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9/29 18:21:07
Name Synopsis
File #1 E18E9C73_5074_4E3B_9D39_4FD86FD8A104.jpeg (212.6 KB), Download : 41
출처 구글맵
Subject [유머] 나일강의 위엄.jpg


삼각주 개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롤스로이스
19/09/29 18:28
수정 아이콘
저 스타팅 포인트에 엄청난 조상들을 두고도 지금 상황이라니...
19/09/29 18:46
수정 아이콘
뭐 3천년 정도면 스타팅포인트 뽕은 뽑을대로 뽑았으니...
19/09/29 18:49
수정 아이콘
미네랄 가스 다 켔나봐요
도뿔이
19/09/29 18:49
수정 아이콘
이집트 전체 역사를 봤을땐 지금이 그 엄청난 조상님들 다음 정도 상황은 될겁니다. 그 조상님들 이후 몇천년간 거의 남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신불해
19/09/29 18:53
수정 아이콘
비 서구권 제3세계 국가들 중에서는 이집트가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 중에서 가장 빨리 근대화를 시작하고 이룩한 나라일 겁니다.

중국으로 치면 근대화 작업에 들어갔다도 아니라 '문을 열었다' 소리 듣는 아편전쟁이 1840년대, 페리 제독이 일본보고 "문 열어라" 한게 50년대, 그래서 일본이 우리도 개혁 시작해보자고 한게 1860년대 후반인데

이집트는 비서구권은 커녕, 에스파냐나 러시아 같은 나라들도 설명할때 '낙후' '전근대적' '야만' 이런 묘사가 나오는 1820년대부터 개혁 시작해서 1860년대 무렵에는 의회를 본딴 대표 회의에 근대적인 우편제도, 카이로 등에 오페라 하우스 등을 짓는 문화 부흥, 철도 건설 계획, 산업 발전 투자, 수에즈 운하 완공, 사회 간접 자본 구축 등등이 되어있었을 정도니....


단지 국제정치 시대는 혼자서 잘났다고 개혁이니 뭐니 해봐야 외교에서 털리면 그만이라 이집트의 엄청난 지정학적 중요성 때문에 이리 뜯기고 저리 뜯기면서 몰락했지만...


1800년대 후반의 동아시아 개혁파 지식인들에게 룰모델이 일본이었다면, 그 일본의 룰모델은 이집트였죠. 빠른 발전도 그렇고, 발전한다음 열강들 개입 때문에 박살이 나는거 보고 조심하자 이런 의미에서도 그렇고.
本田 仁美
19/09/29 19:10
수정 아이콘
(대충 이집트 사람이 옛날이라고 말하면 기원전이라고 말하는 짤)
닉네임을바꾸다
19/09/29 19:13
수정 아이콘
쿠푸왕 피라미드부터 로마까지가 로마에서 현대보다 더 긴 세월...
공원소년
19/09/29 20:57
수정 아이콘
썰에 따르면 엄청나게 비옥하던 토양들이 기후 변화랑 이런저런 이유가 겹치면서 사막화되고 그 결과 국력이 쇠하면서 무너져내린게 크다고 하더군요.
19/09/29 21: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도 아프리카 국가중 서열따지면 5위안에 무조건 들겁니다. 딱 생각해도 남아공 다음이에요.
막장 종교정당의 삽질로 빈부격차가 좀 더 심해져서 문제지
루데온배틀마스터
19/09/29 18:37
수정 아이콘
고대 시대에 실제로는 툭하면 범람하는...
19/09/29 18:43
수정 아이콘
??: 우리 집 홍수에 날아간 썰 푼다
19/09/29 19:01
수정 아이콘
시저3, 파라오 마렵네요
마우스질럿
19/09/29 19:05
수정 아이콘
저 나일강이 이집트에게 정말 축복이었던게 남북으로 매우 긴 강이

