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2/12 08:46:11
Name 퍼플레임
File #1 56E6CBDC_CA6D_4104_B228_831800294F0D.jpeg (343.3 KB), Download : 65
File #2 6BA01010_D4EC_4C55_85BB_CC7236E3682B.jpeg (227.3 KB), Download : 55
출처 비밀의 정원
Subject [유머] 수학을 배워야하는 이유




우울증에 좋기 때문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0/02/12 08:50
수정 아이콘
케인 : 이런 수학하는 놈들!!
파핀폐인
20/02/12 08:50
수정 아이콘
전 수학때문에 우울증 올뻔했죠
물맛이좋아요
20/02/12 08:56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까지는 수학만큼 쉬운 과목이 없죠. 그나마 물리 정도가 수학이랑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쉽습니다.
김연아
20/02/12 09:20
수정 아이콘
전 물리가 더 쉽다에 한 표
그래도 수학은 더 깊이 들어가서..
저격수
20/02/12 08:56
수정 아이콘
교육과정이 그렇게 되게 생기긴 했습니다.
수학에서 의미하는 벡터공간의 원소로서의 벡터를 먼저 배워야 하는데, 한국 교육과정을 따르다 보면 물리학에서 쓰이는 좌표계에서의 벡터개념이 먼저 나와요. 그런데 이게 어색하다는 걸 깨닫기 정말 어려운데 김정훈 씨는 공부를 잘하기만 한 게 아니라 정말 똑똑한 것 같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0/02/12 09:37
수정 아이콘
벡터공간을 먼저 배우면 수포자들이 더 생기지 않을까요...
저격수
20/02/12 09:39
수정 아이콘
흐흐 그래서 물리에서 직관적으로 대강 알아들으라고 먼저 가르치는 건데 (R3는 저희가 사는 공간이니까) 김정훈 씨는 똑똑하다 보니까 수학에서 벡터공간을 정의하기 전까지 어색하다고 느꼈을 것 같습니다. 대다수의 일반인에게는 해당사항 없는 듯해요.
아.... 닉을 보니까 저희가 사는 공간을 R3라고 하면 혼날 것 같은데 전 물리를 모르니까 양해 부탁드려요.
일반상대성이론
20/02/12 09:41
수정 아이콘
저도 그냥 공부 해보고 싶은 거 닉네임으로 적어놓는 일개 학생일 뿐입니다 흐흐
20/02/12 09:09
수정 아이콘
퍼즐이나 레고, 색칠하기 등으로도 똑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ComeAgain
20/02/12 09:20
수정 아이콘
전 복소수가 나오면서부터 우울해졌습니다...
위원장
20/02/12 09:21
수정 아이콘
그럼 수학과를 갔어야지 무슨 크크
강미나
20/02/12 09:24
수정 아이콘
남이사 어딜가든 크크크크
20060828
20/02/12 09:26
수정 아이콘
직업으로 하면 싫어질까봐?? 가 아닐까요 크크
저격수
20/02/12 09:31
수정 아이콘
수학이 어떤 학문인지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한 글자도 안 가르치기 때문에, 고등학교 수학을 하면서 자신이 수학과에 맞는지 아는 것은 불가능해 보입니다. R에서는 동그라미를 못 그리는데 R^2에서는 그릴 수 있고, R^2에서는 매듭을 못 그리는데 R^3에서는 그릴 수 있고, 그렇다면 R^3에서는 못 그리는데 R^4에서는 그릴 수 있는 건 무엇이 있을까..?
이따위 것이 궁금해야 비로소 수학과가 어울리는 사람으로 거듭나는데, 고등학교 수학에서 저런 걸 안 가르치고, 가르친다고 아는 것도 아닙니다.
jjohny=쿠마
20/02/12 09:33
수정 아이콘
제가 그 생각으로 물리과 갔다가 피똥쌌죠... 고등학교 때까지 배우는 수학/물리랑 대학교 전공이랑은 완전히 다른 얘깁니다.
라파엘
20/02/12 10:14
수정 아이콘
국내 대학에 성적에 맞는 수학과가 없었겠죠
(성적이 너무 높아서...)
위원장
20/02/12 10: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이 많이 달렸는데 수학 좋아해서 전 수학과 갔어요.
성적이 좋아도 자기가 수학문제 풀때가 행복하면 수학과를 가는게 맞지 않나 싶은데요.
결국 의사의 길 안가고 연예인 하는거보면 과는 수학과가 더 좋았을거 같구요.
김정훈처럼 서울대 갈 수 있을 정도면 굳이 성적에 과를 맞출 필요 없잖아요.
수학문제 풀때 비로소 나인 기분인 사람도 수학과를 가는게 아닌거면 도대체 누가 수학과를 가야하죠?
20/02/12 12:38
수정 아이콘
안되요, 고등학교때 대학수학 접하고, 수학에 좌절감 맞봤죠.
