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3/01 16:03:16
Name
File #1 IMG_20200301_155454.jpg (499.1 KB), Download : 48
출처 형이상학 입문
Subject [유머] 전공 서적 도입부2 (수정됨)



왜 있는 것은 도대체 있고 차라리 아무것도 아니지 않은가?

-하이데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01 16:04
수정 아이콘
엑박이랑 같이 있으니 굉장히 심오하네요...
20/03/01 16:06
수정 아이콘
엑박은 왜 존재하는 가
로즈 티코
20/03/01 16:09
수정 아이콘
엑박이 완성한 철학
카루오스
20/03/01 16:11
수정 아이콘
왜 있는 것은 도대체 있고 차라리 아무것도 아니지 않는가? 라는 질문은 그 품위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고 가장 깊이 있고 가장 원천적인 질문이다.
prohibit
20/03/01 16:13
수정 아이콘
완벽한 짤과 완벽한 본문
소녀시대순규
20/03/01 16:17
수정 아이콘
하이데거 철학입문 제목에 속아서 읽어보면 재미있읍니다 크크크
물론 형이상학입문은 읽어보지 않았구용
피쟐러
20/03/01 16:18
수정 아이콘
엑박이 있는 것은 도대체 있고 차라리 유게물이 아니지 않는가?
20/03/01 16:24
수정 아이콘
도데체 웨?
조말론
20/03/01 16:25
수정 아이콘
번역을 잘못한게 아닌가요? 일단 저 문장부터 이해가 안되니..
20/03/01 16:29
수정 아이콘
파파고 : Why is it nothing?
구글 : 왜 아무것도 아닌지 전혀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네이버 블로그에 나와있듯이 의역하면 도대체 왜 무(無)가 아니고 존재인가? 정도겠군요..
파핀폐인
20/03/01 16:32
수정 아이콘
진짜 무슨말이지
20/03/01 16:38
수정 아이콘
'있다'의 뜻을 존재(한다)로 생각하면 좀 더 읽기가 쉽겠네요.
(제가 본 경우 한정이지만)외국어만 잘 알고 한국어 능력이 어중간한 경우, 혹은 작업량 대비 페이가 적어서 단시간에 끝내려 한 경우에 저런 직역 위주의 결과물이 나오곤 하더군요.
20/03/01 17: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동양철학전공이라 저러한 식의 글을 보면 꽤나 난감할때가 있습니다. 다만.. 또 번역을 하게되면서 이해가 될때도 많습니다. 우선 전공자들이 저러한 어투에 이제 익숙해서 글을 읽는데 문제가 없는경우도 있고, 말씀하신데로의 번역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냥 여기 지금 있음을 나타내야할 '존재함'이 자칫하면 '삶을 살아감'으로 이해될 가능성도 높으며 그런점에서 독자들(특히 입문단계의)은 본문과는 다른 맥락으로 이해될 가능성이 높죠. 존재로 번역한 이전의 책들을 보며 저를 포함한 많은 입문생들이 그랬을 겁니다. 사실 존재라는 단어가 있음보다 더 먼저 being과 sein의 번역으로 채택되어왔을거라고 봐요. 저 책은 존재를 있음으로 바꾼 그 이후의번역처럼 보이고요. 나름 이해가갑니다. 쉬운단어를 존재라고 번역해서 어렵게 이해되어왔거든오. 그래서 어찌보면 저렇게 불친절한 번역이 나왔을 수도 있습니다. 혹은 일반독자들을 고려하고 번역작업을 하지않다가 그게 출판사와 연결되면서 그런경우도 있고요(제가 참여했던 번역들도 그냥공부하는 와중에..로 시작된 경우였거요) 다만 그러함에도 서양철학번역서들은 언어의 격차때문에 여전히 불친절하며 개선할 필요도 있다고 봅니다. 당장 푸코책이 어렵다하더라도 프랑스사람들에겐 널리 읽혔잖아요. 그건 프랑스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똑똑해서 그런건 아니거든요.
20/03/01 17:16
수정 아이콘
그나마 말씀하신 방향을 잘 이행해준 사례로는 도가에서 말하는 무위이무불위 에 대한 번역이라봅니다. 기존엔 하는것이 없지만 하지 않는것도 없다 로 번역해왔는데요 말자체가 모순이되죠. (물론 어떤 사람들은 모순이야말로 도가의 묘미다고 말하지만) 하지만 저 무위라는 개념이 자연의 섭리 그리고 위정자의 통치에 맞춰 이해가 되었기에(노자를 정치서로 인식해왔죠. 그렇기에 출토된 노자의 주석서중 가장 오래된 것이 한비자의 주석이고요) 이후엔 '(따로) 하는 것이 없어도 이루어지지 않는것이 없다'라는 방향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서양철학이 들어온지 아직 100년도 안됬고 일본서적을 통해 연구되어왔기에 몇몇 분과에서는 좀 더 친숙한 번역서가 나오려면 걸릴거같습니다.(더군다나 하이데거면 전공자도 적은편이고요)
20/03/01 17:21
수정 아이콘
아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저 책은 잘 모르겠지만 많은 철학번역서들은 연구과제를 따냈든 안따냈는 보통 번역을 다 한 이후에 출판을 해줄 출판사들을 찾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다 한걸가지고 페이를 줄지 아니면 페이대신 몇권 찍어줄지를 정하는 경우가많죠..(돈받는 번역서가 많지는 않습니다. 돈을 받았다면 그 사람의 시장가치가 높아서겠죠) 저거야 유명한 책이니 다를 수가 있지만..기존 번역을 수정하고 새로나온 번역본이라면 아마 돈 못받았을거에요
11년째도피중
20/03/01 17:00
수정 아이콘
그래 저런 번역서가 이해안가는게 나만이 아니었어!
