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2/09 04:02:13
Name VictoryFood
출처 더쿠
Subject [기타] 조선시대 한복 변천사.jpg
1. 초기

RSouqb2.png

길이가 길고 품도 넉넉해 누구나 입을 수 있는 프리사이즈형이 대세였다.
좋은 옷감을 많이 사용해 크게 만들어 입는 것이 신분 과시나 미적 기준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2. 전기

ON2tNyU.png

신체 치수를 고려한 ‘맞춤복’이 등장한다. 저고리 종류도 축소되고 적은 양의 옷감으로 만드는 등 실용적인 변화를 보인다. 품도 작고 길이도 짧아진다.
잇따른 임진왜란과 호란에 경제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3. 중기

cUxHOaq.png

중·후반기 들어 치마허리(치마의 맨 위 허리에 둘러서 댄 부분)가 보이고 저고리가 신체에 착 달라붙으며 ‘보디 라인’이 드러나는 옷이 유행했다.
실학자 이덕무 등이 “창기들이 남성에게 아양 부릴 때 입는 옷이 귀천(貴賤) 가릴 것 없이 유행하니 한심스럽다”며 개탄할 정도였다.

4. 후기

g5B7NhM.png

치마와 저고리 사이를 가리는 가슴가리개가 필수품이 됐다. 이 시기 사진에서 종종 보이는 가슴이 노출된 여인은 가슴가리개를 하지 않은 탓이다.

5. 개화기 이후-현대

fdVX8OB.png

양장의 영향을 받았다. 저고리는 다시 길어지고 붕어배래가 생겼으며 치마가 A라인으로 펑퍼짐해졌다.

ps.
아마도 여기서 말하는 시대구분은 14-5세기가 초기, 16-7세기가 전기,  18세기가 중기,  19세기가 후기, 20세기가 개화기인가 봅니다.
전기에 나오는 임란이 1592년, 호란이 1636년이고, 중기에 나오는 이덕무의 생몰이 1741년-1793년이거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주익균
20/02/09 04:08
수정 아이콘
상하의 밸런스가 뒤로 갈수록 깨지네요.
20/02/09 04:1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조선 전기가 제일 마음에 듭니다.
시한부잉여
20/02/09 04:17
수정 아이콘
222
20/02/09 04:54
수정 아이콘
그림 잘 그렸네..
파핀폐인
20/02/09 04:54
수정 아이콘
덕무성...소인은 그 아양이 참 좋소..
짐승먹이
20/02/09 05:48
수정 아이콘
비율이 일본만화 왕눈급... 덜덜
세츠나
20/02/09 05:59
수정 아이콘
옷만 보면 전기가 오히려 제일 예쁜 것 같은...? 초기도 괜찮은 느낌이고 중기 후기는 뭔가 밸런스 깨진 느낌
코우사카 호노카
20/02/09 06:20
수정 아이콘
전기 이후론 다 과하군요
200511030833
20/02/09 06:33
수정 아이콘
중기 ㅗㅜㅑ...
치킨은진리다
20/02/09 08:04
수정 아이콘
초기는 아무래도 고려시절의 영향이 좀 있겠죠? 전기가 제일 예쁘네요
20/02/09 08:18
수정 아이콘
5번 빼고 다 좋음.
20/02/09 08:38
수정 아이콘
한완얼
파이몬
20/02/09 08:44
수정 아이콘
5번 빼고 돠!
지니팅커벨여행
20/02/09 09:18
수정 아이콘
저렇게 질질 끌릴 정도의 치마 길이라니...
밖에 나가면 치마는 무조건 흙에 묻어 엄청 지저분하겠네요.
20/02/09 09:34
수정 아이콘
후기
20/02/09 10:00
수정 아이콘
대류 얼굴이 최고다...
이상한화요일
20/02/09 10:15
수정 아이콘
2가 젤 낫네요. 이렇게 만들어주면 좋겠어요.
20/02/09 10:29
수정 아이콘
2번은 귀족이나 왕족 느낌이고 3번은 평민 4번은 기생 이미지같은 느낌이네요.
20/02/09 14:41
수정 아이콘
저는 전기
20/02/09 16:59
수정 아이콘
제 눈에는 전기가 가장 예뻐보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6738 [유머] 기생충 4관왕을 본 박찬욱감독의 반응.jyp [4] 0ct0pu513270 20/02/10 13270
376737 [유머] 이와중에 기생충에 숟가락을 얹는.. [21] 불행12084 20/02/10 12084
376736 [기타] 라면계의 레전드 [4] 퍼플레임9610 20/02/10 9610
376735 [유머] 로또맞은 기생충 미국 현지 배급사 대표...jpg [13] 은여우13297 20/02/10 13297
376734 [유머] 대학 초보 아싸와 프로 아싸의 차이...jpg [16] 은여우12309 20/02/10 12309
376733 [유머] 오스카도 참 허접하네요 [12] likepa12359 20/02/10 12359
376732 [기타] 피자집에서 기생충이 나왔어요 [11] 퍼플레임9580 20/02/10 9580
376731 [유머] 기생충, 가장 소름돋았던 장면 [5] 파랑파랑11019 20/02/10 11019
376730 [유머] 지금 제일 가고 싶은 과거.jpg [44] 삭제됨11838 20/02/10 11838
376729 [기타] 모 평론가 근황 (feat. 기생충) [42] 빨간당근13612 20/02/10 13612
376727 [서브컬쳐] 수학은 모두의 친구다 [2] roqur6766 20/02/10 6766
376726 [기타] 봉준호 감독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33] BTS13888 20/02/10 13888
376725 [유머] 야후 재팬 "기생충, 작품상 납득 가능한가" 설문 조사 중... [35] 감별사12793 20/02/10 12793
376724 [기타] 여행갈때 숙소 중요하다 vs 아니다 [80] 불행9225 20/02/10 9225
376723 [기타] 고속도로 색깔 방향 유도선이 생기게 된 이유 [21] 불행10577 20/02/10 10577
376722 [기타] 오늘 아카데미시상식 4짤 요약.GIF [5] 살인자들의섬11437 20/02/10 11437
376721 [유머] 봉준호가 부러운 갤러 [16] 파랑파랑10870 20/02/10 10870
376720 [유머] 요즘 애들이 환장하는 자전거 [11] 불행9105 20/02/10 9105
376719 [유머] 이제야 밝혀진 기생충 포스터의 비밀.jpg [7] TWICE쯔위9144 20/02/10 9144
376718 [기타] ??? : '기생충'의 10관왕을 저지했습니다. [1] 시나브로10980 20/02/10 10980
376716 [유머] 5ch : 봉준호의 작품상 수상은 일본의 자랑이다. [26] 삭제됨11657 20/02/10 11657
376714 [기타] 오스카 시상식 타임라인 한눈에 보기 [9] BTS9844 20/02/10 9844
376713 [게임] 공포의 직장인 [2] 불행6583 20/02/10 65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