고등학교까진 외울게 없이 직관적이었던 수학이, 대학수학은 풀이과정이 납득이 안되니 이거야 원,,,
20/02/12 09:2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까 관념에 강해서 천문학을 좋아하게 되는 경우도 있겠네요.
슈프림양념치킨
20/02/12 09:48
수정 아이콘
그렇게 왔던사람이 1학년때 천문학 들으면 아 내가 생각한 과목이 아니라는걸 깨닫고 다른 전공으로 많이 가죠.
저희 때는 지구과학이 하나의 학부로 묶여 있었는데 1학년 때는 천문 지망이 절반정도 였는데 졸업할 때는 15%도 안되었습니다.
산밑의왕
20/02/12 09:51
수정 아이콘
모두들 천문에 낭만을 가지고 입학했다가 현실을 깨닫고(현대천문학은 사실상 천체물리학이죠 크크) 다른 분야로 가죠.
20/02/12 09:58
수정 아이콘
같은 이야기를 천문학과 나온 지인에게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전공이나 직업이 되는 건 좋아하는 것과는 다른 영역의 문제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라붐팬임
20/02/12 09:56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고딩 수학은 정말 맛보기만 살짝 가르치는듯
20/02/12 10:00
수정 아이콘
버트런드 러셀도 어렸을 때 지독한 우울증으로 자살충동을 여러번 느꼈지만 수학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자살을 주저했다죠. 러셀은 흰머리아저씨와 결국 1+1=2 를 증명해냈습니다 크크
클로이
20/02/12 10:55
수정 아이콘
그냥 가만히 있어야겠다...
Janzisuka
20/02/12 11:51
수정 아이콘
수학이나 물리는 재미있었는데...당시에는 공자 맹자 경제 역사 이런거 때문에 비슷하게 기운 빠진 기억이..뭐 어차피 외우면 되긴 했는데 직관적이다거나 재미가 없었어요
솔로15년차
20/02/12 14:53
수정 아이콘
수학이 재밌죠. 특히 어려운 문제를 오랜시간 고민해서 풀어냈을 때의 희열은 정말 대단하죠.
문제는 공부를 그렇게 퀴즈풀듯이 할 수는 없다는 거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7575 [유머] 요즘들어 어그로 끌던 양반들 소식 잘 안들리는 이유 [5] 불행8292 20/02/17 8292
377574 [유머] MCU 멸망? [48] 파랑파랑11715 20/02/17 11715
377572 [기타] 태종이 세종에게 고기먹으라고 한 이유 [21] 치열하게14921 20/02/17 14921
377571 [유머] 다시보는 퀴즈프로 전설의 오답.avi [11] TWICE쯔위8296 20/02/17 8296
377570 [유머] 노모 레전드 [12] 파랑파랑13667 20/02/17 13667
377569 [유머] 가장 기본적인 마법 [21] 파랑파랑10069 20/02/17 10069
377568 [유머] 이거시 서부식 범죄자 처형법.gif [18] TWICE쯔위12038 20/02/17 12038
377567 [LOL] 이지훈 단장 글이 올라왔네요 [43] 차은우11500 20/02/17 11500
377566 [유머] 여친 임신해서 헤어짐.jpg [13] TWICE쯔위14709 20/02/17 14709
377565 [서브컬쳐] [디지몬] XX같은 디자인이 놀랍지 않은 이유 [32] roqur8327 20/02/17 8327
377564 [LOL] 울프선수 2.19일부터 진행되는 두바이 여성 리그 결승전 참가 [9] Dena harten7612 20/02/17 7612
377563 [기타] 제작비 200억 이상 국산 영화들 [58] 톰슨가젤연탄구이10368 20/02/17 10368
377562 [유머] 해리포터가 헤르미온느 대신 지니 위즐리와 결혼한 이유 [57] 공원소년14634 20/02/17 14634
377561 [유머] 설마 휴대용은 아니겠지? [21] 삭제됨8733 20/02/17 8733
377560 [LOL]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롤판의 균형이 무너진 순간 [27] 퍼플레임9343 20/02/17 9343
377559 [유머] 한여름 태양의 위대함 [3] 길갈8278 20/02/17 8278
377558 [유머] 쥬지인증 [22] 불행10908 20/02/17 10908
377557 [유머] 기생충 일본 포스터 [16] 파랑파랑8694 20/02/17 8694
377556 [스타1] 판관 포청천 [13] TAEYEON7919 20/02/17 7919
377555 [동물&귀욤] 새 동생이 너무 귀여운 인절미 [3] 흰긴수염돌고래7563 20/02/17 7563
377554 [스타1] 전설의 댄스가 세상에 선보여진 다음날 펼쳐진 전설의 경기 [8] SKY929314 20/02/17 9314
377553 [유머] 진짜 광기 [16] 파랑파랑8881 20/02/17 8881
377552 [LOL] 울프의 슼시절 썰 [29] Lazymind12665 20/02/17 126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