북풍만 집중적으로 부는 시기가 있었다고 하는군요

따라서 돛을 올리면 상류로 자동으로 가고

돛을 내리면 하류로 자동으로 가고

물류에 있어서 어마어마한 버프를 받고 시작하는 나라입니다.
잠만보
19/09/29 19:3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천혜의 물류 조건을 갖춰서 이집트 문명이 가장 선진 문명 중 하나가 되었죠
19/09/29 19:07
수정 아이콘
수에즈도 개꿀
모리건 앤슬랜드
19/09/29 19:29
수정 아이콘
기원전 2333년 역사도 기록되있고 그시절보다 천년전 기록도 존재하는곳.....
19/09/29 20:04
수정 아이콘
수에즈 운하 통행료가 얼마정도 될까요.?
홍승식
19/09/29 20:27
수정 아이콘
https://www.suezcanal.gov.eg/English/Tolls/Pages/TollsTable.aspx
이게 공식 통행료인데 위키에 따르면 1척당 평균 25만 달러 정도 하나봅니다.
19/09/29 20:47
수정 아이콘
2억 5천이라... 수십조어치 기름 싣고가는 유조선이면 뭐 싼것 같기도 하고 그렇네요
마우스질럿
19/09/29 22:40
수정 아이콘
수십조는 아니고 몇천억 정도 입니다.
VLCC 기준
마우스질럿
19/09/29 22:43
수정 아이콘
VLCC ( very large crude oil career ) 는 대략 200만 배럴의 원유를 수송하는 선박을 말하며

현존하는 거의 최대 선박 싸이즈 입니다.

200만 배럴 * 시시각각 변하는 오일의 배럴당 30$ ~ 120 $ 을 곱하면 견적 나오죠
19/09/29 22:48
수정 아이콘
지식 감사합니다 .. 가까이서 본 유조선 크기가 엄청나게 컸던 기억에 ..
고기반찬
19/09/29 20:35
수정 아이콘
거기다 홍수 지나가고 나면 토양의 염분도 쓸려나가죠...메소포타미아는 결국 염화현상 때문에 박살났는데...
19/09/29 23:09
수정 아이콘
중국이 최고죠
황하에서 꿀 빨다가 황하주변이 황폐화되니까
밑에 황화보다 더 큰 강이 있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5040 [기타] 살면서 무조건 잃어버리는 물건 원탑 [46] swear10975 19/10/03 10975
365039 [LOL] 겜알못들이 미리미리 게임 공부를 해둬야 하는 이유 [21] 삭제됨7309 19/10/03 7309
365038 [기타] 맞은편 아파트 봤다가 심장 터질뻔함 [10] swear11289 19/10/03 11289
365037 [LOL] 어제 롤드컵 최고의 명장면 [5] 키류8410 19/10/03 8410
365036 [LOL] ??? : 상혁아.. 담원 경기 보니? [66] 아지르10896 19/10/03 10896
365035 [LOL] 담원 첫 경기 요약.JPG [15] Bemanner8665 19/10/03 8665
365034 [LOL] 담원 요약 [6] 수분크림7101 19/10/03 7101
365033 [유머] 낚싯대를 사용하는 이유를 서술하시오 [7] 길갈7040 19/10/03 7040
365032 [기타] [스포X]영화 조커 보기 전과 보고난 후. [13] 삭제됨8508 19/10/03 8508
365031 [LOL] 롤판 역대급 퍼포먼스(데이터주의) [11] 니시노 나나세8526 19/10/03 8526
365030 [유머] 개천절은 정확히 어느 나라랑 관련있음? [43] swear10111 19/10/03 10111
365028 [동물&귀욤] 이동을 도와준 인간에게 감사를 표하는 나무늘보 [11] 카루오스7025 19/10/03 7025
365027 [유머] 배달 온 감자튀김의 양이? [21] 이호철11584 19/10/03 11584
365026 [동물&귀욤]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강아지.jpg [1] 감별사6948 19/10/03 6948
365025 [유머] 고등학생이 박사가 되는 과정.manhwa [14] TWICE쯔위9863 19/10/03 9863
365024 [LOL] 클템 리신 9킬 19어시 캐리 영상 [8] pioren7783 19/10/03 7783
365023 [LOL] 롤판 역대급 퍼포먼스들(데이터주의) [15] roqur10553 19/10/03 10553
365022 [유머] 세계 요리 축제의 비극 [5] swear9584 19/10/03 9584
365021 [게임] 포켓몬 신작 의외의 떡밥(루머) [3] 나와 같다면5734 19/10/03 5734
365020 [서브컬쳐] 개천절에도_일하는_업장.boogie [10] 나와 같다면9663 19/10/03 9663
365019 [서브컬쳐] [포켓몬] 디그다의 비밀 [2] 이호철5077 19/10/03 5077
365018 [유머] 18세 김철수군은 목숨을 걸었다.jpg [29] TWICE쯔위11430 19/10/03 11430
365017 [기타] 키스를 부르는식물 [4] 가난8271 19/10/03 82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