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10/12 10:58:56
Name 삭제됨
출처 https://youtu.be/XwN_KvG7NMk
Subject [LOL] 선수들의 본인 팀 제외하고 롤드컵에서 잘할거같은 팀 선택의 결과는?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12 11:02
수정 아이콘
SKT 역시 마인드부터 달라 크크크 멋지다
몽쉘통통
19/10/12 11:03
수정 아이콘
브로콜리 멋있다!
19/10/12 11:05
수정 아이콘
C9 선수는 스벤스케런입니다. 슼 선수들 반응이 인상깊네요. 우리가 우승할거 아니면 누가 우승하든 신경 안쓴다.....인상적이네요. 여러의미로.
차은우
19/10/12 11:0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다크템플러
19/10/12 11:05
수정 아이콘
대만선수들은 아마 순서대로 에이펙스 코알라 지브 레스트 같네요
확실히 인터넷커뮤니티 여론 3탑이 인기가많군요 크크
차은우
19/10/12 11:1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9/10/12 11:07
수정 아이콘
선수들이 예측하기로는 skt g2 펀플러스가 주요 우승후보로 봐도 될거 같은 느낌?
다시마두장
19/10/12 11:1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나열해놓고 보니 딱 각 지역 우승팀들이네요 크크크.
티모대위
19/10/12 11:08
수정 아이콘
기회라기보다 확률에 가까운 의미일겁니다.
즉 누가 젤 잘할거같냐? 라는 거죠
차은우
19/10/12 11:15
수정 아이콘
역시 번역기랑은 또 미묘한 그런 차이가 있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도인비랑 같은 lms팀 지목한 선수가 제일 웃기더라고요 크크크 진짜 자국팀리그를 너무 사랑함
티모대위
19/10/12 11:16
수정 아이콘
곧 누가 우승할 확률이 젤 높은가? 라는 질문인데, 어차피 본문에 써주신 말로도 그런 의미는 충분히 전달되기는 합니다 흐흐
티모대위
19/10/12 11:09
수정 아이콘
그리고 도인비는 최근 보여주는 언행은 거의 LPL 홍보대사네요 크크크
다시마두장
19/10/12 11:11
수정 아이콘
아직 국제대회에서 보여준게 많지 않아 애매하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FPX를 지목한 선수들이 꽤 있네요.
LPL 1위라는 가시적인 성과 때문일까요? 아님 담원처럼 스크림에서 뭔가가 있기 때문일까요?
미카엘
19/10/12 11:1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올해 RNG와 IG는 나사가 하나씩 빠져 있어서요.. FPX가 더 강력해 보입니다
차은우
19/10/12 11:17
수정 아이콘
북미랑 스크림해서 유난히 좋은 결과를 얻었나?생각도 들더라고요. 특히 tl팀 선수들이 두명다 fpx찍어서
티모대위
19/10/12 11:18
수정 아이콘
구멍이 없어 보이고, 국제 첫출전이지만 이전과 다르게 롤드컵 올라오는 과정에서 토너먼트에서의 힘을 보여준게 크죠.
더욱이 작년 IG는 서구권 팀들에게 일종의 두려움을 심어줬다고 생각하는데, 그 무서웠던 IG와 RNG를 누르고 1시드로 올라온 팀이라...
RNG와 IG가 아직도 서구권에서 평가가 좋은거 보면 (현재 상태가 안좋음에도) 그 팀들보다 우위에 서고 올라온 펀플러스가 고평가 받을만한 이유는 충분한것 같긴 해요
카바라스
19/10/12 11:48
수정 아이콘
msi 4강중에 ig는 서머에 너무 급전직하했고 tl은 체급이 좀 딸리는 분위기라 skt 아님 g2가 유력해보이긴해요. 그나마 펀플은 lpl 1번시드라는 후광이라도 있지..
솜방망이처벌
19/10/12 11:52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가 저는 돋보이네요. 자기 팀을 두번이나 물먹였는데 리스펙 엄청 해주네..
클로로루실후르
19/10/12 13:02
수정 아이콘
두번 물먹였는데, 디스리스펙트 하면 그게 더 이상할 거 같은데 말이죠..
솜방망이처벌
19/10/12 13:34
수정 아이콘
??? 님 누구시죠??? 제 랑그릿사 닉네임이 클로로 루실후르인데 이 무슨 우연이 ????
솜방망이처벌
19/10/12 13:34
수정 아이콘
혹시 닉네임 지루해지셨으면 다음번 변경 기간때 양도 좀요.. 헤헤
클로로루실후르
19/10/12 13:37
수정 아이콘
이번에 바꾼거라, 1년간 못 바꿉니다..

