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2/07 21:58
(수정됨) 사실 저정도면 택배로 보내는게 아니라 자차나 트럭있으면 가는 길에 실어나르는게 나을걸요 부피만 적당하다면?
차라리 그냥 영업점에서 받게 한 다음에 수령하게 두거나...클클 뭔가 보낼때 영업점 앞으로 보내는 경우도 많았는데...물론 보내야하는 주소로 보낼때가 더 많지만...
20/02/07 22:34
인터넷 쇼핑몰로 주문하느라 구매자가 판매자 주소를 몰랐으면 어쩔 수 없었을 것 같긴 해요 크크
판매자 입장에서는 송장이 한두장이면 모를까 여러장 일괄로 나오면 그거 일일이 확인할 여유도 없을 거고요
20/02/07 22:14
(수정됨) 7시에 접수된걸 9시반에 집하장에 도착한거 같은데...저걸 어찌 알고 수령할까요...애초에 보낸 사람이 영업점에 보관하게하고 연락줘야 가져갈거같은데...
20/02/07 22:44
바쁜 기사님들이 물건 하나하나 보고 있을 여유가 없죠. 주문자도 모를 가능성이 높구요.
우리나라도 점점 한 개인이 관리할 수 있는 사회에서 시스템에 맡기는 분업 사회가 되어가는거 같습니다.
20/02/07 22:45
고객이 배송비가 무료든 얼마든 이미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 상태이니 저렇게 하는게 맞는거죠. 집화건수가 수백건이 되면 모든 주소를 다 확인하는 것이 어렵고 집화도 여러군데를 도니까요. 그리고 위처럼 집화하는 터미널이랑 배송 터미널이 다르면 어쩔 수가 없겠죠. 2007년이니 지금은 저런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 되어있을 것 같네요.
20/02/08 00:23
(수정됨) 처음엔 오타인가 해서 구글링해봤는데 건물이 커서 그런지 한 건물에 주소가 여러 개 있더군요. 564-4 546-4, 찾아보니 546-6도 있었어요
20/02/07 22:52
이게 애매한게 있기도한대...
저 같은 경우 인터넷으로 3M에서 방독면 구입한적있는대 전화가 오더라구요. 알고보니 같은 건물이였음... 직원이 직접 가져다 줘도 괜찮겠냐고. 그래서 내 괜찮아요. 했는대 정말 그냥 내려오셔서 주고가셨음... 그런대 택배비는 나갔다는...... 그냥 배달서비스라 생각하고 돈냈다 생각하면 안아까운대... 사람 마음 이라는게 참... 왠지 엄청 아깝다 느껴지더라구요. 이럴바엔 그냥 위의 내용이 맞는거 같기도하고...
20/02/07 23:19
본문과는 좀 다르긴 한데, 저는 멀리사는 누나네 집 근처 옷가게에서 산 옷이
제가 살던 집 바로 옆집 아저씨가 수입한 제품이더군요. 주소보고 깜놀.
20/02/07 23:30
저도 비슷하게 경험했습니다. 옷 주문했는데 물류창고가 저희동네에 있더군요
이걸 주문할때 보는게 아니라 반품하려고 주소확인하다가 알게 되더라구요 아무튼 편도 택배비 한번 아꼈네요
20/02/07 23:56
저는 이번 설 명절선물포장하고 송장붙이는데
어디서 많이본 주소가 보여서 확인하니 우리회사. 발신지가 수신지가 되는 송장을.. 그나마 미리 발견해서 다행이였습니다
20/02/08 00:06
사실 시스템이 잘 되어있으면 송장찍을때 동일지점 팝업 하나만 띄워주면 일 줄긴 할겁니다...
지금 그정도 시스템은 되어있겠죠
20/02/08 00:15
예전에 겨울왕국1 렌티큘러 DVD를 '김치DVD'란 곳에서 한정 판매할 때 국내 정발을 안한다 그래서 국내에 있는 사람이 사려면 주문한 뒤 일본이나 중국 미국으로 보낸 뒤에 다시 받아와야 했죠. 그 와중에 몇 곳은 배대지도 안된다는 골때리는 상황이...
즉, 한국에서 배송을 시작해 받는 이의 의지와 상관없이 배나 혹은 비행기 타고 외국을 한 번 찍어야 받을 수 있는 상황
20/02/08 08:04
가져다 줄 경우> 소포들고 잡상인 아닌척 xx씨 찾아서 그사람 나올때까지 문에서 뻘쭘하게 기다립니다. 내 이득은 전혀 없구요. xx씨 없을 경우 두고 간다, 안된다 내가 직접 받아야 된다 담에 와라, 별의 별 사람이 다 있습니다. 줬는데 못 받았다는 케이스 있었어서 새로 준 적도 있었구요... 점심시간 이용해서 잠깐 어쩌구저쩌구... 점심시간에 가보면 없지요. 밥먹으러 갔습니다. 내가 사주잖아 니가 기다려 마인드랄까. 어쨌든 내 시간은 순삭됩니다.
픽업 요청의 경우> 전화, 깨톡 해야하고... "가져다 주시면 안되요?", "시간 나면 가겠습니다." 라는 말이 나오는 순간부터 피곤해집니다. 결론: 그냥 하던대로 하는게 책임 소재가 적고 편합니다. 괜히 초근거리도 택배보내는게 아니구요. 진짜 벼래별 사람이 다 있는데, 상대방을 모르니 그냥 fm대로 하는게 젤 속 편합니다.
20/02/08 08:07
제가 99학번인데 위내용이 이미 20년도 더 전에 수업에 나왔었던게 기억나네요. 페덱스 사례를 들면거 가까운거리도 무조건 허브를 거쳐 가는게 택배사에선 일을 줄이는거라고 하던데요.
멍천한게 아니랍니다.
20/02/08 08:37
LF패션몰에서 샀던 물건 반품주소가
정말 회사앞 큰길 건너편이어서 전화통화로 직접 가져다줘도 돠냐고 물어봤었는데 택배수거만 접수 가능하다고 해서 택배로 보냈던 기억이 나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