하지만 대학교때 생각없이 저런 불평을 했다가 다음 학기때 해당 과목 원서로 바뀌어서 넌씨눈 소리 들었...
及時雨
20/03/01 17:10
수정 아이콘
대역죄인 크크크
조말론
20/03/01 18:43
수정 아이콘
영문판이 아니라 리얼 원서면..
Winterspring
20/03/01 17:10
수정 아이콘
와 기억 폭행이네요...찢어버리고 싶다...ㅠ
LOL STAR
20/03/01 17:19
수정 아이콘
Why are there essents rather than nothing?
20/03/01 17:25
수정 아이콘
철학서 번역은 단어의 뉘앙스를 그대로 살려야 하거나 단어의 뉘앙스가 이후의 논리전개의 근거가 되거나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직역에 가깝게 번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철학서 번역은 보통 해당 철학자에 대한 권위자가 번역하거나 혹은 석학들이 공동연구로 기준점을 만들기 위해 번역하는 경우가 많아 하청주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Liberalist
20/03/01 17:50
수정 아이콘
전공자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독일철학 쪽 글은 실제로 영어가 쫌만 되면 영문본 읽는게 국역본 읽는 것보다 체감 난이도가 훨씬 낮습니다. 영문본은 저 배배꼬인 느낌이 많이 완화되거든요.
새벽목장
20/03/01 18:13
수정 아이콘
뭔 똥같은 소리야...
마감은 지키자
20/03/01 18:56
수정 아이콘
저런 건 번역을 잘못했다기보다 저렇게 할 수밖에 없는 사정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원문까지 병기를 했다면...
20/03/01 18:58
수정 아이콘
읽으면서 하이데거스럽다 했는데, 맞았군요
20/03/01 19:26
수정 아이콘
있는 것은(존재자Seiendes는) 왜 '차라리' 없지 않고(무Nichts가 아니고) '도대체' 왜 있는가.
20/03/02 09:20
수정 아이콘
철학은 보통 번역하면 더 어렵다고는 하는데 저건 원문이 영어도 아닐테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9021 [게임] [WOW]리치왕의 분노 시네마틱 8K 리마스터. [11] 랜슬롯8827 20/03/06 8827
379020 [게임] 라이엇 신작 FPS 발로란트 - 피닉스 플레이 영상 [20] 이호철9639 20/03/06 9639
379019 [게임] 삼탈워에 등장하는 엄백호 [7] 공원소년7656 20/03/06 7656
379018 [게임] 고스트 오브 쓰시마, 출시일 발표및 스토리 트레일러 [9] 불같은 강속구8106 20/03/06 8106
379017 [유머] 오반, 초사이언으로 변신! [28] 파랑파랑11208 20/03/06 11208
379016 [유머] 공항 가본 적 없는 일본 만화 작가.jpg [9] 파랑파랑23033 20/03/06 23033
379015 [연예인] 병진이형은 여기 있어 [6] 유나11505 20/03/06 11505
379014 [기타] 의외로 표준어 [32] 불행10212 20/03/06 10212
379013 [기타] 엉덩이에 대해 알아보자 [12] 퍼플레임9204 20/03/06 9204
379012 [서브컬쳐] 정보글)핀업걸에 대해서 알아보는 만화.manhwa [8] 불행6279 20/03/06 6279
379011 [LOL] T1 vs 아프리카 lck 공식 썸네일 [10] 차은우8165 20/03/06 8165
379010 [방송] 킹덤 시즌2 트레일러 영문판 반응. [34] OrBef13392 20/03/05 13392
379009 [유머] 태양계 개그 [29] ELESIS10621 20/03/05 10621
379008 [LOL] 풀세트의 달인 아프리카 [6] 반니스텔루이8268 20/03/05 8268
379007 [기타] 20년 전 사진을 꺼냈더니.. [15] 물맛이좋아요11680 20/03/05 11680
379006 [LOL] ??? : 슈퍼팀 탄생.jpg [16] Ensis9519 20/03/05 9519
379005 [유머] 같은날 티어인증을 한 두명의 웹소설 작가 [13] 불행13107 20/03/05 13107
379004 [LOL] 영원히 깨지지 않을 대기록 두 개 [10] roqur8822 20/03/05 8822
379002 [스타1] 스타판 조만간 터질 스캔들 [26] 영원히하얀계곡13637 20/03/05 13637
379001 [유머]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안전한 이유 [17] 발적화12698 20/03/05 12698
379000 [기타] 기부마저 기안84스럽게 [13] 살인자들의섬14143 20/03/05 14143
378999 [LOL] 페이커 2천킬시 첫빠따로 나올 사람 [24] 카루오스10044 20/03/05 10044
378998 [LOL] ??? : 야, 킬각이야. 킬각. 어. [6] 감별사9249 20/03/05 92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