저도 '클로로'랑 '루실후르' 사이에 빈칸 하나 주고 싶었는데

빈칸 허용 안되는 줄 알고 붙여서 했는데 수정이 안되네요ㅠ
클로로 루실후르
19/10/12 13:50
수정 아이콘
오호.. 덕분에 잘 바꿨습니다.. 아직 변경이 되는거였군요? 후후
클로로루실후르
19/10/12 15:49
수정 아이콘
아.. 님아 이건 좀...

도적의극의 당한 기분이네요
피카츄 배 만지기
19/10/12 12:14
수정 아이콘
아 빨리 개막전 보고싶다!!!! 설레인다!!!!
제이홉
19/10/12 12:33
수정 아이콘
도인비는 lpl팬들 좋아할 말만 하네요 크크
대학생이잘못하면
19/10/12 12:41
수정 아이콘
SKT 선수들 대쪽같은 것 좀 보세요 크크크크크
R.Oswalt
19/10/12 13:43
수정 아이콘
코리안 짜요맨 근본력 인정합니다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5959 [게임] 2대 붉은 셔츠를 입은 남자 근황 [7] roqur8095 19/10/13 8095
365958 [LOL] 어제자 테디 솔랭 케일..gif [13] 삭제됨7439 19/10/13 7439
365957 [유머] 코나미의 사일런트 힐 신작............... [4] TWICE쯔위8371 19/10/13 8371
365956 [LOL] 너구리 어제 아이템 판매 실수.gif [11] 아지매7737 19/10/13 7737
365955 [LOL] 너구리선수 어제 도벽으로 벌은 돈.jpg [25] 스톤에이지9556 19/10/13 9556
365953 [유머] 미우새 아들들이 장가 못간 이유.pann [33] 은여우11061 19/10/13 11061
365952 [기타] 어제자 태풍 도쿄 당시 상황(도쿄 에도가와구).gif [11] TWICE쯔위8867 19/10/13 8867
365951 [유머] 화장실 셀카를 프사로 쓴 여자 [3] 길갈9784 19/10/13 9784
365949 [유머] 유에프오 [7] 비밀정원6167 19/10/13 6167
365947 [유머] 인기많은 치킨집의비결 [40] 불행11368 19/10/13 11368
365945 [기타] 그닥 깊지도 않은거 같은데 별 거 있겠어?.gif [10] TWICE쯔위8911 19/10/13 8911
365944 [유머] 요즘 시대에 훈련소 강제입소... [5] 불행8611 19/10/13 8611
365943 [유머] 프로매국노 근황.jpg [7] TWICE쯔위9943 19/10/13 9943
365942 [LOL] 해외 중계진 + 트위터의 어제 경기 적중률 [21] Leeka8945 19/10/13 8945
365941 [유머] 기부행사에 내놓은 대기업 사장님의 콜렉션 [14] 불행11255 19/10/13 11255
365940 [LOL] 코장의 담원전 관련 해외 인터뷰 [12] 기사왕7788 19/10/13 7788
365939 [서브컬쳐] 겨울왕국 스토리라인 유출 루머.txt [7] roqur7293 19/10/13 7293
365938 [유머]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사라진 풍경..jpg [70] 삭제됨12054 19/10/13 12054
365937 [LOL] 더샤이 : 너구리 개인적으로 안좋아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선수 [34] 튜우리프13565 19/10/13 13565
365936 [LOL] 어제 펀플러스 lwx 멋진 플레이 모음.gfy [50] 낭천8751 19/10/13 8751
365935 [LOL] 근본의 중요성 [13] Leeka8560 19/10/13 8560
365934 [기타] 일본 태풍 피해 [24] 카루오스12866 19/10/13 12866
365933 [기타] 숙연해지는 홍콩 시위자의 인터뷰 [14] 공원소년11372 19/10/13 113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