맡길만한 군재를 가지고 있었던 관우가 아마 저 상황에서 필사의 탈출을 감행했을텐데도 죽었는데 과연 누가 저 상황으로 돌아간들 안죽었을까 싶네요. 정말 살려면 1. 기적적으로 상용에서 구원군이 오던가 2. 미방이 배신 안하던가 가 되야하는데 이 전제조건 자체가 성립이 안되니..

1치 북벌의 경우, 이게 단기적으로 보면 장안 점령은 힘들어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그남자가 산을 안탔으면.) 이라는 전제조건이 따르긴한데... 와 근데 3번도 보면 볼수록 난이도 헬이긴 하네요.

1번 3번 둘다 난이도가 헬이라. 근데 약간 서로 다른 헬 난이도라 누가 더 어렵다 라고 말하기가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1번이 어려운건, 진짜 말그대로 살아남아오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저 상황에 놓인다면)
3번이 어려운건, 가정전투에서 패배한다면 서량으로 진출도 불가능하고, 가정전투에서 이긴다고 하더라도 장안을 탈취하는건 또 완전 별개의 문제라..

제가 뭐 예를 들어 삼국지 시대로 들어가서 이거 세개중 하나 공략성공해야지 나올 수 있다는 뭐 판타지스러운 상황에 놓인다고 가정하면

전 그래도 2번이 현실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타나라
20/03/27 14:59
수정 아이콘
1차북벌이 옹양주 겸병이 목적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렇다면 제갈량 입장에서도 장안 점령이 1차북벌의 목표가 아니었을 것 같습니다. 천수 남안 안정을 먹고 적절히 반갈라 우주방어가 목표였을 것이고, 전방기지가 안정화 되면 차후의 북벌로 장안을 공격하는게 계획이었지 싶네요.

그런 이유로 보기에서는 3번이 가장 힘들지 않을까 해요. 지휘관이 실제로 설정한 목표가 아니었기 때문에요.
다시마두장
20/03/27 14:59
수정 아이콘
마속놈 크크
Rorschach
20/03/27 15:02
수정 아이콘
3번은 목표가 너무 헬, 1번은 통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if가 가미되지않고 통수 자체가 상수라면 난이도 그 자체가 헬... 이라서 뽑기가 어렵네요;
동년배
20/03/27 15:02
수정 아이콘
3번이죠. 그 뒤로도 몇번을 실패한건데...
마프리프
20/03/27 15:03
수정 아이콘
1번은 저상태에서 달성하면 노량해전이고 관푸치노는 한신싸다구 갈기는 중국사 원탑되는거죠
2번은 그나마 가장 쉽겠내요 오가 체급이 더커도 전투로 극복못할정도는 아닌고
3번이야 옹양겸병은되도 장안점령은 촉 단독역량으론 이룰수없는 목표같은대요
독수리가아니라닭
20/03/27 15:04
수정 아이콘
장안 그까이꺼 한 500명 데리고 샛길로 가서 후두려패면 위나라 놈들이 에그머니나 놀라서 gg치고 튀는 거 아닙니까
하마아저씨
20/03/27 15:19
수정 아이콘
위연님이세요??
아따따뚜르겐
20/03/27 15:19
수정 아이콘
그걸 몇십년후 또 다른 등산왕이 해냅니다?!
지탄다 에루
20/03/27 15:51
수정 아이콘
마막, 쨩~!!
PolarBear
20/03/27 15:17
수정 아이콘
삼국지 13에서 조운하나면 다 되는거 아닙니까아?
태연­
20/03/27 17:11
수정 아이콘
천통삽가능
스카야
20/03/27 17:45
수정 아이콘
조산노 조시류
20/03/27 18:18
수정 아이콘
군신포위망 시나리오에서 관우로 플레이한 후 상대 장수 강제로 일기토 걸어서 다 쓱싹쓱싹질 한 2-3년치만 해놓으면 그뒤론 할만합니다...
초코타르트
20/03/27 15:19
수정 아이콘
형주에서 관우의 퍼포먼스는 진짜 신장이라 불러도 모자르긴했습니다.
백전노장인 우금이 왜 비로 갇히는 동안 병력을 안움직였는지는 모르겠으나 (익숙한 지형이 아니라서?) 우금의 항복을 받아냈을때만 해도 형주는 넘어간것 같았죠.
근데 거기서 이미 성이 반은 잠기고 지원도 없고 보급도 없는 상황에서 버티는 장수가 있었으니.. 도대체 조인은 어떻게 버틴건가 싶네요
잠긴 성에서 관우의 수군을 상대로 도대체 어떻게 버티는겁니까..
R.Oswalt
20/03/27 15:20
수정 아이콘
1번은 할 짓이 아니었고, 2번은 할만 했던 걸 스스로 말아먹었다치면, 3번은 최대한 해보려고 갈고 닦았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결혼동맹 통수치는 게 하루이틀일인가... 유비 제갈량의 대전략이든, 관우 독단이든 지나치게 나이브했어요.
랜슬롯
20/03/27 15:47
수정 아이콘
아니 뒤통수 칠거라고 생각을했죠. 근데 미방의 배신을 몰랐던거고. 그리고 설사 뒤통수 치더라도 중원 잡은 위나라를 밀어붙일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버리고, 장료와 장패까지 빠진 서주를 치는게 아니라 관우 뒤통수를 치는 하수를 둘꺼라고 예상하기 힘들었겠죠. 대국적으로 봤을때 한중공방전, 번성공방전은 촉과 오가 위나라를 물리칠 거의 최후의 기회였으니까요. 오나라 입장에서도 맨날 합비에서 료라이에게 맞다가 료라이가 빠진 타이밍이였고. 근데 그걸 합비를 안치고 열심히 위나라 치는 관우 뒤통수를 칠줄이야.

근데 거기다가 미방이 배반하고 상용에서 구원이 안올줄이야. 이건 관우가 아니라 전쟁의 신이 와도 상상도 못할 악재가 연속으로 터진거죠
월급네티
20/03/27 15:31
수정 아이콘
지도랑 같이 보니까 게임 같네요.
재미있다...
20/03/27 15:36
수정 아이콘
IF를 넣어서 보자면 1번은 거의 했으니 미방 배신만 IF로 제거하면 될거 같고 3번은 마속은 차치하더라도 목표가 장안 점령이라 제일 어려워 보이네요.
와린이
20/03/27 15:56
수정 아이콘
1번이요. 전 관우 고평가 하는데 그 이유가 저걸 거의 성사시킬 뻔했다는 거.....
아무리 봐도 난이도 높아요.
소셜미디어
20/03/27 16:28
수정 아이콘
1 2번은 실제로 관우랑 유비 목표였을거 같은데 3번은 옹양주를 먹는거지 장안 점령 생각까진 안 했을듯?
20/03/27 17:21
수정 아이콘
본문과 좀 다른 이야기지만 저도 3번 시나리오에서 장안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가정의 삽질없이 옹양주 점유까지만 안정적으로 되었다면 형주상실 - 이릉대패를 딛고 최후의 라면 한번 더 끓일 기회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맛쵸킹의 귀순 이후 강족을 포함한 옹양의 저변세력과 연대하기에 명분으로도 좋았고 생산력 향상 + 기병 팜 확보까지 되었다면.. 승상님 흑흑
20/03/27 17:18
수정 아이콘
3은 등산때매 안되고, 1은 헌터 7:1 저그로 컴까기 급이라 안되고, 2는 잘 모르겠는데 이게 그나마 가망있네요?
20/03/27 18:17
수정 아이콘
3,1,2순일것 같네요

미션 성공을 할 수 있게 만드는 IF의 숫자가 3,1,2순으로 많은것 같아요
지니팅커벨여행
20/03/27 19:14
수정 아이콘
if면 가정이고 가정이면 마속이죠!
고로 3번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228 [기타] 서울 침공 난이도 3탄 [57] 카루오스12267 22/02/27 12267
449221 [기타] 서울 침공 난이도 2탄 [131] 카루오스14430 22/02/27 14430
443638 [기타] 역대 최악의 불수능 97학년도 수능 배치표... [49] 우주전쟁17221 21/12/23 17221
433051 [기타] 433049 고졸 9급 말 나오는 이유.jpg [24] VictoryFood9932 21/09/12 9932
426697 [기타] 과거 항공모함에 전투기가 착함하는 영상 [19] 그10번11414 21/07/04 11414
425255 [기타] 여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남자의 직업 [24] 쁘띠도원11761 21/06/18 11761
422346 [기타] [머니게임] 사회생활 하다보면 느끼는 난이도 끝판왕 [59] 조휴일12442 21/05/15 12442
417446 [기타] 동로마 역대 황제 스타팅 난이도 [28] 어바웃타임12642 21/03/26 12642
417426 [기타] 조선시대 왕별 스타팅 난이도 [63] 장남재12941 21/03/25 12941
416826 [기타] (주식) 오늘도 신나는 미장 [15] 길갈10992 21/03/19 10992
416187 [기타] 일본 놀이공원 난이도 상승 [6] Lord Be Goja9527 21/03/13 9527
412813 [기타] 공무원 한국사 역대 최악의 난이도 시험 [25] 피쟐러9340 21/02/08 9340
408006 [기타] 민트초코 먹어보고 싶은데 좀 만들어주세요 [5] 시린비7441 20/12/23 7441
407610 [기타] 체형이 호리호리하고 파리하고 허약했던 이방원?? [18] 시나브로11163 20/12/19 11163
403221 [기타] [피아노] 2인분같은 1인분 [2] ESBL6995 20/11/07 6995
402433 [기타] 2021년 수능대비 고3 10월 모의고사 수리 가형 30번 [5] 물맛이좋아요6603 20/10/31 6603
400856 [기타] 남자가 미용실 리뷰를 남긴다면.. [28] Lord Be Goja13249 20/10/17 13249
400564 [기타] 토갤러의 토익 실전 문제집 난이도 정리.jpg [7] 김치찌개12879 20/10/15 12879
392709 [기타] (2020년 7월 22일 시행) 전국연합평가 수리(가)형 30번 풀이 [20] 물맛이좋아요6531 20/07/23 6531
383698 [기타] [둠이터널]지옥의 불구덩이에 다시 뛰어드신 분 [6] 요슈아6261 20/04/22 6261
381123 [기타] [삼국지] 다음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전쟁은? [42] 손금불산입9151 20/03/27 9151
373831 [기타] 카드결제 참기 난이도 [137] 쎌라비17027 20/01/10 17027
367753 [기타] 히말라야 등산 난이도 순위.jpg [21] TWICE쯔위13940 19/10/31 139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